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밝혀지지 않은 '녹조 발생의 비밀'…빅데이터·AI로 풀 수 있다 2019-10-16 15:25:42
존재하는 박테리아, 고세균, 식물 플랑크톤, 동물 플랑크톤 등 모든 미생물의 유전자를 추출해 염기서열을 분석한다. 이후부터는 컴퓨터를 이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미생물 사이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축해 녹조 발생 시기의 미생물 구성과 연결망을 확인해봤다. 마이크로시스티스는 다양한 미생물과 공생 관계에...
극지연구소 "적도 라니냐 남극 동물플랑크톤 겨울잠 깨운다" 2019-07-23 14:44:01
등과 함께 서남극 아문젠해 동물플랑크톤의 수직 이동을 분석해 이상기후 현상 등과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크릴과 같은 남극의 동물플랑크톤이 여름철에 바다 표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영양분을 축적한 다음 수백 m 아래로 내려가 겨울을 보내는데, 저위도 이상기후 현상과 남극...
7월 보호해양생물에 '유착나무돌산호' 2019-07-01 06:00:08
종으로, 단단한 나무 모양의 몸통을 가졌다. 식물처럼 생겼지만, 가지 끝에 달린 촉수를 뻗어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자포동물이다. 몸통과 촉수는 밝은 주황색을 띠며, 원통형의 굵은 가지는 이웃 가지와 서로 붙어있다. 이 산호는 청정해역의 수심 20∼100m 암반에 붙어 서식하며, 매우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한 번...
한강 행주대교 인근 '녹조' 발생…물고기 폐사는 없어 2019-06-27 15:11:13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녹조는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면서 물의 색이 초록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남조류는 먹잇감인 질소·인 등 영양염류가 풍부해지고 일조량이 많아지면서 수온이 오를 때 필요 이상으로 번성하면서 악취를 일으킨다. 물에서 비린내가 나고 인체 접촉 시엔 피부염도 생...
친환경 지표 '긴꼬리투구새우' 강진 친환경 벼논에 대량 서식 2019-06-26 14:21:48
자취를 감췄다. 2005년 2월부터 발효된 야생 동·식물 보호법에 의해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했다. 이후 개체 수 증가로 2012년 해제됐지만, 여전히 생태자원으로 가치가 높다. 긴꼬리투구새우는 일명 '자연의 청소부'라 불리며 조류와 유기물, 모기 유충, 식물성 플랑크톤 등을 잡아먹는다....
[바다의날] ①'서로 다른 매력' 한국의 삼해(三海) 2019-05-29 09:00:02
탁해 플랑크톤이 동해 절반에 불과하다. 그러나 하천에서 유입되는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크고 작은 섬이 많아 어류 산란장으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서해에는 참조기와 민어 등 어류와 전복과 꼬막 등 패류, 미역과 김 등 해조류, 젓새우와 흰다리새우 등 갑각류들이 곳곳에 넘쳐난다. 전복, 미역, 천일염 생산량은...
멸종위기 생물 15종 서식 충주 비내섬…주한미군 훈련 어떡하나 2019-05-08 10:54:01
비내섬에 각종 식물, 포유류, 조류, 어류, 양서파충류, 육상 곤충,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 식물 플랑크톤 등 865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멸종위기 생물은 단양쑥부쟁이, 수달, 삵, 호사비오리, 큰고니, 독수리, 참매, 수리부엉이, 흰목물떼새, 흰꼬리수리, 묵납자루, 꾸구리, 돌상어, 표범장지뱀 등...
[알쏭달쏭 바다세상] ④ 귀물 대접받는 나는 야 바닷속 코끼리 2019-03-24 08:01:02
돌출해 지나가는 식물플랑크톤이나 유기물 입자를 촉수에 붙여 섭취하거나 물과 함께 빨아들여 걸러서 먹는다. 코끼리 조개를 채취할 때에는 분사기를 장착한 잠수기 어선을 이용해 잠수부가 수심 10∼30m의 모래를 흩어낸 후 한 마리씩 잡는다. 수온이 상승하는 4월경부터 코끼리 조개 호흡이 활발해져 수관부가 모래...
[경기소식] 먹거리 취약계층 지원사업, 참여업체 공모 2019-03-07 14:34:55
받아 보조사업자를 최종 선정한다. 경기도 저수지 식물플랑크톤 보고서 발간 (수원=연합뉴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기흥, 물왕, 왕송, 금광, 덕우, 동방, 멱우 등 도내 7개 주요 저수지의 수생생태계 정보가 담긴 2018년 경기도 내 주요 저수지 식물플랑크톤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보고서에는 7개...
남극 여름 바다 탄소순환 원리 규명…아라온호 덕분 2019-02-27 12:00:37
김소정 박사 팀은 남극 해역 식물플랑크톤 번성·소멸과 탄소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군집 종류를 규명했다. 남극은 기나긴 겨울을 보내면 약 2개월간의 여름을 맞이한다. 여름엔 해빙이 녹으면서 비로소 해양이 태양 빛에 노출된다. 식물플랑크톤의 폭발적인 성장이 일어나는 것도 이 시기다. 겨우내 축적된 풍부한 영양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