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14) 조선 전기의 국가재정…전세, 공물, 군역, 상납의 네트워크 2014-05-23 19:26:50
튼튼한 나라가 망하기는 어렵다. 특히 고려왕조는 재정이 피폐해져서 멸망했다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멸망 직전에 과전법(1391)에 의해 재정의 근본이 되는 토지제도에 대한 개혁이 단행되었으며, 과전법 개혁을 추진한 세력이 조선왕조의 건국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조선 전기의 재정제도는 고려왕조의 재정제도와 ...
정도전 유동근,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임금될 것" 최후통첩 반응은? 2014-05-18 13:33:11
이날 방송에서 이성계는 고려왕조 수호에 안간힘을 쓰는 정몽주에게 “분명히 얘기하겠수다.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임금, 왕 할거이외다”라고 경고했다. 이로써 조선왕조를 열려는 이성계는 쓰러져가는 고려왕조를 지키려는 정몽주와 결별을 선언했다. 이에 정몽주는 “이성계 대감. 똑똑히 들으시오. 나를 죽여 내 손목을...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12) 조선왕조의 건국…단절과 연속 2014-05-09 18:42:55
측면도한편 조선시대를 고려시대와 함께 ‘중세’로 시대구분을 한 것은 연속성이 단절성보다 강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먼저 농민반란이나 이민족의 정복에 의하여 왕조가 교체된 것이 아니라 고려의 신하가 왕조를 개창하였다. 고려왕조가 40년 가까이 되는 후삼국 시대의 전란을 통해서 성립하여 골품제에...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11) 중세의 토지는 누구 소유였는가 2014-04-25 18:32:45
고려왕조와 조선왕조는 토지조사(양전)를 시행하여 각 필지마다 위치, 형상, 면적, 소유자 등을 기재한 토지대장인 양안을 작성하였다(8회 그림 참조). 호적과 함께 양안은 각종 조세를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장부였다. 또한 이 양안을 이용하여 토지로부터 조세를 수취하는 권리(수조권)를 국가에 봉사하는 사람과 국가의...
남성진, `정도전` 합류..고려 공양왕 캐스팅 2014-04-22 14:44:52
바 있다. 사극과 현대극을 넘나들며 안정감 있는 연기와 목소리로 많은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은 남성진이 `정도전`에서는 어떠한 모습으로 시청자들을 만나게 될지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한편, `정도전`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 되는 시기에 새 왕조 조선을 설계한 정도전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매주 토, 일요일...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10) 중세 농업의 발전 방향 2014-04-18 18:13:21
자료가 부족해서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던 것은 분명하다. 고려 중기인 12세기에 300만명, 14세기 말 조선왕조 개창 당시에 500만명, 19세기 후반 개항할 때 1700만명이라는 추정에 따르면 중세 동안 장기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고려시대보다...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9) 고려시대, 재정과 경제 통합 2014-04-11 18:11:24
고려왕조(918~1392)는 국가재정에 필요한 재화와 노동력을 전국 어디에서나 수취할 수 있었다. 시장 미발달- 현물로 세금 거두고 지출 지금 같으면 국가재정에 필요한 재화와 노동력은 대부분 시장에서 구입하면 되겠지만,시장경제 발달이 미약했던 시대에는 그럴 수 없었다. 고려왕조는 996년의 철전 발행을 시작으로...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8) 우리나라 중세는 서양 중세와 무엇이 달랐는가 2014-04-04 18:47:45
효과는 서양의 봉건제가 긍정적이었다. 고려왕조나 조선왕조는 중앙집권적 관료제 사회로서 국가가 운용하는 물적 인적 자원의 규모가 컸고 이를 기초로 사회적 분업과 경제통합을 국가가 주도할 수 있었다. 국가는 토지와 인구를 양안(量案)과 호적으로 파악한 다음에 직역제도와 지방제도(군현제)를 통해서 사회의 재생산...
[돈 버는 풍수] '초고층의 저주'…평양 유경호텔은 대재앙의 불씨 2014-03-31 07:01:18
저주는 국내에서도 고려 때부터 있었다. 충렬왕 때 천문관측기관인 관후서는 “‘도선밀기’에 의하면 다산(多山)은 양(陽)이고 고루(高樓)도 양이다. 평옥(平屋)은 음(陰)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다산이기 때문에 만약 집을 높게 지으면 반드시 쇠멸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고려 왕조가 산천비보도감이란 관청을 둬...
드라마 `정도전` 위화도 회군, `역성혁명` 시작인가 2014-03-30 23:47:22
왕조 창업의 기점이 되는 ‘위화도 회군’이다. 앞서 이성계는 정도전의 회군 요청에 “어명 없는 회군은 반대”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우왕(박진우)와 최영의 무리한 진군 명령에 이성계는 다시 한 번 흔들리며 조정에 회군 명령을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최영은 이를 무시하고 이성계에 자결을 명했다. 이에 이성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