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스티팜, mRNA 백신 원료 위탁개발생산 사업 본격화 2022-05-03 13:50:23
LNP는 약물이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질 안에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전달체로 mRNA 백신이나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물질로 꼽힌다. 화이자와 모더나 mRNA 백신의 성공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에 맞춰 지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이번 계약에 따라...
미토콘드리아는 어떻게 세포 '자멸사 신호'를 보낼까 2022-04-12 17:01:22
신호가 어떻게 시토졸(cytosolㆍ세포질의 액상 부분)까지 도달하는지, 일개 단백질에 불과한 DELE 1이 어떻게 여러 유형의 스트레스를 구분해 감지하는지 등은 여전히 미스터리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새로 생성된 DELE 1 단백질 분자는 미토콘드리아 내로 맘대로 들어가지 못했다. 진입 과정에서...
"미혼 때 냉동한 난자로 임신 성공"…분당차여성병원 의료팀 2022-04-07 11:22:35
시술 방법으로 세포질의 손상을 최소화해 수정률을 높였다. 피에조 체외수정은 전기신호에서 발생된 진동이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외막에 미세한 구멍을 만들어 정자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38-40세 고연령 환자가 이전 주기에서 수정에 실패하거나 수정률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 난자의 세포질 상태가 약하거나 점성이 높아...
아이진 “오미크론 백신 개발, 화이자보다 6개월 이상 늦지 않을 것” 2021-12-06 17:51:09
세포질 내에서 발현되므로 유전자 변형 우려가 없다. 반감기가 짧아 안정성도 우수하다고 했다. EG-COVID는 국내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임상 속도가 회사의 목표치보다 더디다. 김 소장은 이에 대해 “임상 프로토콜상 투여가 순차적으로 이뤄지면서 많은 신청자들이 자의적으로 탈락하게 됐다”며 “이를...
항체 전엔 코로나 무방비? 초장에 잡는 'RNA 작용제' 개발 2021-11-16 17:12:27
세포질 내 수용체 분자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RIG-1은 신종 코로나의 유전자 물질을 식별해 1형 인터페론의 생성을 유도한다. 1형 인터페론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단백질 생성을 촉진하고, 면역세포가 감염 부위로 모이게 자극한다. 감염 초기의 왕성한 인터페론 생성이 실제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안구에 생긴 암이 어떻게 간(肝)까지 전이할까 2021-09-16 17:13:49
조각이 세포질로 흘러나와 염증 반응을 일으켰고, 그 결과 암세포가 전이하려는 성질이 강해졌다. 지금까지 포도막 흑색종은 두 개의 하위 유형, 즉 한자리에 머무는 성질의 종양과 전이성이 강한 종양으로 나뉜다고 봤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그럴 가능성은 작아졌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논문의 제1 저자를 맡은...
[탐방노트]펨토바이오 “새로운 CAR-NK 제조법 개발…내달 美 특허 출원” 2021-09-10 09:04:11
처리가 가능한 세포질 내 주입 기술인 ‘CS-CCD’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개발된 기술은 세포핵에 직접 유전물질을 주입하는 CS-DNF다. 먼저 세포가 주입 장비 속 좁은 통로를 흘러가게 만든다. 세포가 지나가는 통로 중간에 유리로 만든 나노주사기를 배치하고 물질을 발사한다. 나노주사기가 각각의 대상 세포에 접촉해...
mRNA 곳곳 `특허` 지뢰밭…회피 묘수 `골몰` [신동호 기자의 더 바이오] 2021-08-16 06:02:00
mRNA는 핵 안에 있는 DNA의 유전정보를 해독해 세포질 안의 리보솜에 전달하는 핵산으로 온도·화학물질 등 외부 환경에 매우 취약한 특징을 갖는다. 특히 체내에는 수많은 RNA 분해효소가 있어 쉽게 변형·분해될 수 있다. LNP 플랫폼 기술은 mRNA 등 유전자 물질을 지질 나노 입자로 감싸 생체 내에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saRNA 英 미나, 릴리로부터 1500만달러 추가 투자 유치 2021-07-07 16:10:26
살펴보면, 먼저 환자 체내로 투여한 saRNA가 세포질에서 ‘슬라이서’라고도 알려진 아르고노트 단백질(Ago)과 결합한 뒤 세포핵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와 결합해 해당 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한다. 쉽게 말해, 외부RNA를 넣어 핵에서 원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회사의...
"면역세포도 강화 훈련 하면 공격력 세질 수 있다" 2021-07-01 17:14:38
행동했다. 대식세포의 핵에 이런 NFkB가 어느 정도 쌓이면 세포질로 이동했다가 핵으로 되돌아왔고, 이런 순환은 주기적으로 반복했다. 이와 달리 고정 NFkB는 대식세포의 핵으로 들어가 몇 시간 동안 그대로 머물렀다. 그런데 NFkB가 대식세포 훈련에 성공하려면 반드시, 세포 외 자극이 비 진동(non-oscillating) NF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