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조한창 재판관 "헌재, 정치의 사법화로 어려운 일 늘어" 2025-01-02 10:51:46
기본권 보장이 어떻게 실현돼야 하는지 항상 고민하겠다"며 "배려와 공감을 기본으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를 통해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초대 헌법재판관인 알비 삭스의 저서 '블루 드레스'에 나오는 '국가가 실험대에...
애도 기간에도 '네 탓' 공방한 與野…서로 "가짜뉴스" [정치 인사이드] 2025-01-01 08:42:01
상당히 많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장난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민의힘을 향해서도 "예비비 삭감에 문제가 있으면 진짜로 어떻게든 싸울 생각을 해야 하는데, 윤석열을 위해서만 싸우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尹측 “수사권 없는 체포영장, 권한침해” 2024-12-31 16:58:57
당사자로서는 매우 중요한 신체적 자유권, 기본권에 대한 문제이므로 효력 정지를 구할 수 있다” 말했다. 한편 이들 변호인단은 공수처가 대통령 내란죄 수사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데도 영장전담 판사가 공수처가 청구한 체포영장을 발부해 헌법 66조에 따른 대통령의 헌법 수호 책무 권한 행사와 삼권분립에 따른...
[차장 칼럼] 햄릿과 돈키호테의 선택 2024-12-30 17:34:58
여긴다”며 “이들 두 영웅의 이상이야말로 수백 년간 그들이 인기를 누린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르네상스 후기인 1600년대 초반 두 걸작이 거의 동시에 출간된 일도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하려 한 비상계엄 사태를 넘어 자유민주주의라는 헌법적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우리 시대의 햄릿과...
이훈기 의원 대표발의 'AI기본법' 국회 통과…"기본권 영향평가 도입" 2024-12-26 18:35:37
'기본권 영향평가' 등 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의 법률안이 토대가 됐다. 이훈기 의원은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만의 인공지능 발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제 마련이 시급했다"며 "이번에 통과된 기본법에는 인공지능이 우리 국민의 기본권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단통법'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10년 만에 폐지" 2024-12-26 16:41:48
생명·신체 안전,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AI 시스템은 '고영향 AI'로 규정해 규제한다. 고영향 AI나 생성형 AI를 이용한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워터마크 등을 활용해 AI를 사용했다는 사실을 이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AI 사업자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인공지능 산업 지원·규제 근거 마련…'AI기본법' 국회 통과(종합) 2024-12-26 16:22:07
및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인공지능시스템을 '고영향 AI'로 규정하고, 관련 규제도 마련했다. 이 같은 고영향 AI나 생성형 AI를 이용한 제품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워터마크 등을 이용해 AI를 사용했다는 사실을 이용자에게 명확히 알리도록 했다. AI 사업자는...
평양냉면·민희진·계엄까지…2024 한국을 흔든 10대 사건 2024-12-26 06:55:16
포고령에는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조치들이 포함돼 있었다. 국회 담을 넘어 들어간 국회의원들은 계엄령 선포 후 2시간 만에 계엄 해제를 의결했다. 이 과정에서 MZ세대 군인들은 불합리한 지시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며 나름대로 저항했다. 허술하게 준비된 계엄은 분연하게 움직인 국민에 의해 6시간 만에 종료됐다....
"낙태권 보장 대책 촉구" EU 시민청원 100만명 넘어 2024-12-24 22:21:16
EU 기본권 헌장에 '모든 사람은 안전하고 합법적 낙태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내용이 추가 돼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이 가결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이 없어 상징적 메시지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헌장 개정을 위해서는 27개 회원국 만장일치 합의가 있어야 한다. 이달 출범한 EU 새...
통상임금 소급 소송 제한…"대법원 말 믿어도 되나요?" 2024-12-24 17:54:55
기본권을 제한할 법적 근거는 빈약하다"며 "노동조합이나 개별 근로자들이 대법원의 소급효 제한 판단을 따를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대법원의 소급효 제한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근로자 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통 노조 등에서 통상임금 소송을 낼 때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