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북대, KAIST 유전체 기술 기반 인간 배아 발생과정 추적 성공 2021-08-26 17:00:17
예쁜꼬마선충 (C. elegans), 초파리, 생쥐 등 모델 동물을 이용해 이뤄졌다. 특히 예쁜꼬마선충의 배아 발생과정 연구는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영예를 안겨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 간의 차이로 이들로부터 인간의 발생과정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연구팀은 DNA 돌연변이에...
[CEO의 서재] 사람 대체할 '괴물 AI'는 없다! 2021-08-18 17:43:19
연결선이 7000개에 불과한 꼬마선충의 뇌조차도 그 구조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아직도 미지의 영역이다. 하물며 인간의 뇌는 말할 것이 있을까? 연구자들은 화려하게 채색된 뇌 지도, 일명 커넥톰(connectome)을 작성하거나 인공신경망으로 뇌기능을 모델링할 수...
[사이테크 플러스] 뇌 발달 실시간 관찰해보니…"신경세포 연결 끊임없이 형성" 2021-08-05 15:45:50
꼬마선충 탄생부터 성체까지 뇌 발달과정 분석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 연구팀이 생물연구 동물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이용해 뇌가 발달하는 모습을 시간 흐름에 따라 관찰, 뇌 신경세포(뉴런)가 일정 패턴에 따라 끊임없이 서로 연결되면서 정보처리 효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나노다이아몬드 활용 양자 기술로 1㎜ 선충 체온 측정 2020-09-12 10:17:56
활용 양자 기술로 1㎜ 선충 체온 측정 선충에 투입한 형광 다이아몬드 양자스핀 현미경 센서로 추적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나노다이아몬드를 활용해 현미경에 장착한 양자(quantum) 센서로 1㎜가 채 안 되는 작은 생물의 체온을 정확히 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일본 오사카시립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이...
장내미생물이 조절하는 새로운 노화조절 해법 찾았다 2020-07-17 08:50:28
예쁜꼬마선충과 대장균을 이용해 장내미생물이 조절하는 새로운 노화기전을 발견했다. 권은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전문연구단장팀은 장내미생물에서 발생하는 메틸글리옥살(MG)의 양이 적으면 수명이 10~20% 정도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MG는 생체 내 단백질이나 유전물질을 변형시켜 파킨슨병이나 당뇨병을...
"마이크로 RNA가 항암 단백질 조절하는 기제 첫 발견" 2020-05-28 14:48:57
모두 잘 보존된 마이크로 RNA는 1993년 '예쁜 꼬마선충'의 유충에서 처음 발견됐고 공식 명칭이 사용된 건 2001년부터다. 마이크로 RNA는 고대부터 생명체의 진화와 유전자 조절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마이크로 RNA의 단백질 생성 조절은 암을 비롯한 많은 질병의 발생과 연관돼...
"수면 부족하면 비만해진다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2020-04-22 16:38:33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제로 선충의 유전자를 다시 조작해 지방 분비 효소를 생성하게 하자 잠자는 기능을 회복했다. 이 결과는 비만한 사람이 수면 장애를 겪는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레이즌 교수는 "지방 저장과 수면 조절 사이에서 뇌세포의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물론...
"과도한 뇌 신경 활동, 수명 단축할 수 있다" 2019-10-17 16:53:44
꼬마선충(C.elegans)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및 세포·분자 생물학 실험, 100세를 넘겨 장수한 기증자와 유전자 조작 생쥐의 뇌 조직 분석 등을 추가로 진행했다. 이 후속 실험에서 신경 자극에 변화가 생기면 곧바로 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실험의 모든 징후는 REST 단백질을 가리켰다. 유전자를 제어하는...
"말라리아 원충이 만드는 헤모조인, 포유류도 생성" 2019-10-02 16:23:38
꼬마선충(C.elegans) 실험에서 헴 운반을 제어하는, HRG1이라는 유전자를 발견했고, 인간도 비슷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걸 확인했다. 이에 포유류의 헴 운반 및 재활용 과정에서 이 유전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생쥐를 대상으로 일명 '녹아웃(knock-out)' 방식의 유전체 분석 실험을 진행했다. 그...
"스트레스가 건강 해치는 생리적 메커니즘 규명" 2019-09-11 11:28:34
'예쁜꼬마선충(C. elegans)'에 실험했다. 예쁜꼬마선충은 흙 속에서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선형동물인데, 배양과 냉동 보관이 쉽고 발생 단계도 비교적 단순해 세포 분화 실험 등에 단골로 쓰인다. 알케마 랩(실험실)의 제레미 플러먼 박사 과정 연구원은 "투쟁-도피 반응을 반복해서 활성화하면 선충의 수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