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짐칸에 보조배터리 넣었냐' 묻더라"…에어부산 화재 원인은? 2025-01-29 12:55:40
목격해 관제탑으로 "계류 중인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상황을 알렸다. 28열에 앉았던 한 승객은 "갑자기 탄 냄새가 나서 뒤를 보니 불길이 강하게 솟았다"며"33~34열 머리 위 짐칸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불을 본 승무원이 '누가 짐칸에 배터리 넣으신 분'이라고 물어보더니...
“선반에서 타닥타닥” 에어부산 화재 승무원·승객 증언 잇따라 2025-01-29 11:58:31
보고 관제탑으로 “계류 중인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알렸다. 사고 항공기에 탑승했던 한 승객은 연합뉴스에 “기내 수하물을 두는 선반에서 ‘타닥타닥’ 소리가 난 후 연기가 났다”고 말했다. 또 “승무원이 ‘앉아 있으라’고 하고서 소화기를 들고 왔는데 이미...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본격 시작된 '분석의 시간'…남은 쟁점은 2025-01-29 06:00:01
방침이다. 사고 당일 항공기와 무안공항 관제탑과 처음으로 교신한 오전 8시 54분 43초부터, 충돌이 일어난 오전 9시 2분 57초까지 8분 14초간은 초 단위로 재구성해 들여다보고 있다. 항철위는 "확인할 수 있는 범위의 FDR, CVR 및 관제 교신 기록 등 자료를 시간대별로 동기화해 분석 중"이라며 "사고기의 운항 상황 및...
"활주로 2㎞ 앞서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종합) 2025-01-27 09:10:20
무안공항 관제탑과 착륙을 위한 최초 교신을 했고 관제탑에서는 01활주로 착륙을 허가했다. 착륙 허가를 받은 사고기는 01활주로로 접근 중 오전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활동(충돌)을 주의하라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그로부터 꼭 1분 뒤 블랙박스 기록이 동시에 중단됐다. 사고기는 그 직후인 오전 8시 58분...
제주항공 사고기 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흔적' 발견 2025-01-26 16:40:14
허가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8시57분50초 관제탑이 항공기에 조류 활동 주의 경고를 발신했고, 조종사들도 8시58분11초 항공기 아래 방향에 새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조종사들의 대화가 있은 지 1분도 채 안 된 8시58분56초 관제탑에 조류 충돌로 인한 조난(메이데이)을 선언했다. 이후 여객기는 활주로 좌측...
'조류 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멈췄다…새떼 접촉도 포착 2025-01-25 17:14:06
8시 54분 43초 공항 관제탑과 착륙 접근을 위해 처음 교신했다. 관제탑은 사고가 발생한 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01활주로로 착륙 허가를 했다. 3분 7초 뒤인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은 항공기에 '조류 활동(충돌) 주의' 정보를 발부했다. 이후 8시 58분 11초, 기장과 부기장은 항공기 아래쪽에 조류(새떼)가 있다는...
마지막 4분 7초 블랙박스 중지…양쪽 엔진 모두 오리와 충돌 2025-01-25 16:00:03
허가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8시 57분 50초 관제탑이 항공기에 조류 활동 주의 정보를 발부했고, 사고 여객기 조종사들도 8시 58분 11초 항공기 아래 방향에 조류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조종사들의 대화가 있고 1분도 채 안 된 8시 58분 56초 조종사는 관제탑에 조류충돌로 인한 비상선언(메이데이)을 실시했...
'조류 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먹통…CCTV에 '새떼 접촉' 포착 2025-01-25 16:00:01
8시 54분 43초 공항 관제탑과 착륙 접근을 위해 처음 교신했다. 관제탑은 사고가 발생한 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01활주로로 착륙 허가를 했다. 3분 7초 뒤인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은 항공기에 '조류 활동(충돌) 주의' 정보를 발부했다. 이후 8시 58분 11초, 기장과 부기장은 항공기 아래쪽에 조류(새떼)가 있다는...
"메이데이" 외친 뒤 충돌…'마지막 4분' 기록 끊겼다 2025-01-12 18:01:19
동안의 정보가 저장된다. CVR을 통해선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 관제탑 교신 내용 등 2시간 분량의 음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흔히 ‘블랙박스’로 불리는 FDR과 CVR은 1100도 고온에서 1시간 이상 버티고, 3400G(중력가속도)의 충격도 견딜 수 있다. 그럼에도 마지막 4분간 블랙박스의 작동이 멈춘 건 기체 내 모든 전원...
무안 관제량 다른 공항 대비 3배…2017년 야간운항 제한 백지화 2025-01-05 08:44:29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이후 4천∼7천대 수준을 유지하다 2014년 하반기 제주공항 활주로 공사로 무안 공항이 교체 공항으로 지정받으면서 관제량이 2만5천310대(하루 69.3대)로 늘었다. 이후 교체 공항 유지에다 비행 항공 훈련기 관제까지 더해지면서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2015년(4만9천401대·하루 135대),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