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천300조 우크라 재건시장 열리나…건설·기계·석화 수혜 기대 2025-02-13 14:19:41
현지 영농기업을 접촉하며 종전에 대비한 추가 사업 기회를 보고 있다. 나아가 2023년 미콜라이우주와 모듈러 제조시설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농업 분야 외에도 종전 후 국가 재건사업에 적극 참여하기 위한 포석을 놓고 있다. 재건에 필수적인 전선 및 전력기기 업계도 수혜가 예상되는 분야다. 전선업계 관계...
트럼프 '드릴 베이비 드릴'에도…셰브론, 20% 감원 계획 2025-02-13 11:52:27
계획 석유산업 재편 분석도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親)석유 행보에도 불구하고 미국 석유기업 셰브론이 최대 20% 인력 감축안을 내놓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셰브론은 사업을 단순화하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비용 절감 차원에서 내년...
투자·에너지로 '트럼프 선방'한 일본…"LNG 수입 등 韓에 시사점" 2025-02-13 11:29:49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한 관심을 보이는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한 합작 의향을 내비쳐 트럼프 대통령을 흡족하게 했다. 사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최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투자 계획 공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 주요 기업의 미국 투자는 계속 활발히 이뤄져 왔다. 또한 세계 2위...
트럼프 "우크라 전쟁 곧 종료"…'1,200조' 재건시장 열린다 2025-02-12 15:18:21
인터뷰에서는 "우크라이나는 희토류와 석유, 가스 등 매우 가치 있는 땅을 가지고 있고, 수천억 달러를 쓴 우리는 그 돈을 안전하게 지키기를 원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트럼프의 발언에 힘을 실어줬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없이 유럽이 우크라이나 안보를 보장할...
우크라이나 종전 가시화..."항공,해운,석유화학 수혜" 2025-02-12 14:41:51
재건 사업 규모는 약 8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12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며, 건설 관련 업종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다만, 유럽 건설사들과의 경쟁이 필요하며, 정부의 도움 없이는 개별 기업이 초대형 일감을 따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전쟁이 끝나면 환율과 유가가 안정되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될...
젤렌스키 "우크라 지원 美에 전략적·경제적 이익" 2025-02-12 05:07:56
사업이나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면서 "우크라이나를 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들은 우크라이나 기업과 함께 우크라이나를 혁신할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병합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자원 개발 등에서 미국에 이득을 줄 것을 압박하고 있다. 그는 전날 폭스뉴스에...
금호석화 "5년 내 매출성장률 6%…순이익 최대 40% 주주환원" 2025-02-11 16:18:15
= 금호석유화학이 고부가·친환경 제품을 앞세워 오는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6% 달성에 나선다. 금호석유화학은 1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친환경 자동차 설루션 강화, 바이오·지속 가능 소재 확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전환 가속화 등 3대 성장동력을 통해 매출 성장률 6%,...
원자재값 상승 랠리...주목받는 현물·주식형 ETF 2025-02-11 16:02:20
에너지 분야에서의 사업 기회가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산업군 내에서도 개별 종목보다는 지수 추종 상품인 ETF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게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석유와 가스 자원 활용 정책은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적어도 내년까지는 유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금호석유화학 "당기순이익 최대 40% 주주환원" 2025-02-11 15:34:17
금호석유화학은 ▲친환경 자동차 솔루션 강화 ▲바이오/지속가능 소재 확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전환 가속화를 회사의 3대 성장전략으로 설정해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을 6%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셋째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자본효율성 제고 및 재무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고효율 생산기술에...
GS칼텍스 작년 4분기 흑자전환…정유 수익성 개선 2025-02-11 15:32:24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정유 부문이 매출 9조1천729억원, 영업이익 2천70억원을 기록했다. 난방유 수요 증가로 정제마진이 개선돼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석유화학 부문 매출은 1조8천511억원, 영업손실은 502억원이었다. 휘발유 생산에 투입되는 방향족 블렌딩 수요의 감소로 스프레드가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