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사상사 여행] "담합 막는건 정부의 역할"…한국 공정거래법에도 영향 2013-01-25 15:14:35
수 없다고도 했다. 그러나 그는 복지정책은 ‘친시장적’이어야 한다는 점도 빼놓지 않았다. 따라서 가격규제나 보조금, 일자리 보호, 무상의료, 무상급식 등과 같은 정책은 반시장적이기 때문에 버려야 한다. 시장을 가장 적게 왜곡하는, 그래서 엄격한 선택적 복지여야 한다는 얘기다. 불황의 원인이 통화신용팽창을 통한...
[Cover Story] 복지 공약 지키는데 130조~270조원 든다고? 2013-01-25 09:59:36
복지국가는 필연적으로 실패한다고 보는 시각을 설명하는 두 가지 현상이 있다. 첫째는 공유지의 비극이다. 공유지의 비극은 목초지를 주인 없이 여러 사람이 공짜로 이용하도록 할 경우 사람들이 목초지를 보호하는 데는 관심이 없고 자기 소유의 가축을 먹이는 데만 열중해 결국 목초지가 사라져버린다는 현상이다....
4대 중증질환 무상의료 `우려` 2013-01-24 15:57:44
대상으로 무상의료가 시행될 경우 관련 보험상품의 판매가 위축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생보업계 관계자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든가 보편적 복지로 진행된다면, 보험업계에 다소 일부 상품 예를 들면 CI(치명적질병)보험이라든가 이런 쪽에 영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박근혜 당선인이...
[기로에 선 자본시장] 성장성 높은 中企 코스닥 진입 쉽게…자금조달 숨통 틔워야 2013-01-22 17:16:31
(3) 성장 & 복지, 자본시장에 길이 있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은 735개로 2005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코스닥시장 상장기업도 전년 대비 27개나 감소하면서 1997년 문을 연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증시 침체로 신규 상장하는 기업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기업공개(ipo)를 통한 기업의 자금조달...
전문가 10명 중 7명 "무상보육보다 국·공립 시설부터 늘려야" 2013-01-22 17:12:57
등 보건·복지 전문가 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보육시설 너무 모자란다”전문가의 60%(2개 복수응답 기준)는 보육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을 꼽았다. 현재 국공립 보육시설 비중이 전체의 5~10% 수준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다....
박근혜 복지공약 이행에 필요한 비용 '5년간 270조' 2013-01-20 10:50:00
태스크포스(tf)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총선 복지공약을 모두 집행하려면 5년간 268조원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따라서 박 당선인의 복지공약을 모두 이행하려면 보고서가 새누리당 총선 공약만 토대로 추산한 270조원보다 더 많은 돈을 투입해야 할 수 있다.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 16일 무상보육, 기초연금, 4대 중증질환...
지하철 유실물 1위 가방, 83.4%가 주인에게… 귀금속은 28.3%만? 2013-01-20 10:08:25
복지단체 등에 무상으로 전달하고 있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링 귀신 실제 모습, 사다코의 숨겨졌던 청순미모 "화장 얼마나 한거니?" ▶ 와이파이 제공자의 패기, 잠시 길을 잃었니? '널 위해 준비했어!' ▶ 어느 미성년자의 부탁, pc방 출입제한 2분 전… “이건 남자의 싸움!” ▶...
[새 정부에 바라는 재정개혁 방향] "공약 무리하게 지키려다간 재정 거덜…속도조절 나서야" 2013-01-18 17:13:18
한 복지는 괜찮지만 무상보육, 반값 등록금 등은 무리한 공약”이라고 지적했다. 최병호 보건사회연구원 원장은 “복지정책 도입에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 첫 번째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정된 재원으로 복지 공약을 모두 이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 원장은 또 “특정 부문에 재원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무상보육, 출발부터 ‘삐그덕’ 2013-01-18 16:31:41
“무상보육도 마찬가지로 기초노령연금처럼 취지는 좋지만 지자체나 중앙정부의 예산이 굉장히 제한돼 있기 때문에 이 사업을 하게 되면 목적달성은 두 번 째로 다른 복지사업들을 제대로 못한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이상적인 측면하고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적절한 정책조합이 필요할 것 같다” 선별적 지원과...
[시사이슈 찬반토론] 기초 연금 확대 바람직 할까요 2013-01-18 10:13:16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하지만 복지는 차별 없이 적용해야 하며 공약으로 내건 만큼 그대로 지켜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기초연금 대상 확대를 둘러싼 찬반논란을 알아본다. 찬성박근혜 당선인 측은 기초연금의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65세 이상 모든 노인들에게 기초연금을 확대할 경우 재정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