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래 먹거리 핵심은 기술…대학들, 혁신인재 양성 앞장선다 2021-08-17 15:14:50
지능형 다차원 프린팅 소재 및 시스템 융합기술 교육연구단(책임교수 박종욱)은 다차원 프린팅 산업의 기술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차원 프린팅 분야에서 부족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식과 공학적 응용력을 모두 갖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중앙대 컴퓨터공학과 BK21(두뇌한국21) Four(4단계) 빅데이터...
성균관대, 경기도·기업과 '산·학·관 원팀'…"융복합 센서 글로벌 거점 될 것" 2021-08-17 15:12:08
활용한 하이브리드 구조를 개발해 향상된 광전기적 특성을 가진 고성능 포토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포토트랜지스터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물질의 광 반응성 향상을 목표로 개발됐다. 김 교수팀은 유효성 증대, 안정성 개선 등 추가적인 최적화 과정을 통해 도내 반도체·소자 분야 ...
"뉴런·시냅스 통합한 인공신경섬유소자 개발…신경세포망 역할" 2021-06-03 12:00:15
뉴런 기능을 모방하는 인공신경섬유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3일 광전소재연구단 임정아·주현수 박사 연구팀이 뇌의 신경세포망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인공신경섬유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공신경섬유 소자는 전극을 꼬아 개발한 것으로, 뉴런과 시냅스처럼 여러 전극으로 들어오는 전기 신호를...
RF머트리얼즈, '레이저 다이오드칩' 정부 국산화 과제 선정에 급등세 2021-05-12 10:54:15
소재와 이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 칩 개발에 참여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통신,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LiDAR), 산업용 고출력 레이저 가공 설비, 의료·헬스케어 장비 등 다방면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으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이번 과제는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와 이를...
[사이테크 플러스]"냉각소자 필요없는 열영상센서 개발…스마트폰·자율주행 적용" 2021-04-15 12:00:09
열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광전소재연구단 최원준 박사팀과 전자재료연구단 백승협 박사팀이 성균관대 백정민 교수팀과의 융합연구로 100℃에서도 냉각소자 없이 동작하는 열열상센서를 개발, 기존 열영상센서의 가격과 작동온도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열영상센서는 인체나 물체가 방출하는 열을...
과기부, 미래선도형 수소원천기술 개발에 6년간 253억원 투입 2021-04-08 12:00:12
분야는 광전기화학적 고효율 수소 생산 기술, 프로톤 기반 고효율 중온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 재생에너지 연계 열화학적 수소 생산 기술, 고체 흡착 수소 저장 기술 등 4개 기술이다.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사업 공모 분야] ┌──┬────────────┬─────────────────────┐ │분야│...
"태양전지 효율 25%까지 높였다"…韓연구진 '네이처' 표지 장식 2021-02-25 01:00:01
전기로 바꿔주는 비율인 광전변환 효율로 측정한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26.7% 수준이다. 페로브스카이트 전지의 효율은 25%를 밑돌았다. 서장원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0.1㎠ 면적 기준 25.2%의 효율을 내는 데 성공했다. 2019년 9월 미국신재생에너지연구소(NREL) 집계...
[사이테크 플러스]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 개발…'네이처' 표지논문게재 2021-02-24 15:00:01
물질로, 저렴한 화학소재를 이용해 저온 용액공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 후보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빛을 전기로 바꿔주는 광전변환효율이 낮고 실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려면 안정성을 더욱 높여야 하는 등...
[사이테크 플러스] "광통신 펄스 레이저 반복속도 57.8㎓ 달성…기존 속도의 1만배" 2020-12-03 12:00:16
3일 광전소재연구단 송용원 박사팀이 펨토초(10의 15제곱분의 1초)로 동작하는 광섬유 펄스 레이저 발진기에 탄소 소재인 그래핀이 포함된 공진기를 추가로 삽입, 펄스를 기존보다 1만배 이상 빠른 57.8㎓로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데이터 통신에 적용하면 데이터 전송·처리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사이테크 플러스] 빛 회전특성 이용해 반도체 보안성능 획기적으로 높인다 2020-10-20 12:00:10
20일 광전소재연구단 임정아·주현수 박사팀과 부산대 고분자공학과 안석균 교수팀이 공동연구로 하드웨어 구조 변경 없이 빛의 회전(편광) 특성을 이용해 '물리적 복제방지 기능'(PUF)의 보안 성능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암호화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폰과 가전, 드론, 무인자동차 등 강력한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