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취재수첩] 고용부 돌려막기에 근로감독관들 '한숨' 2021-08-23 17:15:07
전국 지방노동관서에 821명이 배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현재 충원율이 87% 정도 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안전보건본부 전체 903명 정원 중 800명 정도는 배치가 완료됐다는 의미다. 이 중 절반은 근로감독 부서, 나머지 절반은 고용센터 부문에서 차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의 이...
서울바이오시스, "UV LED '바이오레즈' 기술로 델타 변이 바이러스 99.3% 살균" 2021-07-20 16:06:34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바이오시스는 앞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다중이용시설에 대규모 바이오레즈를 설치할 경우 자영업자들을 돕기 위해 정상가의 절반 가격에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바이오레즈는 2002년부터 서울바이오시스와 일본 니트라이드반도체, 미국 세티(SETi) 등 3개 기업이 20년간 개발해 완성한 기술이다. ...
써나젠테라퓨틱스, 해외 제약사와 신약후보물질 검증시험 계약 2021-07-19 08:52:34
특발성 폐섬유증,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등 질환의 염증·섬유증을 억제하는 효과와 안정성이 입증됐다”고 했다. 내장 백색지방 조직을 약 70% 감소시키고 중성지방도 줄여주는 항비만 효과도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선천면역반응 같은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했다. 현재 바이오니아와 써나젠은 'SAMiRNA'...
"인체 지방만 연구하는 곳은 우리가 세계 최초죠" 2021-06-02 17:28:08
30t이 넘는다. 흡입지방 연구소는 인체 지방의 성분 분석을 통해 비만 치료의 메커니즘을 밝히겠다는 목표다. 지방은 남은 열량을 저장하는 백색 지방과 열량을 소모하는 갈색 지방으로 나뉜다. 백색 지방은 비만의 원인이 되지만, 갈색 지방은 몸의 열을 내면서 백색 지방을 태우기 때문에 ‘비만 치료의 열쇠’로 불린다....
'바나나 껍질' 버리지 않고 먹었더니…놀라운 효과 [건강!톡] 2021-04-09 14:17:37
이번 연구를 통해 바나나 껍질 추출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일부 차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색 지방세포(지방구)의 생성을 억제해 비만 예방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김 교수팀은 신선한 바나나 껍질과 2일간 실온에서 숙성시킨 껍질의 비만 억제 효과를 비교했다. 노랗게 익은 바나나 껍질 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과가...
갈색지방 많은 사람, 심혈관·대사 질환 덜 걸린다 2021-01-05 17:24:00
갈색지방 많은 사람, 심혈관·대사 질환 덜 걸린다 2형 당뇨병 위험 절반 이하로, 비정상 콜레스테롤 15%↓ 사상 최대 5만2천 명 연구 결과…'네이처 메디신'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일반적으로 지방은 백색지방을 말한다. 피하와 장기 등에 퍼져 있는 백색지방은 에너지를 만드는 연료의 저장고와...
비만 질환의 뿌리 '만성 염증', 지방 혈관세포가 조절한다 2021-01-02 14:54:22
고지방 먹이를 준 실험군에서, FIPs의 염증 신호 유전자(Tlr4)를 제거한 생쥐는 다른 생쥐와 비슷하게 체중이 늘면서도 염증 수치는 더 올라가지 않았다. 이런 생쥐는 오히려 백색지방 조직의 염증성 분자 수치가 저지방 먹이를 준 생쥐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구팀은 나아가 FIPs의 관련 신호 물질(ZFP423) 수위를...
벨라루스 '대선 불복' 시위 17주째…"전국서 300여 명 체포" 2020-11-30 17:24:08
나선 것이다. 시위대는 야권 저항의 상징인 '백색-적색-백색' 3색 띠 깃발과 대통령 퇴진 등을 요구하는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를 행진했다. 경찰은 확성기를 통해 시위대에 해산을 종용하는 한편 일부 시위 참가자들을 체포해 연행했다. 민스크 외에 북동부 비텝스크, 서남부 브레스트, 서부 그로드...
"접종 중단할 상황 아냐" 정은경 질병청장, 독감주사 맞았다 2020-10-29 18:55:36
각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등 전국에는 AI 대응 관련자 3만여 명이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받고 있다. 다만 올해의 경우 '상온 노출', '백색 입자' 논란에 이어 최근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까지 잇따르면서 백신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어서 이를 조금이라도 잠재우기 위해 접종을 한 뒤 관련 사실을...
文 "믿어달라"한 날, 국민들 '독감 맞아도 되나' 더 궁금해했다 [신현보의 딥데이터] 2020-10-29 11:12:02
우선 9월 말에는 백신이 상온 유통되고 백색 침전물이 발생하는 등 당국의 백신 안전 관리가 허술했다는 사실이 처음 드러나 파장을 일으켰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문제가 된 백신은 수거해서 많은 사망 신고 사례와는 연관성이 없다"며 선을 긋고 나섰지만 상온 노출 백신을 접종 받은 사람만 2000명이 넘는데다 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