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욕유가] 美 물가 안도ㆍ송유관 폐쇄에 급등…WTI, 5개월來 최고 2025-01-16 06:04:10
하루에 150만배럴의 휘발유와 디젤 등을 운송한다. 이 송유관은 미국 동부 해안지역에서 소비되는 휘발유와 디젤의 절반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폐쇄는 이르면 오는 17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러시아 석유산업에 대한 미국의 제재 여파는 계속해서 원유시장을 감싸고 있는 요인이다. 인도 등 그간 러시아산 원유를...
'화석연료 부활' 선언한 美…韓 LNG기업 절호의 찬스 2025-01-15 18:15:02
대표적이다. 멕시코퍼시픽이 뽑아낸 LNG를 운송할 선박 확보부터 LNG 저장, 운송, 최종 공급까지 전 과정을 포스코가 관리한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산 천연가스 생산량이 늘어나면 당연히 LNG 수출 물량도 증가하는 만큼 수익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LNG 관련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기 위해...
12월 중국행 해상운송비 1.1%↓…한달만에 하락 전환 2025-01-15 09:55:20
일본(1.3%↑), 베트남(15.6%↑) 등으로 향하는 해상 수출 운송비는 상승했다. 해상 수입 운송비는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미 서부(8.9%↓), 미 동부(3.9%↓), EU(8.1%↓) 등 원거리 항로뿐만 아니라 중국(5.0%↓), 일본(6.7%↓), 베트남(4.8%↓) 등 근거리 항로도 모두 운송비가 하락했다. 미국 서부와...
트럼프 '최대압박' 목전에…"이란, 中에 비축한 원유 판매 추진" 2025-01-12 11:59:48
구입하려면 일단 이를 중국 밖으로 운송한 뒤 원산지가 다른 곳으로 표시된 상태로 수입해와야 한다고 WSJ는 설명했다. 이란의 이같은 움직임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이란의 원유 판매를 겨냥해 고강도 제재를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의 인수팀은 행정부 출범 직후...
글로벌 ESG 뉴스 브리핑 2025-01-03 06:01:10
2026년부터 수입 제품의 배출량에 비례해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국제 온실가스 감축사업에서 확보한 실적으로 탄소세를 할인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 금융] 골드만삭스, 넷제로은행연합에서 탈퇴 골드만삭스가 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했다. 12월 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녹색...
우크라 통한 러 가스공급 중단에 유럽 가스값 상승세(종합) 2025-01-03 02:43:38
우크라이나 가스관을 통한 러시아 천연가스 운송 협정 계약이 지난달 31일로 만료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러시아산 운송 중단이 EU의 전체 가스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은 5% 정도다. 최근 몇 주 새 유럽 곳곳의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난방 수요가 늘어난 것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목된다. 러시아산을 메우는 주요...
우크라 통한 러 가스공급 중단에 유럽 가스값 상승세 2025-01-03 00:14:04
올랐다. 우크라이나 가스관을 통한 러시아 천연가스 운송 협정 계약이 지난달 31일로 만료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러시아산 운송 중단이 EU의 전체 가스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은 5% 정도다. 최근 몇 주 새 유럽 곳곳의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난방 수요가 늘어난 것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목된다. EU 행정부 격인...
"계약체결·신사업 기대감"...시총 10조원 재탈환 2025-01-02 13:53:32
브이티가 사상 처음으로 미국 수입 화장품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함 - 매물 소화가 마무리가 되면 조금 더 추가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음 - 신규 매수 입장보다는 그냥 가지고 계신 분들에서 가져가는 게 조금 더 맞지 않을까 생각함● [특징주] 현대글로비스, 대규모 운송 계약 체결·로봇 사업 기대감에 급등...
정부, 올해 성장률 1.8% 전망…최상목 "필요시 추가 경기보강 강구" 2025-01-02 13:42:37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 첨단공정 전환 수요·운송장비 이연물량 순차 도입·통화긴축 완화 등으로 증가가 전망되지만, 수출 둔화와 미국 신정부 통화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우려도 있다고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지난(-1.5%)과 마찬가지로 -1.3%로 역성장하는 등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올해 소비자...
정부, 올해 성장률 1.8% 전망…수출 악화로 반년만에 0.4%p↓ 2025-01-02 10:40:38
전환 수요·운송장비 이연물량 순차 도입·통화긴축 완화 등으로 증가가 전망되지만, 수출 둔화와 미국 신정부 통화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우려도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 등으로 지식재산생산물투자도 지난해 0.6% 성장에서 올해 3.8% 성장으로 호전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