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사회 2018-10-05 15:00:04
위쪽에 상륙할 가능성도 181005-0333 사회-002910:38 한의학연, 우리말로 풀어낸 '본초강목 52권' 온라인 공개 181005-0350 사회-003010:47 경희의료원 후마니타스암병원 개원…"양·한방·치과 통합 진료" 181005-0351 사회-003110:47 강남 주택가서 전 여자친구 무참히 살해한 40대 남성 징역 25년 181005-0354...
한의학연, 우리말로 풀어낸 '본초강목 52권' 온라인 공개 2018-10-05 10:38:43
관한 백과사전인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우리말로 번역해 원문과 함께 온라인에 공개했다. 5일 한의학연에 따르면 본초강목은 동아시아에서 사용했던 식물·동물·광물·금속 약재 1천892종의 기원과 식생, 재배법과 채취법, 약재의 성질과 치료 증상, 관련된 의학 이론, 활용된 처방을 정리한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전통의학...
[쉿! 우리동네] 천혜의 자연이 선물한 가을 보양식 '남원추어탕' 2018-09-08 11:00:01
본초강목'도 "미꾸라지는 배를 덥히고 원기를 돋우며 양기에 좋고 백발을 흑발로 변하게 한다"고 극찬했다. 실제 영양학적으로 추어탕은 단백질과 칼슘, 무기질이 풍부해 원기를 회복해 주는 데 제격이며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토속음식으로 폭넓게 사랑받던 남원...
셀프 피부관리 열풍 속 ‘아비셀 어성초 천연비누’ 주목 2018-07-04 14:18:23
‘본초강목(本草綱目)’ 에도 피부질환 및 염증 개선 약초로 등장할 정도로 어성초의 효능은 예부터 알려졌다. 아비셀 어성초 천연비누 역시 이러한 효과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천연비누다. 100% 자연 유래 어성초 가루를 주요 원료로 하고 있으며 천연 계면활성제와 천연 오일을 사용해 피부 자극을 최소화했다. 피지...
아비셀 어성초비누, 여름맞이 1,000명 무료 증정 이벤트 2018-06-25 11:30:38
성분으로 이뤄져 있다. 어성초는 본초강목에 나오는 식물로 어성초에 함유된 쿠에르치트린이라는 성분은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를 맑게 함과 동시에 피부 독소 제거에도 효과적이며 이는 피부 미백 및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비셀은 어성초를 주요 성분으로 비누, 미백크림, 세럼의...
직장인 건강 챙겨라... 컨디션CEO로 숙취 타파 2018-02-17 09:00:00
한 TVCF를 통해 제품 알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본초강목 등 고전문헌에서 헛개는 `술이 헛 것이 된다`라는 표현에서 유래가 되었으며, 알코올로 인한 숙취해소 및 술독을 푸는 데 으뜸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100% 국산 헛개나무 열매를 사용한 `헛개컨디션`은 대중들에게 `숙취해소=헛개`라는 인식을 심어준 대표 제품이다...
일본 세이카도문고서 韓고전적 639종 확인…희귀도서 포함 2018-01-09 10:28:34
'본초강목'(本草綱目)이 나오기 전까지 널리 유통된 약물학 서적인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완질본 등 16세기 서적이 많다. 국내에 있는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 중에는 가천박물관에 있는 책이 보물로 지정돼 있으나, 완질본은 없는 상태다. 금속활자인 을해자로 찍은...
'흑염소가 비파잎을 만났을 때'…소시지·패티 육가공품 개발 2017-11-22 10:14:54
수유부, 발육기 어린이 허약 체질 개선에 이용된다. 본초강목에서는 원양(元陽)을 보하며 허약한 사람을 낫게 하고, 강정·강장에 좋고, 두뇌를 차게 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고, 마음을 평온하게 다스리는 보양제 역할을 한다고 소개했다. sangwon7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카메라뉴스] '맛과 향 최고' 완도 고금도 유자 수확 한창 2017-11-16 08:23:48
풍부하게 함유된 유자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전통 의약서에서 감기나 골다공증 예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동짓날 유자차를 마시며 유자를 띄운 탕에 들어가 목욕을 하면 일 년 내내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는 속설을 가진 겨울철 건강식품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김치를 담글 때 채 썬 유자를...
"단군 낳은 웅녀가 먹은 음식은 마늘 아닌 무릇" 2017-10-03 14:38:50
들어왔다"며 명나라 학자 이시진이 엮은 책인 '본초강목'의 내용을 인용해 설명했다. 본초강목에는 "집에서 심는 산(蒜)은 두 가지가 있다. 뿌리와 줄기가 작으면서 씨가 적고 몹시 매운 것이 산(蒜)인데, 이것은 소산(小蒜)이다. 뿌리와 줄기 가 크면서 씨가 많고 매운맛이 나면서 단맛이 도는 것은 호(葫)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