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0대 이상 기술 창업 증가 추세…"비수도권 지원 확대해야" 2024-10-13 12:00:03
지역으로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고 대한상의는 해석했다. 반면 경남은 2016년 7.0%에서 2023년 5.2%로 1.8%포인트 하락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경북(0.7%포인트↓), 부산·대구(0.5%포인트↓), 울산(0.4%포인트↓), 광주·전북(0.2%포인트↓)에서도 기술 창업 비중이 줄었다. 김지수 산업연구원...
경남 귀어학교 '어촌 정착 길잡이' 역할 톡톡 2024-10-08 18:29:32
학교다. 경상국립대 해양과학대학이 운영을 맡아 교육 기간 교육생에게 숙식을 무상 제공한다. 어선 어업, 양식 등 귀어인에게 필요한 교육을 진행해 어촌에서 새로운 인생을 꿈꾸는 사람에게 큰 인기를 얻는다. 최근 6년간 귀어학교 졸업생 중 귀어인 비율은 27.4%(307명 중 84명)로 전국 최고 수준에 이른다. 귀어학교는...
의사 연봉 6억에 겨우 모셔…3천명 넘게 '공석' 2024-10-03 17:43:06
교육부 소관 대학병원 2천831명, 지방의료원 309명, 보훈병원 109명, 국립중앙의료원 107명, 보건복지부 소관 의료기관 71명 순으로 의사가 부족했다.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1천570곳 중 131곳도 정원이 부족했다. 지역보건법에 따라 전국 16개 시도 보건소와 보건의료원, 보건지소에 배치돼야 하는 의사 최소인력은...
인력 부족에 의사 몸값 급등...공공기관, 연봉 6억에도 '구인난' 2024-10-03 16:06:52
대학병원 2831명, 지방의료원 309명, 보훈병원 109명, 국립중앙의료원 107명, 보건복지부 소관 의료기관 71명 순으로 의사가 부족했다.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1570곳 중 131곳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지역보건법에 따라 전국 16개 시도 보건소와 보건의료원, 보건지소에 배치돼야 하는 의사 최소인력은 1956명이다....
심각한 공공의료기관 인력난…의사 연봉 6억까지 뛰었다 2024-10-03 15:56:55
교육부 소관 대학병원 2831명, 지방의료원 309명, 보훈병원 109명, 국립중앙의료원 107명, 보건복지부 소관 의료기관 71명 순으로 의사가 부족했다.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1570곳 중 131곳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지역보건법에 따라 전국 16개 시도 보건소와 보건의료원, 보건지소에 배치돼야 하는 의사 최소인력은...
경남 진주·사천 '투자진흥지구' 지정 탄력 2024-10-01 17:23:10
통과됨에 따라 우주항공기업의 지역 유치를 위한 투자진흥지구 지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개정 법안에는 △우주산업클러스터(경남·전남·대전)와 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사천) 내 투자진흥지구 지정 △투자진흥지구 내 정주 여건 조성(학교·교육과정 운영특례, 관련 연구기관·국제기구·종합병원·대학 등 지원)...
우주산업 속도 내는 부산시…지·산·학 '얼라이언스' 출범 2024-09-30 18:39:46
전망이다. 부산테크노파크는 경남 사천시에 우주항공청이 설립되면서 전국의 우주 관련 기업과 전문가, R&D 인력이 지·산·학 협력체계와 정주 여건이 뛰어난 부산으로 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우주 동맹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원장은 “부산 제조업 중 150개사의 우주산업 진출 가능성이 높고,...
좋은 일자리 창출로 고용 확대…경남도, 청년 유출 막았다 2024-09-29 16:29:08
△경남 주력산업(조선업·항공·자동차) 이중구조 개선 지원사업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을 통한 살고 싶은 경남 조성 등 경상남도만의 특색 있는 우수 일자리 정책에 관심이 높았다. 이 밖에 전국 최대 글로컬대학 선정과 미래교육혁신 교육발전특구 지정, 전국(장애인) 체육대회 개최 등 경상남도의 최근 성과와 핵심...
경남, 교육발전특구 13곳으로 확대…지역소멸 위기 막는다 2024-09-29 16:28:04
1차 8개 시·군에 이어 2차 공모에 5개 지역이 포함돼 18개 시·군 중 13곳(7개 지구)에 교육발전특구가 들어선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이 대학, 산업체 등과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정부 핵심 정책 중 하나다. 지역이 주도하는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우수...
창원시, 일자리 창출로 인구 100만명 사수 나선다 2024-09-29 16:26:58
받고 있다. 대학과 지역 생존의 히든카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정부도 2027년까지 유학생 30만 명을 유치해 세계 10대 유학 강국 도약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역내 대학, 창원상공회의소 등과 추진 체계를 구축해 온라인 박람회 등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동을 강화하고 입국과 교육 그리고 지역에 정주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