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2021-12-21 16:36:18
있는 구조를 갖췄다는 의미다. 통증의 차단은, 배근 신경절의 지각 뉴런이 탄저균이 생성하는 2종의 단백질과 결합할 때 이뤄졌다. 배근 신경절은 통증 신호를 척수에 중계하는 신경 조직이다. 탄저균이 만드는 단백질 중 하나인 '방어 항원(PA)'이 신경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막에 통로 역할을 할 미세 구...
안트로젠,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제 개발 CSK 흡수합병 2021-12-17 11:39:17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CSK가 개발한 후보물질은 신경절 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용성을 높였다. 직접(Head to head) 비교가 아니기 때문에 해석은 조심스러우나, CSK 개발 화합물의 대상포진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는 현재 시판 중인 아시클로버 대비 750배 높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CSK는 이 후보물질에 대해...
CSK, 대상포진 후 신경통치료제 동물실험 초록 ICAR에 제출 2021-12-09 15:35:39
후보물질은 신경절 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용성을 높였다. 제니퍼 모팻 뉴욕주립대 업스테이트 의대 교수 연구진은 인체 피부조직을 이식한 동물모델에서 후보물질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했다. CSK 관계자는 ”직접 비교(Head to Head)가 아니라 해석은 조심스럽지만, 대상포진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는 현재...
CSK "안트로젠과 대상포진 신경통 치료제 개발 협력 모색" 2021-11-09 16:06:46
또 신경절로의 분포가 용이하도록 지용성을 높였다. 신경절에 침투한 바이러스까지 검출한계 미만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상포진은 정상 면역상태에서 잠복돼 있던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세포막을 깨고 신경섬유를 따라 이동해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치료제로는...
'온도·압력 어떻게 느끼나' 규명…미국인 2명에 노벨 생리의학상 2021-10-04 23:25:39
줄리어스 교수는 척추 신경 말단 부분인 배근신경절 세포에서 ‘캡사이신 수용체(TRPV1)’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열감을 유발하는 고추 화합물 캡사이신을 활용해 인간의 피부가 열에 반응하는 기전을 밝혀낸 것이다. 레바논계 미국인 파타푸티언 교수는 압력에 민감한 세포를 활용해 피부 및 내부 장기에서 기계적 자극...
밤에 불끄고 폰·TV 뚫어져라…"눈 녹내장 유발하는 나쁜 습관" [이선아 기자의 생생헬스] 2021-09-03 17:37:29
신경절세포가 손상된다는 것이다. ○안압 높이는 운동·카페인 피해야일단 시신경이 손상되면 다시 복구할 수 없다. 녹내장의 초기 진단이 중요한 이유다. 두통·안통, 시야 좁아짐 등 녹내장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정밀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먼저 녹내장으로 시야가 손상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야 검사’를...
멈추지 않는 '겨땀'이 두려운 당신…바르는 약으로도 치료 가능 [이선아 기자의 생생헬스] 2021-08-06 17:17:54
교감신경절(교감신경계의 뉴런이 모여 있는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크거나 땀샘을 자극하는 신경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는 경우다. 가족력에 의해 발병하기도 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다한증 환자의 절반 이상이 가족력이 있었다. 액취증은 사춘기나 월경 직전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여름철 불청객' 대상포진…"하루 20분 햇볕 쬐세요" 2021-07-13 15:40:50
감염돼 수두 증상을 보인 뒤 바이러스가 신경절로 이동해 잠복 상태로 있다가 면역력 감소와 함께 피부 등에 증상을 일으킨다. 무더위 속 냉방기를 가동해 실내외 온도 차가 커지면 면역력이 떨어져 환자가 늘어난다. 대상포진에 주로 걸리는 연령대도 면역력이 떨어지는 50세 이상 성인이다. 최근엔 코로나19로 대상포진...
광유전학 이용해 잃어버린 시력 찾았다 2021-05-28 17:12:05
빛감지 단백질을 이용해 망막신경절세포가 바로 시각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우리가 보는 시각 정보를 망막신경절세포가 받아들이는 전기적 신호로 바꿔야 한다. 연구진은 특수 제작한 고글로 이 작업을 수행했다. 고글은 초당 수천 번 시야를 스캔한 뒤 이를 픽셀 단위로 나눈다. 각...
"참을 수 없는 `아토피` 원인 규명"...표적치료 진일보 2021-04-05 17:02:11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가려움증 지각과 관련이 있는 생쥐의 배근 신경절(DRG; dorsal root ganglia) 뉴런에서 CysLT2R이 매우 높은 수위로 발현하는 것을 발견했다. 인간의 DRG 뉴런에서도 이 수용체가 발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배근 신경절은 척추의 후근 일부가 마디 모양으로 팽창한 것인데 시냅스(뉴런 연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