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컬러강판 수출 140만t 역대 최다…"인도에서는 꽃무늬 냉장고가 효자" 2025-02-04 16:08:48
인도에서도 화려한 색상과 무늬의 냉장고, 세탁기 등이 인기를 끌면서 컬러강판 수요가 늘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또 인도 건설 경기가 최근 수년 동안 호황을 이뤘고, 유럽에서도 파리올림픽, 유로 2024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열리면서 한국산 컬러강판이 건축 자재용으로도 많이 팔려나갔다”고 설명했다. 반면...
트럼프 관세 유예로 멕시코 관련주 수혜...스타링크 국내 진출 임박 2025-02-04 08:11:14
- LG전자, 멕시코에 세탁기 및 전장 관련 공장 다수 보유. 관세 유예 기대감으로 긍정적 영향 기대 - 솔로엠, 전자상품 가격표시기 분야 북미 1위 업체로 멕시코 공장 위기 해소로 반등 가능성 - 과기부, 전파법 시행령 개정으로 스타링크 등 통신 위성 서비스의 소비자 연결 가능성 확대 - 쎄트렉아이, 초고해상도 위성을...
LG전자, ESG 평가에서 경영 개선 답안 찾는다 2025-02-04 06:00:43
주요 제품군(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가정용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모니터)의 전체 글로벌 판매 모델에 대해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고 있다. 2021년 기준 7대 주요 제품군은 2021년 기준 LG전자 전체 판매 제품의 사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막 오른 관세전쟁...2주일 뒤 '더 센 놈' 온다 2025-02-03 16:22:41
멕시코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TV와 세탁기, 냉장고 같은 가전을 만들고 있습니다. 또 완성차 기업인 기아를 중심으로 부품업체인 현대모비스, 차량용 강판을 생산하는 포스코 등이 멕시코 현지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들의 캐나다, 멕시코 현지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이 제품을 미국에 있는 판매법인이...
美백악관, 한국기업 투자·투자 검토 언급하며 '관세 효과' 홍보 2025-02-03 16:15:04
인해 멕시코의 냉장고 사업을 테네시주의 세탁기 및 건조기 공장으로 옮기는 문제를 저울질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관세의 효과를 부각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 대해선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지난 1일 서명했다. 하지만...
"트럼프 1기 '한국 세탁기 관세' 결국 美소비자 부담" 2025-02-03 11:59:35
1기 '한국 세탁기 관세' 결국 美소비자 부담" ING "최악의 경우 미국인 1인당 연간 123만원 손해볼 듯" 학계도 '관세 부메랑' 인정…"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 전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전략이 미국 소비자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관세에도 주가 버틴다? 계속되는 희망고문…골드만 "단기로 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2025-02-03 08:47:10
것이죠. 2018년 세탁기(트럼프 1기 때 20% 관세)의 경우,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약 3개월이 걸렸습니다. 소매업체가 단기적으로는 기존 재고를 판매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소비가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피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약간 증가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구매력이 위축되어...
"지옥문 열렸다"…북미 생산기지 둔 삼성·LG·기아 '비상' 2025-02-02 17:55:04
삼성전자는 멕시코 케레타로에서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을 제조하는 가전 공장을, 티후아나에서 TV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 멕시코 냉장고 물량 일부를 광주 공장으로 옮긴 데 이어 추가로 생산 물량 조정에 나섰다. LG전자도 멕시코에서 제작하는 냉장고 물량을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에 있는 세탁기 및...
트럼프 '관세 폭탄' 던졌다…韓기업에 '직격탄' 2025-02-02 17:18:06
관세를 물리자 세탁기를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체제를 갖추고 미국 시장 점유율을 늘려 왔다. 삼성전자도 세이프가드 발동 이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세탁기 공장 준공 일정을 앞당겨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해왔다.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김창태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만일 관세 인상 수준이...
韓가전·배터리 생산기지 캐나다·멕시코에 고관세…전략 수정 불가피 2025-02-02 15:53:36
세탁기에 고율 관세를 물린 이후 오히려 세탁기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고 미국 시장 지위를 공고히 했다. 삼성전자 역시 세이프가드 발동을 계기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세탁기 공장 준공 일정을 앞당겨 현지 생산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해왔다.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김창태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