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벤티지랩, mRNA 백신 신속 개발 국책 과제 선정 2024-10-29 14:11:06
나노입자(LNP) 백신의 대량 생산 공정·장비 개발을 담당할 예정이다. 국제백신연구소는 mRNA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를 수행하며, 가톨릭대학교는 mRNA 백신 발현·전달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엔지노믹스는 mRNA 원료 공급을 맡는다.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중앙 집중식 생산 시설에 의존하던 기존 백신 생산 구조에서...
코스맥스, 피부 전달체 '코인셀' 개발…아누아 신제품에 적용 2024-10-29 09:29:51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코인셀은 입자 크기가 가로 50㎚(나노미터) 이하, 세로 4∼6㎚에 불과해 피부 각질층 침투에 유리하다. 코스맥스는 스킨케어 브랜드 '아누아'를 전개하는 더파운더즈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이달 중 코인셀 기술을 적용한 세라마이드 크림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공동 특허도...
엠디헬스케어, '시알 파리2024'에서 혁신상 수상 2024-10-24 14:24:06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락토베시클 소재는 나노 입자로서 장점막을 쉽게 통과해 우리 몸에 흡수돼 장 염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장-뇌 축(gut-brain axis)을 통해 뇌에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주요 학술지를 통해 나오고 있다. 락토베시클이 고농도로 함유된 ‘락토베시클 프리미엄’ 제품은 치매, 우울증,...
"육종암으로 사망"…젊은 교사 죽음 몰고 간 공포의 '3D프린터' 2024-10-23 15:32:55
유해 물질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암물질인 나노입자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다량 생겨난다. 3D프린터를 하루 6시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담배 360개비에서 나오는 초미세먼지와 같은 양을 흡입하는 셈이라는 산업안전보건공단 연구 결과도 있다. 3D프린터가 국내에 본격 보급되기 시작한 건 2014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멥스젠, 나노입자 생산 자동화 장비 ‘나노칼리버’ 출시 2024-10-22 11:09:10
지질나노입자(LNP)를 생산하는 칩과 고분자 지질나노입자(LPNP)를 생산할 수 있는 칩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나노칼리버 랩은 해당 라인업의 첫번째 장비로 초기 입자 설계에서 전임상 동물실험까지 다양한 나노입자 개발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벤치탑 연구용 제품이다. 나노칼리버 랩은 3~15 mL/min의...
세닉스 "美 FDA, 나노입자 염증치료제 임상 1상 계획 승인" 2024-10-11 10:22:27
= 나노의학 제약사 세닉스바이오테크는 산화 세륨 나노입자를 이용한 중증 급성 염증 질환 치료제 'CX213'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CX213'은 특히 지주막하출혈(SAH) 치료를 목표로 개발됐으며, 내년 1분기 시작 예정인 임상 1상에서는...
데이비드 베이커 "AI 신약개발은 상상할 수 없는 혁신…후보물질 1490만개 발굴" 2024-10-10 18:36:46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에 결합하는 나노입자 60개를 컴퓨터로 설계했고, 그중 항체 반응을 가장 잘 유도하는 단백질을 선별했습니다. 모든 걸 코로나19 초기 몇 달 안에 이뤄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는 이후에도 범용 백신, 비강형 스프레이 백신 등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 밖...
"SK바사 백신 개발 기여…노벨화학상 수상자 성과" 2024-10-10 18:02:34
의대 단백질설계연구소(IPD)에서 설계한 단백질 나노입자다. 데이비드 비슬러 워싱턴 의대 교수와 렉시 웰 수석 연구원, 네일 킹 교수등이 개발에 참여했다. 워싱턴대에서 스카이코비원 백신에 활용한 기술은 딥러닝을 적용한 단백질 구조예측 분석 프로그램인 '로제타폴드'다. 베이커 교수가 노벨상을 수상하게 ...
올해 노벨 물리학상 'AI 머신러닝' 연구…역대 수상자는 2024-10-08 19:16:03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성질 규명 ▲ 2010년: 안드레...
금오공대, ‘세계 2% 최상위 연구자’ 5명 선정 2024-10-07 13:47:29
장의순 교수는 앞서 세계 최초로 금 나노막대 대량화 기술에 성공해 주름개선용 마이크로니들 광열패치 기술을 상용화했으며, 근적외선 흡수를 통해 피부온도를 저감 시킬 수 있는 선크림 신소재 및 여드름 치료제 등과 같은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장의순 교수가 지도교수로 있는 판차나단 연구원은 장의순 교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