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북한은 다르네…"개고기 많이 드세요" 권장하는 이유 2024-09-15 09:46:59
국무위원장의 경우 개고기를 직접 언급하는 사례가 드문 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평양단고기집 운영 상황을 파악하거나 품질 관리를 지시하는 정도에 그친다는 것. 북한에선 소고기가 귀한 데다 돼지고기도 일반 가정에서 직접 사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개는 농촌 서민 가정에서도 큰 비용 부담 없이 사육할 수 있어...
추석 '20대 성수품', 할인지원·공급 확대에 하락세 2024-09-04 06:25:01
더욱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우와 돼지는 사육 두수가 늘어 가격이 안정적이다. 다만 한우는 대형마트 할인이 일시적으로 끝난 영향으로 가격이 올랐다. 1등급 등심 100g당 8천821원으로 5.4% 상승했다. 수산물은 정부 물량 방출 등에 따라 명태와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 가격이 하락했다. 명태(1마리)는 3천606원,...
경기 이천서 럼피스킨 발생…올해 두 번째 사례 2024-08-31 21:19:52
내렸다. 중대본은 이천시와 인접 시군 소재 소 사육 농장 3천800여 곳을 소독하기로 했으며 발생농장 반경 5㎞ 내 방역대 소재 소 사육농장 158곳과 발생농장과 역학 관계가 있는 소 사육농장 325곳에 대해서는 임상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최정록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지난 25일 긴급 백신...
추석 앞두고 아프리카돼지열병…"추가 발생 가능성" 2024-08-31 14:48:21
나왔다. 김 실장은 이어 "추석 명절에는 사람과 차량의 이동이 많아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크다"며 "추석 전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주요 도로 소독, 야생 멧돼지 수색·포획, 울타리 점검 등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이번 ASF 발생으로 살처분하는 돼지는 전체 사육 마릿수의...
추석 앞두고 아프리카돼지열병…정부 "추가 발생 가능성 높아" 2024-08-31 13:12:25
멧돼지 수색·포획, 울타리 점검 등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이번 ASF 발생으로 살처분하는 돼지는 전체 사육 마릿수의 0.03% 수준이므로 국내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기 김포서 아프리카돼지열병…올해 여덟번째 사례 2024-08-31 03:31:4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경기 김포시의 한 양돈농장에서 ASF가 발생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지난 12일 경북 영천시의 한 농장에서 ASF가 보고된 지 19일 만의 추가 발생으로 올해 여덟 번째로 확인된 양돈농장 확진 사례다. 이 양돈농장은 돼지 3천900여 마리를 기르고 있었고, 최근 폐사가 늘자 방역...
덜 익은 소시지 먹은 男…다리에 쌀알같이 박힌 '이것' 경악 2024-08-29 18:09:30
먹어야 기생충을 예방할 수 있지만 최근 돼지고기 육즙을 즐긴다며 고기를 덜 익혀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국내에서는 사육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기생충에 감염된 국내산 돼지가 드물어, 덜 익은 돼지고기를 먹어도 위험성은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다만 수입 돼지고기의 경우 덜 익은 고기의 안전성을 완전...
[추석민생대책] 송미령 "기상여건 호전…추석성수품 공급 안정" 2024-08-28 08:00:07
소·돼지·닭고기, 계란 등 축산물, 밤·대추·잣 등 임산물까지 14가지 추석 성수품 공급 물량은 15만3천t(톤)으로 평시의 1.6배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공급이 충분한 쌀(가공품 포함)·한우를 중심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민생선물 세트도 제공한다. 아울러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등...
가축전염병 발생 정보공개 대상에 '럼피스킨'도 추가 2024-08-19 06:15:00
완료했다. 현재는 안성을 포함한 11개 지역의 사육 소에 대한 접종을 오는 25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최 국장은 "럼피스킨 추가 발생 가능성은 작년보다 낮다"면서 "작년에 처음 럼피스킨이 확인됐을 때는 발생한 농장에서 사육하는 소는 모두 살처분했지만, 현재는 럼피스킨에 감염된 소만 살처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럼피스킨에 ASF도 발생…정부 "소독·살처분 등 방역강화" 2024-08-13 13:47:58
남아 있다. 방대본은 방역대(발생농장 반경 10㎞) 이내 소 사육 농장 204곳, 발생 농장과 역학 관계가 있는 소 사육농장 120여곳에 대해 임상 검사를 진행한다. 또 시군구별로 소독, 예찰, 곤충 방제 조치를 포함하는 '럼피스킨 특별 방역관리 방안'을 수립해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별개로 중수본은 A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