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이비엘바이오, BBB 셔틀 이중항체 정제 방법 남아공 특허 등록 2023-11-15 09:21:45
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생리활성 펩티드의 정제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게 된다. 현재 에이비엘바이오는 해당 정제방법에 대한 글로벌 권리 확보를 위해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을 포함한 16개국에서 특허 심사를 받고 있다. 그랩바디-B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BBB 셔틀 플랫폼이다.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와사비 즐겨 먹었는데…" 노인 기억력 쑥↑ 2023-11-07 14:35:27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72명의 노인에게 와사비의 주요 생리 활성 화합물인 6 메틸설피닐 헥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하 6-MSITC, 0.8mg 함유) 또는 위약(placebo)을 3개월간 자기 전 복용하도록 했고 실험 전후로 집행기능, 일화 기억, 단기기억, 주의력 등 광범위한 인지기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실험 결과 12...
'옴니아메드', 국제 mRNA 컨퍼런스 참가…최신 연구결과 발표 2023-11-02 11:20:40
mRNA기술개발의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카탈린 카리코(Katalin Kariko) 박사가 기조강연을 진행해 관심을 끌었다. 이 자리에서 김원종 옴니아메드 대표는 구두발표자로 선정돼 현재 진행하고 있는 폴리머나노파티클(PNP)을 이용한 mRNA전달 플랫폼 및 코로나19 백신 관련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부채표 가송재단, 윤광열 약학공로상에 김영중 서울대 교수 선정 2023-10-23 17:40:30
천연자원으로부터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골격의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및 작용기전 검증법을 확립하고,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250여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1998년에는 '동양의약으로부터 뇌신경세포 보호물질의 도출'이라는 주제로 미국국립보건원(NIH)로부터 5년간 200만달러의 연구비를 지원받았고, 20...
윤광열 약학공로상에 김영중 서울대 약대 명예교수 2023-10-23 16:20:40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골격의 생리 활성물질의 분리와 작용기전 검증법을 확립하고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250여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으며 국내 식물자원 보존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서울대 약초원을 조성했다고 재단 측은 덧붙였다. 약학상 수상자 이 교수는 최근 10년간 61편의 국제 학술지 논문과 9편의...
"목조 건물 킬러"…문화재 위협하는 '외래종' 급증 어쩌나 2023-10-19 09:23:33
병해충'으로 지정해 관리해왔다. 방역에는 생리활성 억제물질인 '고내구성 군체 제거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덫에 흰개미가 좋아하는 나뭇잎 등을 생리활성 억제제와 섞은 뒤 놓아두고 이걸 먹은 흰개미가 서식지로 돌아가 죽으면, 이 사체를 뜯어먹은 다른 흰매기가 연쇄적으로 죽는 원리다...
엘앤씨차이나, 골재생용 이식재 중국 특허권 취득 2023-10-10 09:04:18
비율을 갖추고 생리 활성물질도 포함해 기술적 우수성을 확보했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혼합해 점성을 최적화해 골 손상 부위에 제품이 잘 고착하도록 골형성 효과도 높였다. 엘앤씨바이오는 메가디비엠 에스에 대해 2020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정형외과, 척추신경외과, 치과 등에 판매...
'아토초 시대' 개척자…'양자점' 발견자…'mRNA 백신' 주역 2023-10-09 16:00:23
올해 노벨과학상(생리의학상·물리학상·화학상)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아토초(100경분의 1) 물리학, 반도체 양자점 기술을 개척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올린 후 20~30년 뒤 후속 연구자들과 함께 복수로 수상하는 공식이 여전히 이어졌다. 노벨물리학상은 아토초의 순간에 전자의 움직임을 볼...
'찰나 빛'으로 노벨 물리학상 받은 프랑스·헝가리 출신 3인 2023-10-03 22:05:33
생리의학상을 받은 커털린 커리코(68)에 이어 이틀 연속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냈다. 크러우스는 헝가리 출신 역대 17번째 노벨상 수상자다. 피에르 아고스티니(70)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석좌교수는 프랑스 엑스 마르세유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대체에너지 및 원자력에너지위원회(CEA) 파리-사클레 센터에서...
찰나의 빛으로 전자 세계의 창 열다…노벨 물리학상 3인 수상(종합2보) 2023-10-03 21:24:43
의대 드루 와이스먼(64) 교수에게 생리의학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노벨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이 낀 '노벨 주간'에 스웨덴 스톡홀름(생리의학·물리·화학·문학·경제상)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린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