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 지각생 韓, 반도체·로봇 '제조 SW 생태계' 공략해야 승산 2025-01-07 17:57:31
않다. GNC는 수리과학 알고리즘 기반 SW로 구현된다. GNC 기술을 물리적으로 실현하려면 범용 반도체가 아니라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등 주문형 반도체가 필요하다. 막대한 양의 GPS 신호를 송수신 처리하기 위해서도 FPGA가 필수다. GNC의 마지막 퍼즐은 SW 기술이다. 방위사업청이 국방 반도체와 SW...
건강에 좋은 줄 알았던 '지중해 식단'…놀라운 결과에 '화들짝' 2025-01-06 22:31:28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장내 세균 보고서(Gut Microbes Reports)에 따르면 미국 툴레인대학 데메트리우스 M. 마라가노어 교수팀은 쥐에게 일반적 서양식 식단과 지중해식 식단 먹이를 먹이고 장내 미생물과 인지 기능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관성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생후 10주 된...
쥐에게 '이 식단' 먹였더니…실험 결과 '깜짝' 2025-01-06 09:33:52
6일 과학 저널 장내 세균 보고서(Gut Microbes Reports)에서 밝혔다. 연구진은 생후 10주 된 어린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14주간 한 그룹에는 올리브기름, 생선, 섬유질이 풍부한 지중해식 식단을, 다른 그룹에는 포화 지방이 많은 서양식 식단을 먹이고 장내 미생물과 기억력·인지력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지중해식...
[사이테크+] "어린 쥐에게 지중해식 식단 먹였더니…기억력·인지 개선" 2025-01-06 09:13:55
6일 과학 저널 장내 세균 보고서(Gut Microbes Reports)에서 쥐에게 일반적 서양식 식단과 지중해식 식단 먹이를 먹이고 장내 미생물과 인지 기능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식단이 장내 미생물 군집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장-뇌 축(gut-brain axis)이 인지 기능에 관여할 수...
외로움 타면 수명 줄어든다…"악성 단백질 수치 높여" 2025-01-04 12:54:24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서 외로움이 신체적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러한 기저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의학 데이터베이스인 영국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4만2000여명의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외로우면 일찍 죽는다…"'악성 단백질' 수치 높여" 2025-01-04 12:41:31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서 외로움이 신체적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러한 기저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의학 데이터베이스인 영국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4만2천여명의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외로움이 수명 줄인다…"병 걸리는 '악성 단백질' 수치 높여" 2025-01-04 12:17:50
수치 높여" 네이처 논문…심혈관 질환·당뇨·뇌졸중 등 연계성 포착 '외로움이 몸 해친다' 연구결과 뒷받하는 기저 메커니즘 발견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심리적 외로움이 전 세계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떠오른 가운데 외로움이 염증 등 질병의 원인이 되는 악성 단백질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치킨 안 먹었는데 이럴 줄은"…학계도 뒤집어질 놀라운 연구 [건강!톡] 2025-01-01 13:32:29
해당 연구 결과는 GLP-1 식욕 억제제의 뇌 작용 기전을 명확히 규명한 중요 성과로 평가받았다. 위고비의 식욕 억제 작동 원리를 설명한 셈이다. 이를 고도화하면 비만을 일정 수준 제어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식욕이 뇌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GLP-1 식욕 억제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1월 과기인상에 최형진 교수…비만치료제의 식욕억제 기전 규명 2025-01-01 12:00: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최형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최 교수는 대사질환과 심뇌혈관질환 치료제로 알려진 위장관 호르몬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의 식욕억제 기전을 규명해 비만과 대사 질환 개선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스타트업 CEO] 스마트청진 애플리케이션 ‘아이메딕’ 개발하는 스타트업 ‘메디센싱’ 2024-12-31 17:24:45
개발을 진행하다가 좋은 기회로 미국 MIT 뇌인지과학과 연구원으로 가게 됐다. MIT에서 신경과학 및 헬스케어 관련 연구를 3년간 진행한 경험을 토대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공지능응용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