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직장인 하루 9시간26분 일해…5년 전보다 40분↓" 2013-07-15 10:10:55
해 얻은 하루평균 근로시간(10시간 6분)보다 40분 줄어든 것이다. 직무별로는 연구·개발직종에 종사하는 직장인의 평균 근로시간이 10시간 29분으로 가장 길었다. 이어 생산기술직(9시간 49분), 인사·총무(9시간 41분), 마케팅·영업(9시간 25분), 디자인직(9시간 24분), 재무·회계(9시간 15분),...
'2년 제한' 기간제 근로자 정규직 전환 12.3% 불과 2013-07-11 17:15:25
2년 제한’이 근로자의 고용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자 패널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간제 근로자의 52.7%는 2.1년 만에 이직이나 실업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직장으로 옮겨 새로 취업한 사람은 36.5%였으며 6.7%는 실업자가 됐다. 9.4%는 장기간...
어려운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청 신중하게 준비해야 2013-07-11 11:34:29
비정규직, 일용직 등 그 고용형태와 영업소득신고의 유무에 불구하고 장래 계속적 또는 반복하여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어, 이를 변제의 재원으로 삼아 변제계획을 수행해 나갈수 있어야 합니다 급여소득자의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급여명세서 등, 영업소득자의 경우 종합소득세 확정신고서, 소득금액증명원...
현대연 "시간제일자리 `양질`로 바꾸는데 연7조 필요" 2013-07-07 14:17:35
93만개를 위해 올해 안에 `시간제 근로 보호법`을 제정한다는 계획이지만 연구원은 민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점진적으로 시행하고, 생산성 향상대책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시간제 일자리 시장에도 고부가가치 기업과 고숙련 근로자가 뛰어들 수 있게끔 유도하고 전 업종에서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에...
고용률 70%달성…시간제 일자리·청년고용 지원 확대 2013-06-27 18:55:55
체계도 구축합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특수형태업무 종사자에 대해 고용·산재 보험도 확대 적용합니다. 뇌혈관 또는 심장 질환 발병 전 12주 동안의 주당 평균 업무시간이 60시간을 넘을 경우 산재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됩니다. 또한 직업성 암과 호흡기계 중독 등 업무상...
`위장도급`의혹 삼성전자서비스 감독 실시 2013-06-24 17:39:25
의혹이 제기된 삼성전자 서비스에 대한 근로감독에 들어갔습니다. 고용부는 24일 삼성전자서비스 본사와 3곳의 A/S센터를 중심으로 현장감독을 진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고용부는 민주당 장하나, 은수미 의원 등이 지적한 근로시간·휴게시간 부여 등 파견법 위반여부를 집중조사할 계획입니다. 수시감독의 형태로 진행...
경기도, 143만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 마련 2013-06-18 17:53:19
이밖에도 도는 민간 기업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권익증진을 위해 기존에는 중앙부처, 민간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던 처우개선 프로그램을, 경기도와 도 비정규직지원센터, 노사발전재단, 도 중기센터 등이 참여하는, 가칭 ‘비정규직 차별 시정추진단’을 하반기 중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시정추진...
경총 "고용률 70% 달성, 노동유연성이 관건" 2013-06-13 19:01:51
전형적 근로가 돼가고 있다"며 "다양한 근로형태를 인정하고 그 변화를 고용창출이라는 긍정적 방향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규직 형태의 고용문화가 고용률을 높이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 셈입니다. 이 회장은 이어 "대기업·정규직 위주의 과도한 고용 보호는 중소기업 근로자와 비정규직의 고용...
"설계사 근로자 인정땐 보험사 최대 3조 부담" 2013-06-13 17:22:54
아닌 근로자로 인정하는 노동 관련법 개정안이 대거 발의돼 보험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관련 법이 통과되면 최대 3조원을 부담해야 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또 고용안정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와 달리 오히려 소득이 줄고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도 만만찮다. 법안 수혜자인 설계사들도 법안에 일방적으로...
[파견법 헌법소원 공개변론] 옛 파견법 법리공방…使 "경영 침해" vs 勞 "고용안정 장치" 2013-06-13 17:15:15
파견법 적용을 받지 않는다. 파견근로자가 허용되는 업종이 학원강사, pd 등 32개 업종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제조업체들은 대신 사내하도급 형태의 근로자를 쓰는데, 하도급과 파견의 구분은 모호하다. 그런데 대법원이 최근 현대차의 하도급업체 소속 근로자를 불법파견이라고 판결내리면서 파견법 적용을 받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