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후티 반군의 홍해 공격 이후 컨테이너선 절반 우회 택해 2023-12-29 10:26:48
인용,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글로벌 물류관리 회사 플렉스포트에 따르면 컨테이너 430만 개를 운반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 299척이 홍해로 예정됐던 항로를 변경했거나 변경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전보다 약 2배 증가한 수치로, 전 세계 선복량의 약 18%에 해당한다. 스위스 화물 운송업체 쿠네 + 나겔...
포항 영일만대교, 내년 국비 1350억 반영 2023-12-28 18:45:55
총 18㎞로 해상 교량 9㎞가 포함돼 있다. 해군기지 출입, 관광활용도, 지반 조건 등을 검토하는 과정이 길어지면서 아직 구체적인 노선은 확정되지 않았다. 포항시가 가장 유력하게 검토 중인 해상교량과 해저터널을 연결하는 안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해상교와 해저터널을 놓으면 약 3조원이 들 것으로...
지정학 위기에 '슈퍼 선거 해'까지…"통상 불확실성 대비하라" 2023-12-28 11:00:04
그러나 후티 반군의 수에즈 항로 공격으로 해상 운송과 물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어 수에즈 운하 통항 불안이 장기화하면 물류비 부담 증가와 납품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역협회는 내년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세계 40여 개국에서 리더십 교체를 놓고 선거가 치러지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기본계획 고시…'2029년 12월 개항' 재확인 2023-12-28 11:00:03
육지와 해상에 걸쳐 지어진다. 국적 항공사에서 운항하는 B747-400F 기종 등의 대형 화물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길이 3천500m의 활주로를 건설하고, 심야에도 운영하는 '24시간 국제공항'으로 만들 방침이다. 공항 건설에는 총 13조4천9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당초 추정된 공사 사업비 12조5천억원에서 물가...
해수부, 홍해 통항 중단 대응반 운영…"지원대책 마련" 2023-12-27 17:54:29
해상 운임이 오르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이날 국적선사 대책회의를 열어 비상대응반을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해수부는 주요 선사의 항로 우회 결정 등이 단기적으로 수출입 물류와 에너지 수급 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사태가 장기화하면 글로벌 물류 지연에 따라 영향이...
"해상 운임 2배로"…홍해發 물류 대란 위기 2023-12-27 17:40:00
운임이 급증하고 물류 공급량은 20% 가량 감소한다는 겁니다. 글로벌 화물운임 분석기관 제네타는 "희망봉 루트에 선박이 몰리면서 내년 초까지 해상 운임이 최대 2배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마르코 포르지오네...
[사설] 홍해발 물류 공급망 위기, 큰 영향 없다고만 할 일인가 2023-12-25 17:32:37
해상 운임 상승이 항공과 육상 운임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국내로 들어오는 중동산 원유는 홍해가 아니라 페르시아만(灣)과 오만만을 잇는 호르무즈해협을 통해 수입된다. 이 때문에 정부는 우리 기업의 수출입과 국내 물가에는 아직 큰 영향이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확전 우려로 군사적 대응 수단이...
2위 해운사 머스크, 홍해 운항 재개 돌입 2023-12-25 17:12:52
다국적 해상 함대 덕분에 홍해 항로를 다시 통과할 첫 번째 선박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과 CNBC 등이 보도했다. 머스크는 "가능한 한 빨리 운항을 재개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친이란 반군인 후티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 지지'의 일환으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2위 해운사 머스크, 다국적함대 힘입어 홍해 운항 재개 준비 2023-12-25 08:50:15
미국과 동맹국들이 창설한 해상 태스크포스 '번영의 수호자 작전'이 "해운업계 전체에 가장 환영할만한 소식"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이 지역의 모든 리스크가 제거된 것은 아니다"라며 선박과 직원들의 안전 상황을 재평가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친이란 반군인 후티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홍해 피해 아프리카로 갔더니…북적이는 항구서 선박 대기 행렬 2023-12-23 09:14:01
보급이 필수다. 물류 컨설턴트인 알레시오 렌치오니는 로이터에 "남아공 더반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전하고 큰 항구인데, 아프리카 주변으로 항로를 변경한 선박은 (연료) 보충을 위한 접안 선택권이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케냐 몸바사와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등 다른 아프리카 대형 항구들도 앞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