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영국서 韓전문가 탄생한다…현지대학 한국학 전공·연구 활발 2024-10-20 07:30:01
런던 뉴몰든에서 남북한 출신 MZ세대가 쓰는 한국어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 데이터화하는 '남북한 언어 지도'를 만드는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한예지 요크세인트존대 교수는 최근 영국 국립의학학술원으로부터 한국의 영어 공부 과열과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연구하는 과제를 수주해 연구에 돌입했다....
김정은, 서울 지도 펼쳐놓고 "물리력 거침없이 사용" 2024-10-18 17:50:35
TV 화면에도 남북한 경계를 굵은 파란선으로 그은 한반도 지도를 띄웠다. 김정은은 “앞으로 철저한 적국인 한국으로부터 우리의 주권이 침해당할 때 물리력이 거침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리는 마지막 선고”라며 공격 위협을 계속했다. 김정은이 서울 지도를 펼쳐놓고 우리 측을 위협한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 10일...
[차장 칼럼] 배달앱 수수료, 정부가 정할 일일까 2024-10-17 17:51:00
남북한이 경제적으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원인으로 제도 차이를 들었다. 경제적 인센티브를 중시하고 공정한 경쟁을 인정한 ‘포용적 제도’가 남한의 번영을 이끌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배달앱 상생협의체 공회전한국을 성공적인 국가 모델로 제시한 이들의 분석에 비춰 최근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배달앱 수수료 갈등...
中, '한국은 철저한 적국' 北개헌에 "각 당사자 평화 노력 필요" 2024-10-17 16:32:10
밝힌 가운데, 중국 정부는 한반도 안정을 위해 남북한 등 당사국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우리 역시 반도(한반도) 형세 발전(변화)을 매우 주목하고 있다"며 "반도 문제에서 우리의 입장은 일관되고, 우리는 시종 반도의 평화·안정 수호와 반도 문제...
"한국, 민주주의와 포용적 경제 제도가 낳은 최고 성과" 2024-10-15 18:38:09
남북한은 나라가 분단되고 제도 면에서 갈라지기 전에는 경제가 동등한 수준이었다”며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 규모 면에서) 10배 이상의 차이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과 같은 발전은 쉬운 것이 아니다”며 “한국은 민주화 이후 성장 속도를 더 높였고 성장 방식도 더 건강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존슨...
[사설] 노벨경제학상도 인정한 韓 번영 원동력은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2024-10-15 17:40:07
대표 사례로 꼽았다. 남북한이 같은 민족으로 지리적 위치와 자연환경이 비슷하고 오랜 기간 동일한 문화와 언어를 공유하고 있지만 한국은 경제 기적을 이룬 반면 북한은 경제적 재앙을 벗어나지 못하는 데 주목했다. 그러면서 정치·경제 제도의 차이가 남북한의 운명을 갈랐다고 봤다. 이들이 말하는 포용적 제도란...
中, '北 남북연결도로 폭파'에 "각 당사자 평화 안정 노력 희망" 2024-10-15 16:34:36
일부 구간을 폭파한 데 대해 중국은 남북한을 포함한 각 당사자의 평화·안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경의선·동해선 도로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는 한국 합동참모본부 발표와 관련한 입장을 묻는 취재진에 "우리는 관련 상황에 주목했다"며 이같이...
"파괴된 데탕트 상징물"…외신, 남북 연결도로 폭파 긴급 타전 2024-10-15 15:41:55
"2000년대 '데탕트 시대'에 남북한은 무장된 국경을 넘어 두 개의 도로와 두 개의 철로를 다시 연결했다"며 "하지만 이후 남북한이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으면서 이들 도로·철로의 가동은 차례로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로이터 통신도 합참을 인용해 북한의 폭파 소식을 긴급 타전하며 이들 도로의 상징성에...
알파고 아버지, 지한파 경제학자…한국과 각별한 노벨수상자들 2024-10-15 12:54:43
"남북한은 제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매우 어려웠지만, 한국은 민주화 이후 성장 속도를 더 높였고 성장 방식도 더 건강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로빈슨 교수도 수상 이후 인터뷰에서 "한국은 세계 역사상 가장 놀라운 경제적 성공담을 이룬 나라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지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韓경제발전, 바른제도에 기반한 성공사례" 2024-10-15 05:38:45
"남북한은 제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남북한은 분단되기 이전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서로 다른 제도 속에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 격차가 열 배 이상으로 벌어진 사례"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 같은 한국의 발전이 쉽게 이뤄진 것은 아니었다면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