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신체 어디에나 붙는 '생체신호 스티커 센서' 개발 2016-02-04 13:47:09
유기광센서(OPD)로 구성된 유기광전소자를 사용해 전력 소모도 크게 줄였다. 광손실이 적도록 인체에 밀착 가능한 유연함을 가져 적은 구동 전류로 충분한신호를 확보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기존 기기와 달리 전도성이 존재하는 인체를 통신 매질로 이용했다. 인체...
[스마트 행복도시 대구] DGIST, 물산업 융복합 원천기술 개발 나선다 2016-02-03 07:00:10
관찰하는 iot 센서 개발에 나선다. 레이더, 광,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 비접촉 iot 센서로 수자원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해 통합 클라우드 워터플랫폼도 구축한다. 물관리 비용 절감 및 품질 좋은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다.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이용한 하수처리 패러다임 전환 연구는 에너지 융복합 분야에서 담당한다. 물산...
부산-부산대 공동연구팀, 세계최초 'DNA 리소그래피' 이용 고성능 전자소자 제작 2016-01-12 16:39:24
소자이다. 이 중에서도 ‘그래핀 나노리본 구조체’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으로 반도체 트랜지스터에 활용되는 등 실리콘을 대체할 물질로 각광받고 있으나, 대부분 전자빔 제거와 같은 고가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돼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전자빔에 의한 소자의 성능저하 등도 문제로...
'나노우담바라 피었네' 3차원 나노구조 제작기술 개발 2016-01-11 10:20:29
수 있다"며 "이 기술이 고효율 광전자 소자 개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유망기술 융합파이오니아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월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탄소나노튜브·나노결정성장기술로 고효율 녹색LED 구현 2016-01-08 12:00:20
발광소자에서 만들기 어려운 고효율 녹색 발광다이오드(LED)를 구현하는 나노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대 이성남 교수 연구팀은 8일 조명용 광원으로 주목받는 질화물계LED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 탄소나노튜브 위에 질화물 반도체 나노구조를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녹색 영역의 발광 효율을 크게 높일 수...
OLED와 그래핀 기술 접목해 투명도·화질 높인다 2015-12-15 09:17:43
ETRI 연구진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외부광 반사가 거의 없는 그래핀에 주목, 금속 투명전극을 그래핀으로 대체해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약 40% 높이고 반사도를 약 60% 줄이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6각형 벌집구조로 결합한 2차원 전도성 물질로 원자 한 개두께로 극히 얇지만 전기적·물리적...
태양전지, 이제 옷으로 입는다. 2015-12-01 12:01:00
효율이 높아 웨어러블 태양전지, 휴대 전자 소자 등 다양한 전자 기기의 핵심적인 광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승현 한경닷컴 qompass뉴스 기자 shlee4308@asiaee.net[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양자점 태양전지, 중금속 독성 없애고 효율 높였다 2015-10-22 12:00:19
효율을 높이려면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을 광흡수체로 써야 하기 때문에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양자점은 크기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등 다양한 빛을 내 각종 디스플레이 소자나 조명, 태양전지 등에 쓰일 수 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금속을 중심으로 만든양자점 나노입자를 광흡수체로 이용해 빛에너지...
출력 50배 높인 나노기반 테라헤르츠파 발생소자 개발 2015-10-15 09:36:02
가까운 전자기파다. 투과성이 뛰어나 빛(가시광)이 투과할 수 없는 물질도 잘 투과하기 때문에 생체조직이나 플라스틱, 금속 내부 등을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용화된 기존 THz 발생소자는 출력이 낮아 대상물을 정확하게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나노구조를 양극과...
"미래 TV시장은 해상도 아닌 색재현력이 승부가른다" 2015-09-27 08:01:11
각각 기술력을집중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서치는 "후면 광원부(백라이트유닛)가 있는 LCD TV는 의도하지 않은빛의 누출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다. 낮은 회색 모드에서 나타나듯이 흰색 소자를증착시키는 올레드의 색감이 낫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포브스(Forbes)는 SUHD TV 화질 평가에서 특히 강조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