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코스맥스, 피부 전달체 '코인셀' 개발…아누아 신제품에 적용 2024-10-29 09:29:51
코스맥스, 피부 전달체 '코인셀' 개발…아누아 신제품에 적용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코스맥스[192820]는 피부 침투력을 높인 동전 모양의 피부 전달체 '코인셀'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코인셀은 입자 크기가 가로 50㎚(나노미터) 이하, 세로 4∼6㎚에 불과해 피부 각질층 침투에 유리하다....
"기본부터 다진다"…삼성, D램·낸드 다시 올인 2024-10-28 18:33:02
나노(㎚·1㎚는 10억분의 1m) 6세대 D램(1c D램), 2026년에는 10㎚ 7세대 D램(1d D램)을 공개한 뒤 2027년엔 10㎚ 미만 1세대 D램(0a D램)을 도입한다. 0a D램의 가장 큰 특징은 낸드플래시처럼 3차원(3D) 구조 기술인 ‘VCT’를 적용해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 것이다. VCT D램은 셀 간의 간섭 현상을 줄이고 용량을 늘리기...
[표]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22일) 2024-10-22 15:45:49
│휴온스글│60,929.1│16,300.0 │나노신소재│206,526.2 │25,193.0 │ │로벌││ │ │ │ │ ├────┼──────┼─────┼─────┼─────┼─────┤ │디어유 │57,141.6│23,331.0 │한중엔시에│193,606.3 │48,173.0 │ │││ │스│ │ │...
[표]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21일) 2024-10-21 15:45:34
│동운아나│198,203.7 │104,419.0 │나노엔텍 │82,657.7 │161,066.0 │ │텍 ││ │ │ │ │ ├────┼──────┼─────┼─────┼─────┼─────┤ │메디톡스│190,344.5 │10,977.0 │디앤디파마│76,388.4 │15,300.0 │ │││ │텍│ │ │...
삼성 최고성능 그래픽 D램…1초 만에 영화 60편 처리 2024-10-17 17:51:30
12나노급 24기가비트(Gb) 7세대 그래픽 D램(GDDR7·사진)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신제품은 PC, 게임 등 기존 응용처뿐 아니라 인공지능(AI) 워크스테이션(특수 연산 컴퓨터), 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제품이 필요한 분야에도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제품은 업계 최고 용량(24Gb)과 그래픽 D램 중 최고 속도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 'OCP 서밋'서 차세대 메모리 선봬 2024-10-17 17:20:23
10나노급 6세대(1c) 공정 기반의 DDR5 RDIMM, 고용량 저장장치 eSSD 등 다양한 AI 메모리를 전시하며 눈길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요 임원들의 AI 관련 발표와 패널 토의도 이어졌다. 송택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 설루션팀 상무는 반도체 기업인 마벨(Marvell), 아스테라 랩스(Astrera...
삼성전자, 저전력 특화 '24Gb GDDR7 D램' 개발 2024-10-17 09:13:06
나노급 미세 공정을 적용해 동일한 패키지 크기에 셀 집적도를 높여 전작 대비 50% 향상된 용량을 구현했다. 또한 'PAM3 신호 방식'을 통해 그래픽 D램 중 업계 최고 속도인 40Gbps를 구현했다. 사용 환경에 따라 최대 42.5Gbps까지의 성능을 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부터 모바일 제품에 적용되는 기술들을...
삼성전자, 업계 최초 24Gb GDDR7 D램 개발…내년 초 제품 상용화 2024-10-17 08:41:38
12나노급 24Gb(기가비트) GDDR7 D램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연내 주요 그래픽처리장치(GPU) 고객사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컴퓨팅 시스템에서 검증을 시작해 내년 초 제품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전작인 16Gb GDDR7 D램 대비 용량과 성능, 전력 효율이 모두 향상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성능 끌어올린 '삼성표 신제품'…업계 최초 개발 D램 공개 2024-10-17 08:38:25
12나노급 미세 공정을 적용해 동일한 패키지 크기에 셀 집적도를 높였다. 전작보다 50% 향상된 용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또 PAM3 신호 방식을 통해 그래픽 D램 가운데 업계 최고 속도인 40Gbps를 구현했다. 사용 환경에 따라 42.5Gbps까지 성능을 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부터 저전력 특성이 중요한 모바일...
KIST "고온 수전해 전지 성능저하 원인, 나노단위서 밝혀" 2024-10-16 12:00:01
KIST "고온 수전해 전지 성능저하 원인, 나노단위서 밝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고온 수전해 전지의 급격한 성능저하가 일어나는 원인을 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에서 실험적으로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에너지소재연구단 장혜정, 윤경중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