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조선시대 '음식디미방' 조리법 체험…장계향 문화교육원 문 열어 2018-04-10 09:54:02
조선시대 '음식디미방' 조리법 체험…장계향 문화교육원 문 열어 (영양=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조선 시대 여류 문인인 장계향 선생이 저술한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을 주제로 한 장계향 문화체험 교육원이 10일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에 문을 열었다. 경북도와 영양군은 3대...
조선시대 여성은 한글로 어떻게 지식을 전했을까 2018-02-18 12:00:10
'음식디미방', '규합총서', '청규박물지'를 통해 여성들이 생활·학술 지식을 어떻게 전파하고 활용했는지 소개한다. 이어 2부에서는 '한글 필사본 서책에 담긴 여성의 생각', '고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여성의 한글 청원'에 관한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여행의 향기] 고인돌 캠프·한옥마을… 올해의 전통 체험관광 2018-01-07 15:09:30
경북 영양의 ‘음식디미방과 장계향 예절’이 새롭게 선정됐다. 단양의 고구려 온달과 평강이야기는 만종리 대학로 극장이 주관하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직접 무대에 오르는 참여형 연극 공연이다. 2015년 한옥 창고를 개조해 만든 만종리의 마실극장에서 공연을 이어오고 있다. 지역에선 고구려 시대적 요소를...
16세기 요리서 '수운잡방' 안동서 산업화한다 2017-12-28 06:39:59
집필했다. 이 책은 1670년을 전후해 한글로 쓴 '음식디미방'보다 100년 이상 앞서 발간돼 현존 최고(最古) 요리서로 꼽힌다. '수운(需雲)'은 격조있는 음식 문화를 뜻한다. '구름 위 하늘나라에서는 먹고 마시며 잔치와 풍류로 군자를 대접한다'(雲上于天需君子以飮食宴樂)는 역경(易經) 구절에서...
고품격 방한 관광상품 만든다…국내 첫 럭셔리 트래블마트 2017-11-07 17:44:03
김시영 명인, 백련 막걸리 김용세 명인, 음식 디미방 조귀분 명인의 각종 전시와 시식 체험, 무형문화재 김대균 명인의 외줄 타기, 백중놀이 예능보유자 하용부 선생의 공연도 펼쳐진다. 해외 바이어 40명은 4박 5일 동안 국내 웰니스 시설과 미쉐린 스타레스토랑, 뷰티 전문숍 등을 방문해 한국만의 럭셔리 관광상품을...
"17세기 초반 설날 음식은 떡국 아닌 메밀만두" 2017-11-05 11:55:00
음식디미방'에도 만두피는 메밀가루를 쓴다고 기록돼 있다. 그런데 메밀가루는 껍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회색빛이 날 수밖에 없다. 주 교수는 이덕무(1741∼1793)가 편찬한 '세시잡영'에서 떡국 안에 들어가는 가래떡을 '백탕병'(白湯餠)이라고 적은 사실을 예로 들면서 "조선 선비들의 백색...
日 요리연구가들, 경북 영양서 종갓집 음식 체험 2017-10-24 09:12:32
= 일본인 요리연구가들이 경북 영양군을 찾아 종갓집 음식을 맛보기 위해 처음으로 방한한다. 일본에서 한식 보급에 앞장서온 '한식 명인' 조선옥 한식연구원장은 일본인 요리연구가 20여 명으로 구성된 방문단을 이끌고 27∼29일 경북 영양군 주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 체험 아카데미'에 참가한다고...
경북대 "가장 오래된 한글 음식조리서 추정 필사본 발견" 2017-09-28 15:58:20
한글 음식 조리서에는 없는 ㅴ, ㅵ 등 세 글자로 된 병서자가 들어 있으며, 15세기 문법도 나온다는 것이다. 병서자는 15∼16세기 문헌에 주로 쓰였고 17세기 초기 문헌에도 나타난다. 백 교수는 한글 표기법, 종이 품질 등을 검토해 이 책이 16세기 후기에 필사됐으며, 늦어도 17세기 초기 이후는 아닌 것으로 추정했다....
"매운맛 보실래요"…서울시청 광장서 영양고추축제 2017-09-02 06:38:57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반딧불이 생태학교 홍보관, 음식디미방 홍보전시관 등 전시·체험관도 마련한다. 권영택 군수는 "의성군(마늘), 전남 신안군(새우젓, 천일염) 등과 협력해 올해 행사가 전국 최고 양념 축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lee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채식과 육식의 황금비율은…신간 '채소의 인문학' 2017-06-04 11:54:04
'음식디미방' 등 고조리서에 나오는 채소 조리법, 과거 유명인사들의 채소 사랑, 그림과 문학 속에 그려진 채소 등 흥미 있는 얘기를 풀어낸다. 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채소 섭취량 세계 1위다. 쌈과 각종 나물이 건강한 음식문화로 세계인의 부러움을 사지만, 과거엔 배고픔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