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후위기 처음 경고했던 美과학자 "온난화 속도, 예상보다 빨라" 2023-11-03 11:22:10
교수는 또한 해수면 상승을 막는 역할을 하는 남극 대륙의 빙하, 특히 스웨이츠 빙하가 녹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스웨이츠 빙하는 미국 플로리다주 정도의 크기로, 모두 녹을 경우 지구에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에서 '지구 종말의 날 빙하'로 불린다. 핸슨 교수는 "해수면을 현재 수준에 가깝게 유지하려면...
극지연구소, 빙붕 녹이는 원인 ‘수평침투현상’ 지목 2023-11-01 16:36:54
(ice shelf)은 빙하가 바다에 빠진 후 녹거나 쪼개지지 않고 빙하와 연결된 채 물에 떠 있는 수백 미터 두께의 거대한 얼음덩어리다. 빙붕은 남극의 보호막이다. 남극대륙 위 빙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고, 외부에서 오는 따뜻한 바닷물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극지연구소 이원상 박사 연구팀은 영국...
[사이테크+] "서남극 빙상 녹는 속도 계속 빨라져"…붕괴 변곡점 지난 듯 2023-10-24 09:20:54
대륙 빙하가 녹아 바다로 밀려 내려오는 것을 막는 대형 빙붕(ice shelf)인 서남극 빙상(West Antarctic Ice Sheet)이 녹는 것을 막을 티핑포인트(큰 변화를 불러오는 변곡점)가 이미 지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러 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모형실험 결과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극지연구소, 남극 보호막 녹이는 '슈퍼 침투현상' 규명 2023-10-19 10:41:16
19일 밝혔다. 빙붕(ice shelf)은 빙하가 바다에 빠진 후 녹거나 쪼개지지 않고 빙하와 연결된 채 물에 떠 있는 수백 미터(m) 두께의 거대한 얼음덩어리다. 빙붕은 '남극의 보호막'으로 남극대륙 위 빙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고 외부에서 오는 따뜻한 바닷물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극지연구소...
기후변화 대흉조…"남극 바다 얼음, 역대 최소 면적" 2023-09-17 21:25:09
건 아니지만, 육지를 둘러싼 해빙이 녹으면 대륙의 빙상(육지를 넓게 덮은 얼음덩어리)이 파도나 따뜻한 해류에 노출돼 녹을 가능성이 커진다. 빙상은 해수면 상승과 직결된다. 실제 1990년대 이후 남극의 빙상 감소로 전 세계 해수면이 7.2㎜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과학자들은 올해 기록적으로 따뜻했던 바다가 해빙...
꿈으로, 깡으로…청년들이 5895m 킬리만자로의 높이에 도전한다 2023-08-10 10:40:50
아프리카 대륙 최고봉 킬리만자로(해발 5,895m) 의 높이에 꿈과 패기를 가진 120명의 청년리더들이 도전하는 '더피크챌린지'가 열린다. 청년들의 도전의식을 함양하고, 목표달성을 응원하기 위한 행사다. 한국소비자포럼은 팀화이트와 함께 청년 120명이 킬리만자로의 높이에 해당하는, 국내 6개 산을 등반하는...
기후변화에 폭염뿐 아니라 지구 곳곳 중태…학계도 경악 2023-08-01 12:32:59
매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올해 남극 대륙의 해빙이 형성되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사라질 시기가 다가오는 것은 아닌지 주시하고 있다. 나사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지난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소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기존 최소치보다...
"남극 겨울 바다얼음 역대 최저치…아르헨티나 면적만큼 사라져" 2023-07-31 10:43:31
과학자들도 있다. 콜로라도 볼더 대학의 빙하학자인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현재의 시스템 속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확률을 이야기하는 것은 의미 없다"면서 "게임 자체가 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남극 해빙은 지구온난화와 함께 해빙의 남하 현상이 나타난 북극과는 달리 지난 수십년간 주기적인 증감현상을 보여왔으...
괴물 폭염·이틀새 두달치 폭우…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지구 2023-07-14 11:53:19
남극 대륙 주변의 해빙 범위는 지난 2월 2년 연속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NOAA는 6월에도 남극 해빙 수준이 기록적으로 낮았다고 관측했다. 해빙은 남극해의 거친 파도에서 빙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따뜻해지고 식는 육지와 달리 바다는 훨씬 느리게 열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최근 해수 온도 상승이 더...
빙하 완전 쪼그라들었다…"기후위기 4개 지표 최악" 2023-06-20 05:37:57
하지만, 이 정도로 빠를지는 몰랐다"고 말했다. ◇ 남극 빙하 규모 최저치 남극 대륙의 해빙(sea ice) 규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 기후 위기가 더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지난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