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자식 뒤치닥거리 죽을 때까지 하게 생겼다"…부모들 '한숨' [이슈+] 2024-03-16 13:12:13
같고, 지금은 부모님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죄송스럽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의 결혼과 취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경향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집값 떨어졌다고 비웃지 마라"…2030 '영끌족'의 항변 [2030 신부동산 공식④] 2024-03-14 13:00:02
한 현실을 살아왔다. 동시에 이들은 '내 집 마련'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어려운 현실을 마주할 때 주변에서의 시선이 다소 부담스러웠다는 데에는 한목소리였다. 부모님을 비롯해 회사 동료, 동창, 이성 친구 등까지 내 집에 대해 쉽게 얘기했다는 것. 아무래도 2030세대들은 무주택과 유주택,...
사단법인 그루맘, 제 4회 까멜리아 문학상 시상식 개최 2024-03-06 11:18:41
미혼한부모를 지원하는 사단법인 그루맘(이사장 김미경)이 지난 2월 28일, 제 4회 까멜리아 문학상 시상식을 진행했다. 까멜리아 문학상은 미혼한부모를 위한 문학상이다. 까멜리아 문학상은 추운 겨울에도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동백꽃처럼 사회적 편견 속에서 홀로 아이를 낳고 키운 미혼한부모의 강인한 생명력과...
한 명 키우는데 2.5억…10명 중 6명 "양육비 줘도 안낳겠다" 2024-02-27 18:31:45
의향을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622명을 대상으로 ‘필요한 양육비를 준다면 자녀를 낳겠느냐’고 묻자 61.3%가 ‘아니다’고 응답했다. 특히 미혼자 중에선 출산 의향이 없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은 응답자가 77.9%로 나타났다. 이런 응답의 배경에는 양육비 지원만으론 해결할...
中 정협 위원, 양회 앞두고 "산아제한 완전 철폐해야" 2024-02-27 13:23:07
슝 위원은 양회 때 제출할 제안서 초안에 미혼 부모나 싱글맘·싱글대디도 자녀 양육과 관련해 동등한 정책 지원을 누릴 수 있는 권리도 담았다. 그는 여직원의 출산 시 기업이 직접 부담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방안도 제시했다. 출산휴가 비용 분담 메커니즘 개선, 출산 전 검진 기간 연장 등이다. 또 학부모 부담을...
로마 제국의 '노총각세'…독특한 이 세금의 정체는 [김동욱의 역사책 읽기] 2024-02-26 06:00:05
위한 사회개혁의 목적으로 혼인과 부모의 의무, 간음 등과 관련한 법 제도를 대거 정비했다. 법 개정의 이면에는 이탈리아반도 내에서 본토인들의 인구를 증대시켜야겠다는 의도도 담겨있었다. 당시 도입된 법 중에는 아이를 세 명(또는 네 명) 이상 낳으면 각종 혜택이 부과되는 ‘세 아이 법(jus trium liberorum)’도...
"바람핀 남편에 복수"…불륜·이혼에 관심 폭발하더니 생긴 일 [김소연의 엔터비즈] 2024-02-11 19:39:26
있고, 이혼을 자신 있게 드러내며 캐릭터로 만들기도 한다. 가수 이상민, 농구선수 출신 서장훈 등을 비롯해 최근에는 배우 이동건, 방송인 안현모 등이 방송을 통해 이혼 후 일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혼'이 하나의 콘텐츠가 되는 셈이다. 이는 주변에서도 흔히 이혼 사례를 볼 수 있게 되면서 이혼에 대한...
"해외근무 지원자가 한명도 없어요" 2024-02-06 17:18:48
수 있다. 미혼의 젊은 직원들을 위해서는 지원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할만하다. 가족 휴가를 지원하는 기업의 대다수는 배우자나 부모, 자식만을 지원 대상자로 규정한다. 지원 대상을 혈연에 기반한 전통적 가족이 아니라 친구 등으로 넓혀 구성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해외 기피 현상은 가정적이고 안정을...
평균연봉 1억 넘는 5대 은행, '돈잔치' 비판 속 성과급 줄였다 2024-01-28 06:01:01
위한 안식 휴가를 확대하고, 건강검진 대상자에 본인 부모를 추가했으며, 가족 돌봄 근무 시간 단축 제도와 2시간짜리 '반의 반차' 휴가를 신설했다. 5대 은행은 이미 자녀 학자금 지원, 휴가 숙박 지원, 가족 의료·건강지원비 혜택 등 임직원에게 다양한 복지혜택을 주고 있기도 하다. 지난해 1∼9월 5대 은행의...
'4050 중장년층' 평균소득 4천만원, 2030 청년층의 1.5배 2023-12-20 12:00:02
1인(24.3%)·2인(25.7%)·3인(24.0%) 가구와 별다른 격차가 없었다. 생애주기상으로 30대 초반까지 주로 '1인 가구'로 지내다가, 30대 후반부터 50대까지 부부·미혼자녀 또는 한부모·미혼자녀의 2~4인 가구로 가족이 늘어나는 흐름인 셈이다. 노년층에서는 60대엔 부부 2인 가구, 70대 후반부터는 1인 가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