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디지털 병풍'으로 보는 조선시대 미술작품…LG전자 전시 2018-07-02 10:00:07
장승업의 산수도와 화조도, 조석진의 고사인물도, 안중식의 산수도 이미지를 전시했다. 시야각 성능이 강화된 디지털 사이니지로 관람객들이 어느 위치에서도 그림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 LG전자는 88인치 울트라 스트레치와 65인치 슈퍼 울트라HD TV 각 10대를 투입해 고해상도로 촬영한 작품 12점의...
조선시대 작품도 'LG 사이니지'로 선명하게 2018-07-02 10:00:00
8개 화면은 장승업의 산수도와 화조도, 조석진의 고사인물도, 안중식의 산수도 이미지를 보여준다. 88인치 울트라 스트레치와 65인치 슈퍼 울트라hd tv 각 10대를 투입해 고해상도로 촬영한 작품 12점도 보여줬다. 제품들은 나란히 전시된 실제 작품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선명한 화질을 구현했다.임정수 lg전자...
일본 전통 수묵화와 채색화는 어떻게 발전했나 2018-04-23 15:41:13
'파묵산수도'(破墨山水圖)를 볼 수 있다. 이후 일본 수묵화는 중국 문인화 요소를 받아들여 '남화'(南畵)라는 화풍으로 발전한다. 당시 일본은 규슈 나가사키(長崎)를 창구로 삼아 중국과 교류했다. 이 연구사는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문인화는 사대부가 그린 그림이지만, 일본에는 사대부 계층이 없어서...
국제교류재단, 벨라루스서 한국문화 소개하는 민화전·영화제 2018-03-12 10:38:57
작품을 선보인다. 가회민화박물관이 제공한 화조도, 산수도, 십장생도, 문자도 등으로 구한 말에서 20세기 초의 서민문화를 표현한 작품들이다. 전시 기간 관람객을 대상으로 민화를 소재로 한 특강과 탁본 체험회도 열린다. 민스크 궁전 소극장에서 오는 23∼25일 개최하는 '2018 민스크 한국영화제'에는 '...
[피플 & 뉴스] 2018년 테샛교재 'TESAT 완전정복' 나왔어요 2018-03-12 09:02:37
있지만 산수도 수학인 탓에 의외로 정답률이 낮게 나온다.거시경제 영역도 기본 개념 위주로 잘 정리돼 있다. gdp, gnp, gni, 교역조건 이해는 필수다. gdp를 늘리는 활동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문항은 단골 문제다. 여러 가지 생산활동과 판매활동을 나열한 뒤 gdp를 계산하라는 문제는 단순히 더하기 문제지만...
모스크바 국립동양미술관서 '한국 전통민화 특별전' 2018-01-31 09:47:03
주제로 십장생도, 화조도, 책가도, 산수도, 문자도 등 가회민화박물관이 소장한 민화 27점을 선보인다. 행복, 장수, 다복 등을 상징하는 자연물이 그려진 민화는 한국인의 생애주기를 기념하는 돌잔치·혼례식·회갑연 등에서 병풍으로 사용되거나 일상 생활공간을 장식해온 19∼20세기 초의 대표적 서민문화다. 재단은...
"무술년, 개 그림 보세요"…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 전면 개편 2017-12-07 16:27:09
구매한 16세기 산수도가 기존에 소장하고 있던 매우 유사한 화풍의 산수도와 함께 전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화면 구성이 유사하고 표현 방법이 동일해 16세기 전반에 같은 화가가 두 작품을 거의 동시에 그린 것으로 판단된다"며 "두 작품에 시를 쓴 인물인 학포(學圃)의 필치도 같아 한 사람이 그림이 완성된 뒤...
16세기 조선 산수화 日서 환수…쌍둥이 그림과 전시된다 2017-12-01 08:37:00
1488∼1545)의 전칭작(傳稱作, 그렸다고 전하는 그림) 산수도와 나란히 전시된다. 두 그림은 구도가 대비를 이룰 뿐, 화풍이 매우 유사해 '쌍둥이 그림'과 같다는 평가를 받는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본에서 돌아온 산수도에도 '학포'라는 인물이 쓴 "산사는 산간에 어슴푸레 보이고/ 돛배는 큰 강의 수면에...
"화려하고 장식적으로"…격동의 19세기 미술을 조명하다 2017-10-24 11:02:43
한가한 소상팔경 산수도 기이하다." 19세기 중반 한양의 모습을 기록한 '한양가'(漢陽歌)에는 청계천 광통교 아래에서 형형색색의 그림을 팔았던 가게에 관한 대목이 있다. 미술품을 사고파는 시장이 형성됐다는 사실은 예술을 향유하는 계층이 넓어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19세기 조선은 정치적으로 암울했으나,...
광주 시립도서관 건립 사업 시작 전부터 '삐걱' 2017-08-09 14:32:38
1997년 산수도서관 개관 이후 20년만이다. 1981년 무등도서관(북구)과 1989년 사직도서관(남구)이 문을 열었다. 광주시는 이번 용역이 시 전체적으로 도서관이 몇 개가 필요한지, 그 장소는 어딘지, 사업비는 얼마나 되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자치구마다 도서관 개설을 주장하는 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