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ES 결산] ① AI가 만드는 세상…휴머노이드 로봇 시대 예고 2025-01-11 07:00:10
중국 전기차 업체 샤오펑은 작년 11월 키 178cm, 몸무게 70kg, 62개의 관절이 있는 로봇을 출시했고, 애지봇은 앞서 8월 휴머노이드 5종을 내놓기도 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우리나라 기업들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하고,...
"양자컴 시대 멀었다"는 젠슨 황에…바라츠 "이미 상용화" 반박 2025-01-10 18:10:23
우주항공, 자동차, 금융, 물류,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으로 양자컴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세계 1위 방위산업 기업 록히드마틴이 디웨이브퀀텀의 양자컴을 가장 먼저 도입했다. 마스터카드, NTT도코모, 딜로이트, 지멘스 등도 고객사다. 미 항공우주국(NASA)과 오크리지국립연구소,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등...
[CES 2025] "휴머노이드가 미래"…삼성·LG전자가 밝힌 로봇 전략 2025-01-09 15:09:08
구체적인 응용처가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이미 큰 시장 잠재력을 보고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오는 2035년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가 38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LG전...
스타트업 생태계는 침체된 유럽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까? [긱스] 2025-01-09 14:25:19
볼트(Bolt), 음식 배달 앱 볼트 (Wolt)와 같은 기업들이 기존에 금융, 물류, 전자상거래 등 분야를 넘나들며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면서 슈퍼 앱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 5: AI 열풍, 실제로는 존재감 미약 2024년은 그야말로 ‘AI 열풍’ 이 휩쓸고 지나갔다. 많은 기업이 'AI 기반' 또는 'AI...
'장사꾼' 트럼프에 美투자로 대응…기업들 '관세폭탄' 생존법 2025-01-09 11:19:48
및 물류업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남동부 지역에 전기로 사업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의 미국 조지아주·앨라배나주 공장과 멕시코 공장에 자동차용 강판을 공급하는 용도다. 트럼프 당선인이 보편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 강화 정책을 예고한 가운데 현대제철이 미국에 대형 제철소를 신규로 짓는 방안을...
중기부, 고환율 수출입 피해 중소기업에 1조5천억원 지원한다 2025-01-08 16:00:11
물류 서비스를 도입하고 '백년시장'을 매년 두세곳씩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까지 1조원 규모로 '지방시대 벤처펀드'도 조성한다. 이 밖에 인구구조 변화에 맞춰 친족 후계자 부재 등에 따른 중소기업 도산을 방지하기 위해 제삼자 M&A(인수합병) 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기업승계법'(가칭)을...
"정부가 대주주인데 왜 이러나"…개미들 분통 터졌다 [정영효의 산업경제 딱10분] 2025-01-08 09:55:44
물류 기업인 머스크는 다른 사업부 부진 탓에 PBR이 낮을 뿐 컨테이너 사업부만 놓고 보면 HMM보다 더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일본의 경쟁사들이 눈길을 끄는데요. 일본은 한국보다 앞서 밸류업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2022년 상반기만 해도 일본의 3대 해운사(니혼유센, 미쓰이OSK, 가와사키기센)의 PBR은 0.4배...
AI 지각생 韓, 반도체·로봇 '제조 SW 생태계' 공략해야 승산 2025-01-07 17:57:31
현실화하는 동시에 의료·바이오, 교통·물류, 우주항공, 소재·화학 등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는 게임체인저다. 미국과 캐나다에선 아이온큐 리게티컴퓨팅 디웨이브 등 양자컴 스타트업이 아마존 구글 MS IBM 등 빅테크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양쪽에서 합종연횡하며 양자컴 상용화에 바짝 다가섰다. 한국은...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 2025-01-06 09:28:52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너지 기반의 사업다각화'를 올해 마지막 키워드로 내놨다. 김 부회장은 "연구개발(R&D), 제품 개발, 생산, 마케팅, 콘텐츠, 물류 등 전체 밸류체인(가치사슬)에 걸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통합적 확장을 시도해야 한다"며 "라면 외에 소스, 스낵,...
"정부가 대주주인데 왜 이모양"…개미들 분통 터뜨린 종목 2025-01-06 07:26:40
"복합 물류 기업인 머스크는 다른 사업부 부진 탓에 PBR이 낮을 뿐, 컨테이너 사업부만 놓고 보면 HMM보다 더 높다"고 말했다. 특히 주목받는 경쟁사가 우리나라에 앞서 밸류업 정책을 시행한 일본이다. 2022년 상반기만해도 니혼유센 미쓰이OSK, 가와사키기센 등 일본 3대 해운사 PBR은 0.4배 안팎으로 HMM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