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오전 10시 1분간 묵념 2018-04-03 08:11:53
당시 430여명이 한꺼번에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북촌리 사건을 모티브로 한 '순이삼촌'을 쓴 작가다.또 유족 이숙영씨가 '어머님을 그리는 편지'를 읽을 계획이다. 이씨는 4·3사건 당시 교장이었던 아버지가 총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행사가 종료되면 추념식에 참석했던 사람들이 제주4.3평화공원...
제주4·3 70주년 국가추념식 거행…오전 10시 1분간 묵념 2018-04-03 05:00:00
북촌리 사건을 모티브로 한 '순이삼촌'이란 소설을 쓴 현기영 씨가 '4·3 70주년에 평화를 기원하면서'라는 제목의 추모글을 낭독한다. 4·3 피해 조사를 처음 시작한 제주도의회의 장정언 전 의장, 4·3 당시 임시수용소에서 태어난 송승문 제주4·3희생자유족회 배보상특별위원장, 고희순 4·3희생자...
[주말 N 여행] 제주권: 주민 학살 4·3 아픈 역사 담은 올레…화해의 다크 투어 2018-03-30 11:00:05
세워졌다. 너븐숭이는 기념관 인근에, 당팟은 현재 북촌리사무소 인근에 각각 위치해 있다. 북촌마을 4·3길은 2016년 12월 총 7㎞ 구간으로 개통했다. 성인 걸음으로는 약 2시간가량 걸린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신혼여행지는 모두 우리가 묵념해야 할 학살의 장소다. 그곳에 핀 노란 유채꽃들은 여전히 아름답다....
[제주4·3 발발 및 진상규명·명예회복 사업 일지] 2018-03-30 06:11:05
= 토벌대, 조천면 북촌리 불태우고 주민 400명가량 집단총살. 훗날 현기영의 소설 '순이 삼촌' 배경이 됨 ▲ 1950년 8월 20일 = 모슬포경찰서 관내 예비검속자 344명 중 252명 섯알오름에서 집단총살. 6년 뒤 유족들이 군경의 눈을 피해 유골을 수습, 백조일손지묘를 세움 ▲ 1954년 9월 21일 = 한라산 금족 구역...
[4·3 70주년] ① 국가폭력의 비극…제주에 스러진 동백꽃 수만 송이 2018-03-30 06:11:00
1월 17일에는 군경토벌대가 조천면 북촌리 주민 400명가량을 집단 총살하고 마을을 모두 불태운 '북촌사건'이 일어났다. 마을 인근에서 군인이 기습받은 데 대한 보복으로 벌어진 일이었다. 무장대의 보복 습격도 끊이지 않았다. 자신들에게 협조하지 않은 마을 주민들을 무차별 살해했다. 한국전쟁 발발 뒤로는...
학교서도 제주4·3 교육 활발…배지 제작, 현장학습도 2018-03-27 14:24:01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를 답사한다. 앞서 지난달에는 서귀포시 대정고 2학년 2반 학생들이 4·3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배지를 직접 제작해 판매, 4·3을 알리고 수익금은 유족회에 전달하는 활동을 진행했다. 제주시 애월고 미술과 학생들도 동백꽃을 형상화한 4·3 배지를 제작했다. 애월고 학생들은 지난 21일...
'신들의 고향' 제주서 정월 맞아 무사안녕 비는 마을제 향연 2018-02-16 08:12:01
월정·행원·김녕리, 조천읍 신촌·신흥·북촌리, 노형동 월랑·정존·광평마을, 아라동 산천단마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난산·오조리 등 여러 곳에서 마을포제가 동시에 열린다. 당(堂)신앙의 메카 구좌읍 송당리 본향당에서는 제주도 무형문화재 5호인 본향당굿인 신과세제(新過歲祭)가 28일 열린다. 송당리는 제...
[ 사진 송고 LIST ] 2018-02-04 15:00:01
음료 마시는 정광범 02/04 12:16 서울 변지철 "영면하소서" 02/04 12:16 서울 변지철 북촌리 4·3 희생자 합동위령제 02/04 12:16 서울 전지혜 동장군이 된 돌하르방 02/04 12:35 서울 조정호 한파 속 재래시장 북적 02/04 12:35 서울 조정호 설 앞두고 재래시장 북적 02/04 12:35 서울 조정호 설 대목 ...
제주 북촌마을서 4·3위령제 봉행…"상생·평화 정착되길" 2018-02-04 12:33:53
명복을 비는 위령제가 4일 오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 4·3기념관에서 열렸다. 제주 전역에 많은 눈이 내린 가운데 열린 이번 위령제는 유족들이 지내는 고사로 시작해 개제 선언, 국민의례, 경과보고, 고유문, 주제사와 추도사, 헌화와 분향 순으로 진행됐다. 이승찬 제주4·3희생자 북촌리 유족회장은 고유문에...
내년 70주년 맞는 '제주4·3'…평화·상생 일궈낸 역사 2017-12-28 06:32:01
1월 조천읍 북촌리에서 벌어진 양민 집단학살을 다룬 순이삼촌은 제주4·3의 참혹한 진실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해 드러냈다. 이후 1980년대 현길언·오성찬·고시홍 등 제주 출신 문인들이 4·3 이야기를 작품 속에 담아냈다. 대학가의 4·3 진상규명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1986년 4월 3일 제주대 총학생회는 학내에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