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스씨엠생명과학,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2상 환자등록 완료 2023-03-21 15:05:39
에스씨엠생명과학은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줄기세포 치료제 'SCM-CGH'의 국내 임상 2상에서 피험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2상을 위한 84명의 대상자를 모두 확보했다"며 "데이터 수집을 내년 3월까지 완료하고 결과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건부 허가를 받은...
에스씨엠생명과학,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임상2상 환자 모집 완료 2023-03-21 10:07:03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줄기세포 치료제(SCM-CGH)의 임상2상을 위한 환자 모집을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에스씨엠생명과학 관계자는 “임상2상을 위한 84명의 대상자를 모두 확보했으며, 모집된 대상자의 데이터 수집을 내년 3월까지 완료하고 결과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해당 치료제에 대한 조건부 허가를 받은...
1살 아이 두개골 안에 '쌍둥이 태아'가…의료진 충격 2023-03-10 14:28:56
게 신경외과 전문의의 판단이다. 의료진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아직 분리되지 않은 부분이 '숙주 태아'의 전뇌로 이어져 발달한 것으로 봤다. 의학계에서 이 같은 현상을 '쌍생아 소실'(배니싱 트윈)로 명명한다. 전 세계에서 약 200번밖에 기록되지 않은 희귀 사례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중...
에스씨엠생명과학, `JP모건 헬스케어`서 기술이전 논의 2023-01-16 14:36:20
회사 관계자는 “줄기세포 분리?배양에 대한 원천기술 ‘층분리배양법’과 급성 췌장염, 아토피피부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등 주력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빅마파를 비롯한 해외 유수 기업들과 심도있는 미팅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지난해 하반기 급성 췌장염...
에스씨엠생명과학 "JP모간서 글로벌 기업 등과 회의 실시" 2023-01-16 13:50:16
줄기세포 치료제의 임상 2a상을 통해 안전성과 탐색적 유효성을 확인했다. 유효성 확증을 위한 임상 2b상을 준비하고 있다. 아토피피부염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도 임상 2상 중이다.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의 경우 올해 임상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급성 췌장염은 아직 근원적 치료제가 없는 질환이라고 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 "美 관계사, 백혈병 1·2상 66.7% 완전관해" 2022-12-15 10:50:12
후 추가적인 이식편대숙주질환은 발생하지 않았고, 용량 제한 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고 했다. CARCIK-CD19 세포의 증식, 분화 및 확장이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했다. 20명은 생체 내에서 최대 12개월까지 CARCIK-CD19 세포가 검출됐다. 지속성이 기존 CAR-T 치료제에 비해 더 길었다는 것이다. 급성 골수성...
에스씨엠생명과학,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서 파트너링 진행 2022-12-07 10:36:57
줄기세포치료제 임상 성과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글로벌 IR @JPM’은 한국바이오협회와 미국 의약전문지 바이오센추리(BioCentury), 미국계 글로벌 대형 로펌 시들리 오스틴(Sidley Austin LLP)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나스닥,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행사이다. 회사 관계자는 “세계 최대의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소아 백혈병 조혈모세포 이식 후 폐렴…`고용량 항암제`가 원인 2022-11-29 15:08:13
그러나 조혈모세포가 성공적으로 이식돼도 폐렴 같은 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합병증은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주지만 혈액암 종류나 이식 형태, 이식편대 숙주병, 감염 등에 따라 원인이 다양해 미리 예측하고 치료하는 것이 어렵다. 그런데 최근 치료 후 폐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이식 전 고용량...
中베이진, ‘브루킨사’ 유럽서 만성림프구성백혈병 적응증 확장 2022-11-18 10:22:29
세포 수용체의 활성화로 인한 혈액암에서 중추적인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1세대 BTK 저해제인 얀센의 임브루비카는 혈액암의 한 종류인 외투세포림프종(MCL) 치료제로 2013년 미국에서 처음 승인됐다. 현재 CLL WM MZL 소림프구성림프종(SLL) 등 5개의 혈액암과 만성 이식편대숙주병(cGVHD)으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국내...
`부스터 샷` 필요 없어지나…오미크론 잡는 항체 찾았다 2022-09-08 19:02:45
B세포의 염기 서열을 전부 분석했다. 당시는 코로나 변이체가 나타나기 전이었다. 피험자는 모두 `원조` 신종 코로나(original COVID strain) 감염자였다. 당시 분리한 9개의 항체 유형 가운데 2개가 오미크론, 델타 등 모든 코로나 변이를 높은 비율로 중화한다는 게 확인됐다. 원조 신종 코로나의 감염으로 체내에 형성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