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빗나간 맬서스의 인구론…그는 기술진보를 예측못했다 2020-11-23 09:01:07
맬서스의 인구 종말론: 맬서스의 《인구론》이 1789년 출판되자 인류는 미래를 걱정하기 시작했다. 그가 주장한 ‘인구 종말론’은 당대 유럽 지식계와 정부들을 강타했고, 20세기 중후반까지도 지구촌을 괴롭혔다. 인구가 급증한다고 본 맬서스의 관찰이 전적으로 틀린 것만은 아니다. 인구는 실제로 크게 증가했다. 세계...
[4차 산업혁명 이야기] 디지털 전환은 탈물질화의 새로운 동력원 2020-11-09 09:00:05
산업화의 시작과 효율적인 자원 활용맬서스의 주장은 미래를 예측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과거를 설명하는 데는 옳았다. 경제사학자 그레고리 클라크는 맬서스의 인구론이 나오기 전 6세기 동안 영국에서는 1700년까지 인구가 증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대체로 인구가 증가할수록 빈곤해졌음을 증명했다. 땅에서 산출해낼 수...
빈곤에서 벗어나려면 인구를 억제해야 할까 2020-09-28 09:01:06
맬서스는 이런 문제에 일찌감치 주목했다. 그는 성공회 성직자 출신으로 케임브리지대를 우등으로 졸업한 수재였다. 그가 1798년 《인구론》을 발표하기 직전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에서는 전쟁 작황부진 식량 폭동 등이 일어났다. 그리고 그는 18세기 말에 산업혁명으로 팽배하던 낙관론에 찬물을 끼얹은 《인구론》을...
인구 절반은 줄여야 모두가 행복해진다고? 악당 타노스는 몰랐다…'공허함의 비극'을 2020-07-10 17:20:02
맬서스의 대안이었다. 그는 부양 자녀 수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는 당시 영국 정부 정책에 반대했다. 그렇지 않아도 빠르게 불어나는 인구를 늘리는 데 보탬이 되는 정책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맬서스의 주장은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당시 영국 총리였던 윌리엄 피트는 빈민구제법을 시행한 지 4년 만에 철폐하기도...
진화는 생물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일까…생존에 유리한 개체만 살아남는 자연에 의한 선택 2020-07-06 09:00:14
영국의 경제학자인 맬서스가 쓴 를 읽었는데, 이 에세이에서 맬서스는 과도한 인구 증가는 빈곤으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인구의 증가가 식량과 같은 자원의 증가보다 빠른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다윈은 이 에세이를 통해 생물들이 한정된 자원을 두고 생존경쟁을 한다는 개념을 확립했다....
[천자 칼럼] 속수무책 저출산 2020-05-28 18:08:08
이어진 케인스의 ‘유효수요론’도 맬서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공교롭게도 정부가 코로나 대책으로 들고나온 것이 ‘한국판 뉴딜’이다. 위기의 순간에 ‘한물간 학자’로 인식되는 맬서스에서 아이디어를 구하게 되는 ‘역사의 아이러니’다. 《인구론》에서 그는 기하급수적인 인구 문제의 해법을 출산율을 낮추는 ‘예...
[테샛 공부합시다] 저출산·고령화 심화되는 한국…대응책은? 2020-05-04 09:00:26
에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맬서스 함정’으로도 알려진 주요 내용은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반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인구과잉, 식량부족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실질임금을 감소시키면서 인류를 빈곤에 빠뜨릴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맬서스는 인류의 기술진보를 간과했다....
[책마을] 현대 세계를 결정짓는 가장 강력한 힘은 '인구' 2019-12-05 17:06:48
토머스 맬서스가 을 펴낸 1798년은 영국 인구가 한창 늘어나던 시기였다. 맬서스는 인구 증가가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번영을 가져올 것이란 낙관론을 부정했다. 되레 인구 과잉이 식량 부족을 초래해 인류가 기아와 빈곤에 허덕일 것이라는 비관론을 폈다. 당시 700만 명이던 영국 인구는 지금 6644만 명에 이른다. 220년...
고려는 군사국가…조선은 관료제로 지배한 영토국가, 사유재산·농촌시장 등장…현대 한국인 원형 나타났죠 2019-11-11 09:00:53
1인당 소득수준이 개선됐는지는 의심스러운 ‘맬서스의 시대’였다. 이씨 왕가의 내력 ‘팍스 몽골리카’의 시대에 만주 대부분은 웃치긴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다. 웃치긴은 칭기즈칸의 막냇동생이다. 웃치긴의 판도에는 다수의 고려인이 여진족과 섞여 살았다. 이성계의 가문도 그러했다. 1255년...
[다시 읽는 명저] 인구급증 따른 빈곤 불가피성 강조하며 미래 비관, 농업생산성 향상 간과…국가 개입주의 한계 지적도 2019-11-04 09:00:20
영국 경제학자인 토머스 맬서스(1766~1834)는 1798년 《인구론》을 펴냈다. 산업혁명으로 농촌 사람들이 계속 도시로 몰려들던 때였다. 급팽창한 도시는 혼란스러웠지만, 당시 유럽을 지배하고 있던 계몽주의 사상은 산업혁명과 과학 발달에 힘입어 사회가 더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었다. 맬서스는 사회 주류의 생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