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중대재해법 여전히 모호"…소송대란 불보듯 2021-07-19 17:26:05
브루셀라증, 여름 감기로 착각하기 쉬운 레지오넬라증, 사업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열사병 등이 여기에 포함돼 있다. 질병 범위가 너무 넓고, 명확한 기준도 없어 사업주가 형사처벌받을 가능성이 지나치게 높다는 게 문제다. 경영계에선 질병의 중증도 기준을 정해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만 직업성 질병으로 ...
냉방병·매독·B형 간염도 중대재해?…처벌 대상 질병 봤더니 2021-07-10 11:32:21
불리는 레지오넬라증은 특수한 직업환경에서 노출되는 병이라 보기 어렵다"며 "브루셀라증, 레지오넬라증은 한국에서 발병 사례가 매우 드물고, 걸린다 해도 항생제로 쉽게 치료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목록에 포함된 열사병도 군대나 공사현장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인데, 사업장에서 발병 시...
500인 이상 기업, 안전조직 의무화…B형간염도 중대재해로 처벌 2021-07-09 17:36:40
여름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다는 레지오넬라증도 포함됐다. 병원 등 보건의료 사업장에서는 B형간염, C형간염, 매독, 에이즈 등이 1년간 3명 이상 발생하면 경영책임자가 처벌 대상이 된다. “직업성 질병 목록만 있을 뿐 중증도 기준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미한 질병까지 중대산업재해가 됐다”는 비판이 나오는...
[사설] 시행령까지 모호한 중대재해법, 범법자 양산할 판 2021-07-09 17:16:21
에어컨 냉각수 등으로 발생하는 레지오넬라증도 포함돼 있다. 당장 산업재해인지 인과성을 의학적으로 증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제계는 그동안 직업성 질병의 중증도 기준이 마련되지 않으면 경미한 질병까지 중대재해로 간주될 수 있다며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경우’로 명시해달라고 요구해왔지만 이...
[보이는 경제 세계사] 자유의 여신상이 푸른 빛을 띠는 이유는 2021-05-10 09:00:18
원인은 냉방장치의 냉각수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 때문으로 밝혀졌다. 이를 계기로 에어컨 배관, 수도관 등을 항균 효과가 있는 동 파이프로 대체했다. 군수품에도 구리가 없어서는 곤란하다. 총알만 해도 대부분 구리로 돼 있다. 항공기, 군함 등에 장착되는 레이더와 각종 전자 장비에도 구리가 필수다. 이렇다 보니...
미, '불평등·차별 상징' 납 수돗물 사태관련 전 주지사 기소 2021-01-13 11:48:24
수돗물 사용을 중단시키지 않았다. 결국 5세 이하 영·유아의 혈중 납 수치가 1년여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한 사실이 확인되며 사태가 표면화됐다. 플린트 수돗물에서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레지오넬라균도 검출됐다. 흑인 인구 60%, 극빈자 비율이 40% 이상인 플린트에서 발생한 이 사태는 정부 운영의 실패 사례이자...
<바이러스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킨다> 심스 바이오닉스 임신교 대표 2020-10-02 18:17:00
일본 바이어로부터 노로바이러스, 수족구병, 레지오넬라 등 모든 식중독균을 대처할 수 있는 상품을 원한다는 요청을 받은 것이다. 심스바이오닉스는 2년간의 연구개발 기간을 통해 2017년 제품을 첫 출시했다. 이 제품은 미국 FDA에서도 승인을 받았으며, 일본의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직장인, 사무실 복귀 때 레지오넬라균 등 감염 우려도 2020-05-21 11:47:30
레지오넬라균 등 감염 우려도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를 하다가 사무실로 복귀하는 근로자들이 코로나19 이외에 레지오넬라증 등 다른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장기가 방치된 건물 배관에 고인 물 등에서 증식한 세균이 퍼져나갈 수...
'신종코로나 이름 어떻게 지을까?' 전문가들 명칭 놓고 고심 2020-02-05 10:03:47
이름을 딴 호흡기 감염병 '레지오넬라' 같은 이름을 쓰지 말라는 지침이다. 이런 낙인이 특정 사람들이나 사업에 큰 영향을 주는 데 따른 것이기도 하다. 2009년 유행한 돼지독감은 돼지고기 섭취로 감염되는 것이 아닌데도 돼지고기 소비가 급감했다. 미시간대학에서 의학사를 연구하는 하워드 마클 박사는...
'중국 폐렴' 증상자 상태 안정적…'사스' 원인서 배제 2020-01-09 14:48:28
마이코플라즈마, 레지오넬라, 클라미디아, 앵무병, 엔테로바이러스, 콕시디오이데스 등에 대한 추가 검사를 진행 중이다.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일주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중국중앙방송(CCTV)는 우한시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 폐렴의 원인이 초기단계 조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