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발 풀어달라"…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절박한 호소, 왜?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2-01 15:00:55
납품하며 SK하이닉스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미국 마이크론 등의 공세를 막기 위해선 '집중적인' R&D가 필요해서다. 국회에서 논의가 중단된 반도체특별법에 근로 시간 특례를 도입하면 가장 빠르게 규제를 풀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일각에선 밤샘 R&D으로 근로자 건강이 악화할 것을 우려한다. 기업들은...
31일, 코스닥 외국인 순매도상위에 일반전기전자 업종 6종목 2025-01-31 18:35:15
알테오젠,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동진쎄미켐, 하나마이크론, 펩트론등이다. 이중에 일반전기전자 업종에 속한 종목이 6개 포함되어 있다. GRT, 알테오젠,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은 전일 대비 주가가 상승했고, 제룡전기, 루닛, HPSP 등은 주가가 하락했다. [01월31일]코스닥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 한경로보뉴스 이...
[마켓톺] AI 주도주 바뀔까…딥시크 출현에 반도체·전력↓ 소프트웨어↑ 2025-01-31 15:55:49
테크윙(-8.18%), 윈팩(-8.05%), 하나마이크론[067310](-7.66%), 디아이(-7.50%), 한미반도체(-6.14%) 등 반도체 및 반도체소재·부품 업종 전반이 동반 급락했다. 증권가에서는 저비용으로 거대 기술기업의 AI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구현한 딥시크의 등장이 AI 생태계의 지형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당장 AI...
'딥시크 충격' 전력설비株 투자 감소 우려...관련주 하락세 2025-01-31 15:34:38
마이크론과 테크윙이 대표적이었고 ISC를 비롯해 하나마이크론도 7.5% 급락했습니다. 우주항공 관련주인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에 공장이 있어 주목받았지만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1.4% 상승하는데 그쳤습니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삼성 "딥시크는 장기적 기회...HBM3E 본격 공급" 2025-01-31 14:51:41
탑재돼 있습니다. HBM3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모두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SK하이닉스는 한 세대 앞선 기술인 HBM3E(5세대)를 H100에 탑재하고 있습니다. 시장에는 저성능의 AI칩으로도 기술개발이 가능해지면 고성능 칩 수요가 둔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낸드 속도 조절하는 삼성·SK하이닉스…"HBM 비중 확대는 가속" 2025-01-31 13:19:52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키옥시아, 샌디스크 등 제조업체들이 (낸드) 감산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주로 가동률을 낮추고 공정 업그레이드를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감산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마이크론은 최근 실적발표에서 낸드 감산 계획을...
긴 연휴 韓증시에 약?…"'딥시크' 변동성 불가피하지만 제한적" 2025-01-30 11:10:18
오르내렸다. 브로드컴, 마이크론테크놀러지 등 관련주들도 유사한 흐름이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딥시크 사태는 여러 측면에서 팩트체크가 필요해 보이지만 미국이 만들어낸 AI 투자 사이클, AI 메가트렌드라는 내러티브에 대한 의심을 키우고 흠집을 내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딥시크 쇼크는 '저비용'...
삼성에 무슨 서운함 있길래…"엔비디아, 대체 왜 이러나" 술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9 14:06:55
최신 그래픽 D램(GDDR7)을 납품 받았으면서도, 미국 마이크론 제품을 썼다고 한 것, 하루 뒤 기자간담회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GDDR7을 안 만드는 것으로 안다고 말한 게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젠슨 황은 이 발언을 9일 정정했다.) 우려스러운 점은 젠슨 황과 엔비디아의 대만 키워주기 때문에 대만 기업의 위상...
딥시크가 HBM 시장도 흔든다…SK하이닉스·삼성전자 '촉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8 18:03:08
미국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미국 인텔(CPU), 마이크론(메모리반도체) 등의 반사 이익이 예상된다. 다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이 만든 반도체가 대부분 스마트폰이나 PC 등에 탑재된 상태로 미국으로 수출되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월가 "AI 거품론 우려 지나치다"…"훌륭한 저가 매수 기회" 2025-01-28 09:38:11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11% 이상 폭락하며 AI 거품론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다만 이번 빅테크 폭락 사태가 과하다는 평가들도 나오고 있다. 월가 베테랑으로 알려진 낸시 텡글러 라퍼 텡글러 인베스트먼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여전히 막대한 자금력과 인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