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플러스] "이웃별 흡수하는 '눈물방울' 백색왜성 관측…초신성 초기단계" 2021-07-13 10:43:51
중력으로 이웃의 작은 별을 빨아들이면서 소용돌이치는 눈물방울 모양의 쌍성계가 관측됐다. 과학자들은 이 백색왜성이 점점 몸집이 커지면서 'Ia형 초신성'이 돼 폭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 워릭대 잉그리드 펠리소리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13일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하...
지구에서 3천광년 이내 별 둘 쌍성계 130만개 찾아내 2021-02-23 15:41:26
지구에서 3천광년 이내 별 둘 쌍성계 130만개 찾아내 가이아 위성이 공개한 18억개 항성 카탈로그서 확인 대부분 1천 AU 이내 짝별...일부 3.26광년 떨어져 존재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계의 별은 하나지만, 지구 근처에 두 개의 별이 짝을 이뤄 공통의 무게 중심을 일정한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가 130만...
국내외 연구진 "인류 최초 발견 블랙홀, 가설보다 더 멀리 있다" 2021-02-19 08:31:10
100만배에 이르는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이 동반성으로 쌍성계를 이루고 있는 백조자리 X-1은 1964년 처음 발견됐다. 연구진은 백조자리 X-1 블랙홀까지의 거리는 기존에 알려졌던 약 6100광년보다 먼 약 7200광년 떨어져 다는 것을 알아냈다. 아울러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21배로 기존에 알려진 질량보다 약 5...
쌍성계 3개 묶여 서로 별빛 가리는 '희귀' 6중성계 관측 2021-01-25 16:23:23
쌍성계 3개로 구성돼 있다. 6중성계 자체가 드문데다 각 쌍성계가 서로 다른 중심을 돌면서 중력으로 묶여 단일 항성처럼 움직이며 상대 별의 빛을 가리는 식(蝕)을 해 더욱 특이한 것으로 지적됐다. 6중성계는 지구에서 51광년 떨어진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를 비롯해 3개밖에 관측되지 않았다. 뉴욕타임스와 정식 출간...
공전주기 3.14일 행성 'π지구' 발견…생명체 서식 기대 못 해 2020-09-22 15:44:09
약 20차례에 걸쳐 포착된 별빛 감소가 서로를 도는 쌍성계에서 유발된 것이 아니라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나는 '천체면 통과'(transit)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후 지난 2월 칠레 아타카마 사막과 북반구에 설치된 구경 1m 망원경 망인 '스페쿨루스'(SPECULOOS)를 동원해 π지구의 천체면...
하버드대 연구팀 "태양, 쌍둥이 별 가진 쌍성이었다" 2020-08-19 11:01:52
교수는 "쌍성계는 하나의 별을 가진 항성계보다 다른 천체를 붙잡아두는데 훨씬 더 효율적"이라면서 "오르트 구름이 현재 관측되고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것이라면 사실상 태양이 별 형성 클러스터를 떠나기 전에 비슷한 질량의 짝별을 갖고 있다가 잃었다는 의미"라고 했다. 또 오르트 구름의 천체가 지구에 물을...
블랙홀 등 우주 X선 광원 100만개 담아낸 X선 지도 공개 2020-06-19 17:01:00
등을 가진 쌍성계, 초신성 잔해 등도 X선 이미지로 포착된다. X선 망원경은 광원의 위치만 파악할 수 있으며 X선을 내는 천체의 정체는 다른 파장의 망원경을 이용해야 알 수 있다. MPE 연구팀은 150만㎞ 밖에 있는 이로시타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며 7대의 카메라로 수집한 165기가바이트(GB) 분량의 자료를 받아 X선...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2020-06-10 13:04:44
포착돼 공개됐다. 쌍성계 원시별이 형성 초기 단계에서 궤도까지 파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발표됐다.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MPE)는 마리아 호세 마우레이라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된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집합체'(ALMA) 간섭계로...
지구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 발견…"`짝별` 맨눈으로도 확인 가능" 2020-05-06 21:33:10
`HR 6819`로 알려진 쌍성계를 관찰하다가 발견했다. 두 별 중 안쪽 별이 40일 주기로 숨겨져 있는 블랙홀을 돌고 다른 별 하나는 멀리서 이 둘을 도는 구조로 돼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 두 별은 지구에 가까이 있어 맑은 날, 어두운 남반구 밤하늘에서 망원경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논문 공동저자인 칠레...
약 1천광년 떨어진 지구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 찾아내 2020-05-06 21:01:01
망원경자리에서 'HR 6819'로 알려진 쌍성계를 관찰하다가 발견했다. 두 별 중 안쪽 별이 40일 주기로 숨겨져 있는 블랙홀을 돌고 다른 별 하나는 멀리서 이 둘을 도는 구조로 돼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 두 별은 지구에 가까이 있어 맑은 날, 어두운 남반구 밤하늘에서 망원경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도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