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천 수돗물 '깔따구' 유충 3건 발견…총 257건 2020-07-26 14:38:39
모두 공촌정수장 수계 권역에서 나왔다"며 "부평정수장 수계 권역에서는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 9일 시작된 수돗물 유충 사태는 인천 서구 일대에서 처음 시작됐다. 전문가들은 정수장 내 활성탄 여과지의 방충 시설 부실과 긴 세척 주기 등 관리 소홀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인천·화성·울산…전국 정수장 7곳서 벌레 확인 2020-07-21 17:53:49
공촌정수장에 있는 활성탄 여과지를 지목했다. 해당 시설에 날벌레가 알을 낳으면서 생긴 깔따구 유충이 수도관로를 거쳐 각 가정 수돗물로 유출됐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이번주 활성탄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은 435개 일반 정수처리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치고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인천 '수돗물 유충' 사태 2주째 이어져…187가구서 발견 2020-07-21 17:19:18
활성탄 여과지에 날벌레가 알을 낳으면서 발생한 깔따구 유충들이 수도관로에 남아있다가 계속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천시는 유충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시행하며 수돗물 정상화에 집중하고 있다. 우선 날벌레의 일종인 깔따구가 알을 낳은 곳으로 추정되는 서구 공촌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 공정을...
인천뿐 아니었네…환경부 "전국 7개 정수장서 유충 발견" 2020-07-21 11:13:27
최근 공촌정수장에 적용된 정수 설비인 활성탄 여과지(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를 15∼17일 긴급점검한 결과, 인천 공촌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일부 발견됐다고 21일 밝혔다. 활성탄지는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이 번식한 장소로 추정되는 지점이다. 활성탄지에서 부화한 유...
[속보] "인천 공촌 外 6개 정수장서도 유충"…여과지 문제 2020-07-21 11:07:05
같은 활성탄 여과지(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를 15∼17일 긴급점검한 결과 공촌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일부 발견됐다고 밝혔다. 활성탄지는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이 번식한 장소로 추정되는 지점이다. 여기서 부화한 유충이 걸러지지 못한 채 정수장과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수돗물 유충 공포 일주일…생수 2000개 주문한 아파트 2020-07-21 10:54:27
데 사용되는 '활성탄 여과지'가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여과지에서 발생한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서구 공촌정수장에서 날벌레가 고도정수처리시설에 알을 낳고, 여기서 발생한 유충이 수도관로를 따라 각 가정집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천...
서울도 '수돗물 벌레' 신고…정부, 뒤늦게 "긴급 점검" 2020-07-20 17:28:15
활성탄 여과지에 날벌레가 알을 낳으면서 생긴 깔따구 유충이 수도관로를 거쳐 각 가정 수돗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활성탄 여과지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정수처리 시설이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서 되레 유충이 자랄 환경을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인천과 경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지던 수돗물 유충...
'깔따구' 유충 수돗물 쓰면…아토피·비염·천식 유발가능성 2020-07-20 12:14:20
깔따구 유충은 정수장 활성탄 여과지에 날벌레가 알을 낳으면서 발생한다. 환경부 등에 따르면 인천에서 발생한 깔따구 유충은 정수장 수돗물의 맛·냄새·미량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한 입상활성탄지에서 번식된 깔따구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가장 먼저 깔따구...
서울·청주 수돗물서도 유충 발견 신고…관계기관 조사나서 2020-07-20 07:21:52
앞서 유충 신고가 나온 인천시는 정수장 활성탄 여과지에 날벌레가 알을 낳으면서 유충이 발생했고, 이 유충들이 수도관로를 거쳐 각 가정 수돗물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청주 지역 정수장에서는 인천과 같은 활성탄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인천 '수돗물 벌레' 부평·강화서도 확인 2020-07-19 18:16:00
부평정수장은 여과지 처리시설만 있는 공촌정수장과 달리 오존 처리와 활성탄 흡착시설을 동시에 갖춘 밀폐된 시설이기 때문에 추가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정밀조사단을 꾸려 공촌과 부평정수장 활성탄 여과지에서 유충이 발생한 경위를 규명할 방침이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