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건선 질환 여성, 난임 위험↑" 2023-06-23 10:28:34
여성보다 가임률이 3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선 질환을 겪는 여성은 또 유산율이 대조군보다 6% 높았다. 출산전 출혈, 자간전증, 임신성 당뇨 등 임신 합병증 발생률은 두 그룹이 비슷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 피부병학(JAMA Dermat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中, 작년 4분기 화장한 시신 통계 미공개…"코로나 사망자 은폐" 2023-06-14 11:36:30
병학 수석전문가는 지난 1월 "인구의 약 80%가 이미 감염됐다"며 11억 명 이상이 감염됐다는 추정치를 제시했다. 당시 베이징과 상하이 등지의 화장장들이 24시간 가동했으며 시신 화장을 위해 일주일 이상 대기해야 했고, 곳곳에 임시 화장터가 설치되기도 했다. 질병예방통제센터는 작년 12월 8일부터 올해 2월 9일까지...
"당뇨병 발병 나이 빠를수록 치매 위험↑" 2023-05-30 10:29:05
잘못 접혀 응집되거나 엉키면서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성 단백질로 변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당뇨병 연구협회(EASD: European Association for Study of Diabetes) 학술지 '당뇨병학'(Diabetologia)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고지혈증약 스타틴, 만성 간 질환 진행 억제" 2023-05-09 08:44:24
지적했다. 이 새로운 연구 결과가 앞으로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설정 임상시험에서 확인된다면 만성 간 질환 환자에게 스타틴 복용을 권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위장병학회 학술지 '임상 위장병학-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최신호에 실렸다....
"한 시대가 지난듯" 中베이징 지하철 마스크 의무 폐지 2023-04-16 17:17:57
병학 수석 전문가는 세계보건기구(WHO) 데이터에 근거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끝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 방역기구연합은 지난 12일 발표한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대중 마스크 착용 지침' 최신판에서 "야외 광장과 공원 등 실외 장소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여객기,...
美서 아들·딸 구별하는 인공수정 기술 등장…윤리 논쟁 불가피 [1분뉴스] 2023-03-23 18:05:38
병학과 과장은 "정자 선택은 자손의 성을 조작하기 위해 배아를 택하는 또 다른 방법일 뿐이며 이는 사회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기술은 향후 피부색이나 눈의 색깔 같은 신체 특징을 선택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면서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유채영 한경닷컴 기자...
"中 중난산, 작년 시진핑에 방역 점진 완화 촉구 편지 보내" 2023-03-23 13:29:09
감염병학 수석 전문가가 10월 28일자 내부 문건에서 베이징시 정부의 과도한 코로나19 통제에 대해 아무런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비판했다"고 해당 문건을 입수해 보도했다. 우쭌여우는 베이징시 정부가 중앙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왜곡하면서 대중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한 전...
"원하는 성별 선택하세요"…美서 인공수정 기술 등장 2023-03-23 10:12:00
찬나 자야세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남성병학과 과장은 "이 연구팀의 기술적 성취는 이 연구가 초래한 심각한 윤리적 우려에 비하면 보잘것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구팀은 배아 선택에 대한 '윤리적' 대안으로 정자 선택을 제시했지만 정자 선택은 자손의 성을 조작하기 위해 배아를 택하는 또...
"아들딸 구별하는 인공수정 기술 나와…윤리논쟁 불가피" 2023-03-23 10:00:20
찬나 자야세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남성병학과 과장은 "이 연구팀의 기술적 성취는 이 연구가 초래한 심각한 윤리적 우려에 비하면 보잘것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구팀은 배아 선택에 대한 '윤리적' 대안으로 정자 선택을 제시했지만 정자 선택은 자손의 성을 조작하기 위해 배아를 택하는 또...
"염증, 콜레스테롤보다 중요한 심장병 위험 표지" 2023-03-08 08:30:55
병학 전문의 폴 리드커 교수 연구팀은 염증 표지 단백질인 C-반응성 단백질(CRP)의 혈중 수치가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단백(LDL)의 혈중 수치보다 심혈관 질환 발생과 사망 위험을 더 잘 나타내는 지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7일 보도했다. CRP는 신체 조직에 손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