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국발 '통상 쓰나미' 강타…FTA개정·수입규제 '전방위 압박' 2017-10-08 18:18:06
자동차는 무관세다. 일본·유럽산 자동차(2.5% 관세율)보다 관세 측면에서 이점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FTA 개정협상 과정에서 관세가 부활하면, 그만큼 미국 수출용 한국차의 가격경쟁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세계무역기구(WTO)의 무관세 협정에 따라 한미FTA 발효 이전인 2004년부터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되고 있는...
한국車 관세부활땐 경쟁력 '뚝'…美농산물 관세철폐 요구도 부담 2017-10-05 09:40:51
무관세다. 일본·유럽산 자동차(2.5% 관세율)보다 관세 측면에서 이점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FTA 개정협상 과정에서 관세가 부활하면, 그만큼 미국 수출용 한국차의 가격경쟁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최근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이 같은 악재까지 겹치면 재기 자체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미국, 농산물 시장 개방 요구로 한미FTA '화약고' 건드려 2017-09-04 19:56:08
체결 당시 쌀을 비롯한 민감 품목 16개를 양허 대상에서 제외했다. 관세를 완전히 철폐할 경우 심각한 영향이 우려되는 품목은 현행 관세를 유지하고 일정량의 관세율할당(TRQ)을 제공하거나 계절관세를 부과했다. 578개 품목은 발효 즉시 관세를 철폐했지만, 나머지 1천499개 품목은 짧게는 2년에서 길게는 20년에 걸쳐...
한경연 "한미 FTA 재협상 시 5년간 수출 손실액 최대 19조원" 2017-04-30 14:39:00
가정한 결과입니다. 무역적자 급증산업에 대한 재협상 관세율은 미국입장에서 산업별로 2012년 이전으로 무역적자규모를 복귀시킬 수 있는 관세율과 MFN(최혜국대우) 최대관세율간의 비교를 통해 산정했으며 자동차 11.8%, 기계 9.9%, 철강 8% 수준입니다. 한미 FTA 재협상 시 한미 FTA체결 중간단계 관세양허 수준으로...
"한미FTA 재협상시 5년간 최대 19조원 수출 손실" 2017-04-30 11:00:06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이 추진돼 관세율이 새롭게 조정될 경우 우리나라에 앞으로 5년간 최대 170억달러(약 19조4천억원)의 수출 손실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30일 '한미 FTA 재협상과 미일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한미 FTA...
[시론] 트럼프식 통상 압박, 적극적 법적 대응도 필요 2017-02-02 18:09:08
미국이 세계무역기구(wto) 양허관세율 이상으로 관세를 높이는 식의 통상보복을 취하면 한국은 미국 정부의 조치를 wto 패널에 제소할 수 있다. 문제는 패널 판정이 나기까지는 미국이 관세보복을 유지하면서 수입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이 wto 패소 판정을 이행하지 않고 버티면 한국으로서는 상응하는 규모의...
아·태 무역협정 타결…한·중 관세율 33% 인하 2017-01-13 19:44:41
몽골도 조만간 가입할 예정이다.협정 결과에 따르면 관세 양허가 확대돼 국내 기업이 더 많은 품목을 더 낮은 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중국 인도 등은 전체 수출 품목의 28~29%에 대해 평균 관세율을 기존보다 33% 정도 인하하기로 했다.중국과의 교역에서는 석유와 플라스틱제품, 편직물, 건전지 등 1222개 품목...
[경제·금융 상식 퀴즈 O X] 1월 14일 (540) 2017-01-13 16:00:58
사태로 계란값이 급등하자 정부가 계란 관세율을 0%로 낮추는 ‘이것’을 적용했다. 일정 물량에 대한 한시적 관세 인하를 뜻하는 이것은?①상계관세 ②양허관세 ③할당관세 ④보복관세7. 한국은 전체 근로자의 절반가량이 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는 기형적 구조다. 이를 바로잡을 방안으로 적절치 않은...
아·태무역협정 10년만에 개정…중국 1천200개 품목 관세 인하(종합) 2017-01-13 14:07:03
관세 양허가 확대됐다. 한국·중국·인도는 전체 품목 중 약 30%에 대해 평균 33% 관세를 감축한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2천191개 품목의 관세율을 33.1% 인하하게 된다. 이 가운데 석유·플라스틱제품 등 1천200여개 품목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규정한 세율보다 낮아지는 보완 효과가 생겨 우리 기업의 수출이...
아·태무역협정 10년만에 개정…중국 1천200개 품목 관세 인하 2017-01-13 13:00:01
관세 양허가 확대됐다. 한국·중국·인도는 전체 품목 중 약 30%에 대해 평균 33% 관세를 감축한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2천191개 품목에 관세율을 33.1% 인하하게 된다. 이 가운데 석유·플라스틱제품 등 1천200여개 품목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규정한 세율보다 낮아지는 보완 효과가 생겨 우리 기업의 수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