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칩'에도 전국 아침 영하권…꽃샘추위 주의 2020-03-05 08:01:11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이다. 그러나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등 꽃샘추위가 찾아와 주의해야 한다. 낮 기온은 6∼12도까지 올라 평년 수준을 회복하겠다. 기상청은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국이...
[모닝브리핑] 美다우, '바이든 효과' 4.53% 폭등…'타다금지' 운명의 표결 2020-03-05 07:09:57
주의 목요일인 5일 오늘은 절기상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입니다.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 다만 낮 기온은 6∼12도까지 올라 평년 수준(7∼12도)을 회복합니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이지만...
5일 날씨 : 경칩…꽃샘추위 2020-03-04 17:13:30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보통’. 아침 최저 영하 6도~영상 2도, 낮 최고 영상 6~12도.
구안와사로 인한 안면마비 증상, 예방하기 위해선 2020-03-03 17:43:37
동물들이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그만큼 봄이 찾아왔음을 의미하는데, 이런 초봄에는 큰 일교차로 인해 우리 몸의 면역력 관리가 어려워져 각종 질병에 대한 위협도가 높아지는데, 대표적 면역력 저하 질환 중 하나인 구안와사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흔히 `찬데서 자면 입돌아가는...
봄 기운 성큼…중고차 시장도 기지개 2020-02-26 15:32:34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중고차 시장도 슬슬 기지개를 켤 때다. 통상 중고차 수요는 신학기가 시작하는 3월부터 여름휴가 기간 직전인 7월까지 최대치를 보인다. 반면 차주들은 중고차를 하반기에 주로 내놓는다. 여름 휴가와 추석 명절까지 장거리 운행을 마친 차주들이 차량 연식이 바뀌기 전에...
마스크팩에 대한 소문 바로 알기! 2020-02-19 12:07:00
꽃샘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라는 속담이 있듯 이 시기만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져 봄기운이 돌기 마련이다. 이런 환절기의 밤낮 기온 차로 피부 속 당김과 건조주의보는 기초 케어만으로 촉촉함을 오래 유지하기는 어려울 터. 가장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팩을 사용...
'봄바람 휘날리며' 콜롬비아전 6만명 운집…A매치 첫 6연속 매진 2019-03-26 21:34:25
관중의 환호 속에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경칩'에 빗대 한국 축구도 봄 기지개를 켠다는 뜻의 '경축(驚蹴)'이라는 테마로 펼쳐진 응원전도 돋보였다. 팬들은 경기 시작 전 응원용 클래퍼를 들고 '오∼ 필승 코리아!' 응원 구호로 태극전사들에 힘을 실었고, 킥오프 때는 서포터스석을...
[한경에세이]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2019-03-13 17:50:16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을 지나 봄 날씨가 완연하다. 올겨울에는 그렇게 추운 날은 며칠 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겨울이 따뜻하면 좋은 일 아닌가’라고 단순히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여름철 폭염과 겨울철의 고온 현상이 우리 생활에 달갑지만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 같다....
봄 내음 가득한 '한 상' 차려드립니다 2019-03-10 14:20:37
긴 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도 지나고 따듯한 봄이 왔다. 겨우내 맛보지 못했던 봄 식재료가 식탁에 오르고 있다. 호텔 식당가도 완연한 봄이다. 입맛을 돋우기 위한 메뉴가 시즌 한정으로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내 산지에서 조달한 나물 요리부터 제철 해산물을 담은 정통 일식까지…. 동양의 미식을 한껏 담은 서울...
빨라진 봄, 올해 고로쇠 수액 채취 서둘러야 2019-03-07 08:47:00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경칩 시기에 맛볼 수 있다고 알려진 대표적 고소득 임산물 고로쇠 수액(지리산 지역)의 출수 시기가 따뜻해진 날씨로 앞당겨졌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의 모니터링 결과 올해는 2월 초(2월 4일)부터 본격적인 출수가 관찰됐다. 지난해에는 한파 영향으로 2월 중순(2월 14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