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그래픽] 고용 회복속도 미흡 "서비스업 부진 때문" 2018-02-08 14:57:56
[그래픽] 고용 회복속도 미흡 "서비스업 부진 때문"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한국은행은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실린 '최근 고용여건 점검'에서 "작년 1∼3분기 고용탄성치는 10만8천명으로 2011∼2016년 평균을 밑돌았다"고 밝혔다. jin3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고용 없는 성장에 갇힌 한국…한은 "서비스업 부진 때문" 2018-02-08 12:00:15
1∼3분기 고용탄성치는 10만8천명으로 2011∼2016년 평균을 밑돌았다"고 밝혔다. 고용탄성치는 경제가 1% 성장할 때 고용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이 수치는 2012년 19만명, 2014년 16만명, 2015년 12만1천명에서 뚝 떨어졌다. 고용탄성치의 하락은 경제가 성장해도 취업자가 그만큼 증가하지 못하고...
한은 "글로벌 교역, 금융위기 전 증가세 회복 쉽지 않아" 2017-12-24 12:00:02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따르면 교역 탄성치(교역증가율/국내총생산 성장률)는 내년에 1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성장보다 교역이 더 많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그러나 제약요인도 상존하고 있다. 국제분업체계의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구조적 GVC 지수(structural global value chain...
[일문일답] 이주열 "올해 성장률 2.7%, 물가 1.0% 전망" 2016-10-13 12:05:52
교역탄성치도 회복되면 교역신장률도 금년보단 나아질 것이라고 하는 몇가지 상방 흐름도 있다. ▲ 내년 성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로 무엇을 꼽나? - 내년 한국경제가 안고있는 리스크는 대외적으로 브렉시트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세계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는 점, 그리고 미국의 금리인상 점진적으로...
이기권 장관 "청년 160만명 논다면 사회가 감당할 수 있을까 두려움 앞선다" 2016-05-16 18:22:47
개선돼야만 실질적인 고용탄성치(한 산업의 경제 성장에 따른 고용변동의 크기)가 올라갈 것이기 때문이다. 연공서열식 임금을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고치고, 통상임금·법정 근로시간 및 근로계약 관계를 둘러싼 갈등 소지를 최소화해야 한다.상위 10%에 해당하는 대기업·공기업 노조가 막강한...
[시론] ICT산업 활력, 서비스 R&D서 찾아야 2015-10-14 18:07:47
뿐이다. ict산업의 고용흡수력 또한 둔화하고 있다. ict산업의 취업자 증가율을 생산액 증가율로 나눈 고용탄성치는 2014년 0.10으로 1 이하인 비탄력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한국은 ict 관련 기기제조, 통신서비스, 응용콘텐츠 등 삼박자를 고루 갖추고 있으며,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도 또한 매우 높은 세계적으로 보기...
이기권 장관 "일반해고, 취업규칙 변경 완화 지침 마련 서두르겠다" 2015-09-14 15:46:39
이 장관은 아울러 성장의 고용창출력을 높이는 것이 노동시장 개혁의 궁극적인 목표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 장관은 “2012년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전문대졸 이상 괜찮은 일자리 찾고 있는 이들은 1050만명인 반면, 대기업ㆍ중견기업 평균 임금 이상의 괜찮은 일자리는 602만개에 그쳤다” 면서 “과거 1% 성장 했을 때...
이기권 장관 "한국, 성장 따른 고용증가 미국·독일의 절반…임금체계부터 바꿔야" 2015-05-31 21:16:17
속도(고용탄성치)가 선진국보다 낮다”며 “미국 영국 독일 등은 고용탄성치가 0.75 이상인 데 비해 한국은 2000년대 초반 0.2 수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0.5 정도로 회복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노동시장이 고용친화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청년 일자리는 물론 지금 일하고 있는 장년세대의 고용...
생산가능인구 점차 감소…2020년부터 노동공급 부족 2014-11-30 21:33:55
한다고 강조했다. 2000년대 후반 0.22였던 고용탄성치(고용증가율을 경제성장률로 나눈 값)는 2010년 들어 역대 최고치인 0.60으로 급등했다. 경제가 1% 성장하면 고용이 0.6% 늘어났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긍정적이기만 한 현상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반면 저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2020년대부터 노동력 부족…'성장없는 고용' 시대" 2014-11-30 11:00:33
고용탄성치'(고용증가율/경제성장률)가 급상승했다는 점에서다. 1970년대 초반 0.41이던 고용탄성치는 2000년대 후반 0.22로 떨어졌다. 경제성장률보다 고용증가율이 더 빨리 하락한 '고용 없는 성장'의 시대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0년대 들어 경제성장률 하락, 고용증가율 상승으로 고용탄성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