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바이오니아, 美 코아레와 췌장암 RNAi 치료제 공동연구 2021-12-07 13:31:11
개발한 SAMiRNA는 단일분자 나노입자형 구조체다. 기존 RNAi 치료제와 달리 전달체가 필요 없다. 혈액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표적 유전자까지 안정적으로 침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SAMiRNA 플랫폼을 통해 RNAi 신약으로 가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코리, 美 인피니플루딕스와 차세대 LNP 공정 개발 협약 2021-11-18 10:57:07
약물전달체(LNP 구조체) 생산의 새로운 공법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력 기본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코리는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의 참여사다. 인피니플루딕스는 펜실베니아대(유펜)에서 분사한 기업이다. 인피니플루딕스는 반도체 칩 공정을 활용해 미세유체공학 기술 기반 차세대...
AI 전력소비 '100분의 1'로…차세대 전자소자 기술 개발 2021-10-08 16:59:55
고슴도치 가시처럼 뒤섞여 있는 ‘스커미온’이란 구조체가 있다. 스커미온은 수 나노미터(㎚·1㎚=1억분의 1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작은 전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스커미온을 이용해 만든 소자는 기존 소자에 비해 100분의 1 이하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차 산업혁명...
한남대 화학과 박사과정 이마드 씨, SCI 국제학술지 제1저자 논문 발표 2021-09-28 10:35:42
한남대에 따르며 이집트 출신 유학생인 이마드 씨는 유효면적이 큰 다공성 물질인 새로운 나노구조체(Al-doped Co9S8@NG)를 합성해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전극에 응용했다. 이 연구로 국제학술지인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영향력지수 13.27, SCI 화학분야 상위 2.4%) 온라인판 제1저자...
신신제약, 가천대와 전립선비대증 치료 마이크로니들 개발 2021-07-15 14:13:16
기술과 박정환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의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융합할 계획이다.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구조체로, 피부에 부착할 때 통증은 최소화하고 피부 투과율을 증진시켜 약물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 박정환 교수는...
에스티팜, 포스텍서 mRNA 백신 원액 대량생산 조언받는다 2021-06-29 09:51:29
분자를 지질나노입자(LNP)로 코팅한 백신 원액을 대량 생산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다.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에서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적용한 LNP 구조체의 제조 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조언을 받는다. 결과물과 지식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며, 연구 기간 중...
에스티팜, 포스텍과 mRNA백신 원액 생산 연구협약 체결 2021-06-29 09:45:47
나노입자(LNP) 구조체의 제조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자문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원액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다. 협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의 자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결과물 및 지적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한다....
가천대학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 2021-06-07 16:33:25
기술 개발 △나노 구조체 기반 치료 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전임상 치료제 개발 등을 세부 목표로 설정했다. 한편 가천대 바이오나노응용연구센터는 2008년도에 설립되어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GRRC), 성남시지역협력연구센터(SRRC) 사업을 수행하며 바이오나노 분야 연구역량을 입증해왔다. 이번 연구사업에는...
서울대 공급망관리 연구실 등 '건강한 연구실' 10곳 선정 2021-06-02 10:00:03
연구실, 포항공과대 구조용 나노 금속·공정 연구실, 한국과학기술원 지능형 연성소재 연구실,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마이크로 나노구조체 연구실, 한림대 청각기술 연구실 등(이상 가나다 순)이다. 이들 연구실은 학생이 참여하는 연구실 운영 등 수평적인 문화를 보유했고 연구데이터 공유와 산학협력 프로젝트 활성화,...
빛으로 뇌 신경 자극해 신호 분석…'나노 죽부인' 미지의 뇌 탐색한다 2021-03-26 17:43:15
나노 죽부인’이란 별칭이 붙었다. 유연한 그물망 형태의 고분자를 원통형으로 만 나노 구조체다. 연구팀은 이 구조가 뇌신경에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오랜 기간 동안 뇌신경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뇌 신호 측정은 물론 빛을 통해 뇌신경을 인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