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시카고, 금주법 시대 알카포네 밀주 제조공장 철거 2018-07-19 12:50:23
美시카고, 금주법 시대 알카포네 밀주 제조공장 철거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미국 금주법 시대, 악명높은 마피아 두목 알카포네(1899~1947) 휘하에서 밀주 제조처로 사용된 시카고 양조장 건물이 철거를 앞두고 관심을 받고 있다. 18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시카고 도심 남부 차이나타운 인근 럼버...
[이종기의 위스키 여행] 12세기 위스키 첫 제조… 부침 겪으며 생산량 세계 5위로 2018-06-22 17:09:09
시장이던 미국에도 금주법 때문에 판로가 막히자 아일랜드 위스키는 해외 시장에서 설 땅을 잃는다. 이후 스카치 블렌디드가 세계 시장을 석권하면서 세계인의 사랑을 받던 아이리시 위스키는 내수에만 치중하게 됐다. 1966년에는 네 개의 증류소만 남는다.1970년에 이르러 아일랜드 위스키산업은 변화를 모색한다. 근근이...
[이종기의 위스키 여행] 미국 위스키 대명사 버번, 19세기 중부 이민자들이 개발 2018-06-15 17:52:08
한때 금주법으로 큰 타격을 입었지만, 다시 활력을 찾아 세계 위스키 생산량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캐나다 위스키도 미국처럼 옥수수를 주원료로 한다. 캐나다만의 특징이라면 위스키에 가미한 부드러운 귀리 향. 추운 캐나다 기후에서 잘 자라는 귀리가 위스키의 원료로 쓰인 결과다. 캐나다에서는 캐나디안 라이,...
[이종기의 위스키 기행] 세금 피해 오크통에 위스키 담아 숨겨둔 데서 숙성기술 탄생 2018-06-08 21:54:36
시장이었던 미국의 금주법(1920~1933년)에 따른 불황이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은 독일에 의해 유럽 대륙으로부터 고립됐다. 이에 스코틀랜드의 많은 증류소가 문을 닫았고 위스키는 숙성고에서 잠들게 됐다. 다행히도 영국은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막대한 부채를 짊어진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부채를 해결하는...
[천자 칼럼] 시칠리아와 마피아 2018-03-29 17:44:04
카포네도 그중 하나다. 마피아는 1920년대 시행된 금주법(禁酒法)을 계기로 전국으로 세를 확산시켰다. 1950년대에는 미국 전역에 24개 마피아 조직이 활동하기도 했다.이탈리아 마피아는 아직도 건재하다. 노사 코스트라(시칠리아)와 카모라(나폴리) 등 4대 조직이 있다. 이들의 상당수는 교회 출석과 기부 활동 등으로 교...
미국 인디애나주, 200년 만에 '일요일 술 판매' 허용 2018-03-01 16:05:34
1850년 다시 제재가 강화됐다. 미국에서 1919년 금주법이 제정됐다가 1933년 전면 폐지됐으나 인디애나주는 일요일 주류 판매 금지 원칙을 고수해왔다. 한편 시카고 선타임스는 미국 증류주협회 자료를 인용, 인디애나 주는 일요일 주류 판매를 허용한 41번째 주라고 밝혔다. AP통신은 주류상들이 이 입법을 위한 로비 자금...
[숨은 역사 2cm] 미국 대통령도 백인 우월주의 테러단체 KKK에 가입했다 2017-08-17 10:00:03
문란했다. 공화당 주도로 금주법이 제정됐는데도 밤마다 백악관에서 술을 마시면서 포커 도박을 하거나 여자들과 어울렸다. 측근 장관들은 초대형 부패 사건에 줄줄이 휩싸인다. 스캔들 당사자는 하딩의 대선을 도운 고향 친구들이다. 법무부 장관이 압류한 독일인 재산을 처분하는 과정에서 거액을 챙겼고 내무장관은 국영...
[숨은 역사 2cm] '술은 독이자 보약'…세조 측근 장군, 취중 실언에 참수형 2017-07-25 08:00:16
평가받는다. 16년간 강력하게 유지돼온 금주법을 취임 직후 없애버리고 본인부터 술을 즐긴 루스벨트는 마티니를 거의 매일 마실 정도로 술을 좋아했다. 각료회의가 오후에 열릴 때는 손수 만든 칵테일을 장관들에게 돌렸다고 한다. 1972년 냉전체제의 한 축을 무너뜨리는 역사적 현장에도 술이 등장했다. 리처드 닉슨 미국...
[대한민국을 흔든 판결들] "골목상권 위해 마트 영업제한 타당"…소비자 권리 침해는 문제 2017-06-30 18:50:19
분위기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의문이다.美 금주법처럼 사라질 것우리 사회는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일상적 소비생활의 패턴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또 그럴듯한 명분이나 구호보다는 먹고, 마시고, 입고, 쉬는 일상의 삶과 직결되는 생활정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런 소비자로서의 각성이 실제 선거...
[책마을] 바보야, 미국은 하나가 아니야! 2017-06-29 19:25:08
독립전쟁은 물론 남북전쟁과 그 후의 금주법 제정, 여성참정권 허용, 사회개혁, 자유주의 신학, 흑인의 민권운동, 1960년대의 문화혁명, 환경문제 등 다른 현안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분열하는 제국》을 쓴 작가이자 역사가인 콜린 우다드는 이런 사례들을 보여주며 “미국은 결코 하나였던 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