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태양광 발전량 증가에 원전 출력감소…1∼4월 23회·4천㎿ 감발 2023-05-30 20:23:05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까지 새울, 신한울, 한빛, 신고리, 신월성 등 원전에서 23차례에 걸쳐 4천130㎿의 출력감소 운전을 했다. 설 연휴인 지난 1월 21일 새울 1·2호기와 신한울 1호기(550㎿)를 제외하면 올해 출력감소는 모두 봄철 주말에 이뤄졌다. 원전별 감발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3월 19일 한빛 1·2·3·6호기...
원자력 발전, 올들어 벌써 23차례 줄였다 2023-05-30 18:09:05
2호기, 신고리 2호기, 신월성 1호기(경북 경주)가 총 1100㎿의 발전을 줄였다. 전국 곳곳의 원전에서 출력 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진 것이다. 이는 수요가 많은 수도권 등으로 전력을 보낼 송전망이 제한된 상황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급속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출력제어가 집중된 한빛 원전과 송전망을 공유하는 호남...
[단독] 비싼 신재생 돌리려…올해 원전 출력 23차례 줄였다 2023-05-30 16:34:39
한빛 3·6호기, 새울 2호기, 신고리 2호기, 신월성 1호기(경북 경주)가 총 1100㎿의 전력 발전을 줄였다. ○"지난 정부, 송전망 투자 미뤄" 원전 출력제어가 빈번해진 것은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전력을 보낼 송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늘었기 때문이다. 출력제어가 집중된 한빛 원전과 송전망을...
원안위, 고리 3·4호기 공조설비 댐퍼 변경 허가안 의결 2023-04-13 17:48:04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제어실에 공급하는 장치인 공조설비에 차단 댐퍼를 새로 설치해 여과되지 않은 공기 유입량을 줄이는 내용 등이 담겼다. 한편 이날 안건으로 올라온 신월성 1·2호기 및 신고리 1·2호기의 차단기 제어논리 회로를 변경하기 위한 운영 변경허가는 전문가 조사를 거쳐 재상정하기로 했다고...
"원전 수소제거장치, 제시한 성능 못 미쳐…규제요건은 만족" 2023-03-23 17:34:50
공익제보 대상인 세라컴 PAR에 대한 검증을 진행해 왔다. 한편 이날 원안위는 한울 1·2호기 원자로 헤드를 개선된 제품으로 교체하는 '원자력이용시설 운영 변경허가안'을 심의·의결했다. 신월성 1·2호기와 신고리 1·2호기 안전등급 4.16kV 차단기 제어논리 회로를 변경하기 위한 운영 변경허가는 추후...
원안위, 한빛 6호·한울 5호·신월성 1호기 재가동 승인 2023-02-21 15:04:47
정기검사를 시행한 한빛 6호기와 한울 5호기, 신월성 1호기 재가동을 21일 허용했다고 발표했다. 원안위는 이날 임계 전 정기검사에서 안전을 확인한 한빛 1호기, 한울 5호기, 신월성 1호기 임계를 허용했다고 밝혔다. 임계는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이 지속해서 일어나면서 중성자 수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다. 임계...
"기술기준 못맞춘 원전 여과설비 고정장치…안전엔 문제없어" 2023-02-21 12:13:52
신월성 1호기 정기검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됐으며, 이후 모든 원전을 확대 조사한 결과 가동 중인 원전 13기와 건설 원전 3기 회전여과망 설비에 쓰인 것으로 드러났다. 원안위에서 점검에 나선 결과 1996년 한울 3·4호기 건설 당시 회전여과망 성능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기술기준에 대한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고 부착식...
7~9년 뒤 원전 18기 멈출 판…핵폐기물법은 국회 '낮잠' 2023-02-10 18:10:57
신월성원전은 2044년에서 2042년으로 2년 앞당겨졌다. 고리원전은 2031년에서 2032년으로 포화 시점이 1년 연장됐다. 새울원전의 포화 시점은 기존 전망과 같은 2066년으로 예상됐다. 월성원전은 이번에 처음으로 포화 시점이 2037년으로 제시됐다. 전망대로라면 한빛원전(6기) 한울원전(7기) 고리원전(5기)의 저장시설이...
한빛 원전, 7년 뒤 저장시설 포화…1~2년 앞당겨졌다 2023-02-10 10:27:58
고리 원전은 1년 연장됐다. 신월성은 2042년(2년 단축), 새울 2066년(기존 전망과 동일), 월성 2037년 등의 포화시점이 제시됐다. 이날 공개된 재산정 결과는 지난달 확정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과 포화전망을 재산정한 것이다. 경수로형의 경우 각 원전 호기별로 연료 교체 주기 약...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 눈앞…이대로면 7년후 원전 멈춘다 2023-02-10 06:00:01
신월성원전은 애초 2044년에서 2042년으로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포화 시점이 당겨졌다. 반면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의 경우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 시점이 기존 2031년에서 2032년으로 늦춰졌다. 제9차 전기본에서는 고리 2호기의 조밀저장대(핵연료 간격을 줄여 전체 저장용량을 늘리는 장치) 설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