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후변화 '악순환 덫' 빠졌다…최소 27종 연쇄타격 고리 확인 2023-02-18 08:20:19
이어진다는 개념이다. 기온 상승으로 녹아내린 영구 동토층이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키는 게 대표적 사례다. 영구 동토층은 토양 온도가 2년 이상 0도 이하로 유지된 토양으로, 아주 오래된 유기탄소 퇴적물을 함유하고 있다. 이 퇴적물에 함유된 탄소량은 현재 대기에 존재하는 탄소량보다 최소 2배 많다. 영구 동토층이 녹...
따뜻한 겨울에 위험해진 알프스…눈사태로 스키어·탐방객 사망 2023-01-16 11:00:14
가디언은 최근 따뜻한 기온으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몽블랑 탐방객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온이 따뜻해지면 단단하던 영구동토층이 녹아 낙석, 산사태의 위험이 커지고, 빙하나 눈도 녹으면서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온난화·산불·병충해…북극 주위 침엽수림도 위험하다 2022-11-14 16:58:06
있다. 이런 기온 상승으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삼림이 붕괴하고, 침엽수림 남쪽에서는 가뭄으로 침엽수 대신 관목과 풀이 자라고 북쪽으로는 침엽수림이 툰드라 지역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 동토층이 녹으면 박테리아가 땅속에 수천 년간 저장돼있던 바이오매스를 분해, 이산화탄소·메탄가스를...
현대차그룹이 그리는 미래도시…벌집구조 육각형 모빌리티 2022-10-31 09:15:50
영구 동토층을 제거하고 드러난 암반 위에 대형 돔을 건설하는 콘셉트다. 내부에는 야외 활동과 식물 자생이 가능한 수준의 냉대 기후를 조성한다. 바다 도시는 사라져 가는 산호초 중심에 인공도시를 구성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데 방점을 뒀다. 사막 도시는 뜨거운 태양열과 높은 기온, 거센 모래 폭풍을 막고자 지붕...
현대차와 건축가 유현준이 구상한 '미래도시' 모습 보니 2022-10-31 08:55:30
영구 동토층을 제거하고 드러난 암반 위에 대형 돔을 건설하는 콘셉트다. 돔 내부는 야외 활동 및 식물 서식이 가능할 정도의 냉대 기후를 조성하고 도시를 건설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도시는 해안가에 있으며, 중심부에 녹지를 배치하고, 외곽 지역으로 갈수록 도시의 밀도가 높아진다. 바다 도시는 사라져가는 산호초...
빙하 속 '고대 바이러스' 경고…야생동물 감염 가능성 2022-10-26 10:34:33
어린이가 사망하고 최소 7명이 감염됐다. 폭염으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순록 사체가 드러났고 탄저균이 퍼져 다수의 감염자가 발생한 것이다. 2014년에는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몰리 바이러스 시베리쿰'이라는 이름의 3만년 된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도 했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
빙하 속 바이러스 풀려난다…"다음 팬데믹, 빙하서 시작될 수도" 2022-10-20 11:46:11
그동안 온난화로 북극의 빙하나 영구동토층이 녹을 경우 속에 묻혀 있던 바이러스와 병원체가 되살아나 동물들을 감염시키고 이것이 새로운 팬데믹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2016년 러시아 북시베리아에서는 폭염으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노출된 사슴과 접촉한 사람들 가운데 어린이...
[사이테크+] "맹그로브숲, 공기 중 탄소 흡수해 5천년 이상 저장한다" 2022-09-18 10:03:48
아직 녹지 않은 남극과 북극의 영구동토층 등 일부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동연구자인 에마 아론슨 UCR 교수는 "이들 맹그로브 숲이 특별한 점은 탄소를 매우 빠르게 흡수해 저장한다는 것이 아니라 흡수한 탄소를 아주 긴 기간 저장한다는 것"이라며 "맹그로브 숲은 이를 통해 같은 지역의 다른 생태계보다 훨씬...
[기후위기현장을 가다] "알래스카 영구동토 녹는중…멈추기엔 이미 늦어" 2022-09-08 08:02:11
얼음층인 영구동토의 융해(thawing) 현상이라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땅을 깊이 파서 온도계를 심어야만 영구동토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데 지하 깊숙한 곳까지 열이 전달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그 변화를 바로 알기란 쉽지 않다. 김 교수의 연구소는 알래스카 송유관을 따라 땅속 20m 지점의 온도를 매년...
[기후위기현장을 가다] 이젠 돌아오지 않는 알래스카 왕연어 2022-09-07 08:02:12
분석한 결과 알래스카에서 비버가 최근 북극권 툰드라(동토 지대)까지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극권 일대에서 비버가 만드는 댐으로 물길을 막아서 생긴 웅덩이 같은 연못이 1만 개가 넘고, 이 숫자는 날씨가 더워진 2003∼2017년 대부분 지역에서 배로 급증했다. 이렇게 생긴 '비버 연못'은 땅 온도를 높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