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30대 중증장애인 이수찬씨, 초중고 검정고시 만점 합격 2022-05-10 17:43:06
이영양증을 앓는 이씨는 초등학교 때 학교를 그만두고 집에서만 생활했다. 2020년 국회의원 선거 때 옥천의 한 학교 투표소를 찾았다가 교실에 놓인 책상과 의자를 보고 다시 공부를 시작하겠다고 결심했다.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인 ‘해뜨는 학교’에서 검정고시와 관련된 정보를 얻은 그는 인터넷 수강을 하면서 독학으로...
엠에프씨, 고대 산학협력단과 근감소증 혁신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 협약 2022-03-31 16:02:27
이영양증은 10만명당 4명이 발생하는 진행성 근이영양증 중에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점진적으로 근육 퇴화 및 약화가 나타나는 희귀질환이다. 기술이전하는 근감소증 치료제 후보물질(MFC2202)은 천연물 피톤치드 유래 근감소증 치료제로써 혁신신약(First In Class)에 도전하는 신약후보물질이다. 동물실험을...
美 브릿지바이오, 희귀질환 치료제 3상 실패… 주가 70% 급락 2021-12-28 08:43:50
아코라미디스 치료의 이점을 입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다. 회사는 아코라미디스 외에도 최소 4개의 각각 다른 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골무형성증, 상염색체 우성 저칼슘혈증 1형, 사지대 근육이영양증 2i형 및 수포이영양증 표피박리증 등 유전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
크리스탈 바이오텍, 표피박리증 유전자치료제 美 3상 성공 2021-11-30 08:22:52
나스닥 상장사인 크리스탈 바이오텍은 이영양증 수포성 표피박리증(DEB) 유전자치료제인 ‘VYJUVEK’의 미국 임상 3상 주요결과(톱라인)가 1·2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DEB는 피부 및 점막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질환이다. ‘COL7A1’ 유전자가 돌연변이되며 발생한다. VYJUVEX는 환자의...
제3회 '툴젠 젊은 연구자상'에 한양대 화학과 홍성아 연구원 2021-11-26 10:17:37
유전자 교정을 이용해 부신백질이영양증, 티로신혈증 등 유전성 난치질환의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유전성 난치질환은 대부분 마땅한 치료법이 없어 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초점을 맞춰 왔다. 홍 연구원은 이런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법을 제시하기 위해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의 교정을 시도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바이든, 열달 만에 FDA국장 지명…맨친 "후퇴·모독" 또 반대 2021-11-13 06:47:01
근이영양증(DMD) 치료를 위한 약물을 논란 속에 승인했다. DMD에 걸리면 20세가 될 즈음에 근육이 빠르게 힘을 잃고 호흡 곤란을 겪으면서 결국 몇 년 이내에 폐 질환으로 사망하게 된다. 당시 FDA 자문위원회는 이 약물의 데이터가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승인에 반대했다. 하지만 캘리프는...
바이오기업 아벨리노랩, 기술성평가 A…상장 청신호 2021-10-12 14:31:03
한 각막이영양증 유전자 검사사업을 하고 있다. 각막이영양증 외에도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을 활용해 원추각막증(keratoconus)과 관련한 다중 유전자 위험점수를 분석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의 유전자 진단 기술 중 하나인 ‘아바젠’(AvaGen)은 75종류의 원추각막 관련 유전자와 2000여 종이 넘는...
순탄치 않은 유전자치료제 개발…美 바이오마린도 임상 중단 2021-09-07 09:02:08
사례가 발생해서다. 엘리셀은 '부신백질이영양증(CALD)'의 유전자 치료제다. CALD는 5만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 성염색체의 ALD 유전자 이상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사는 이번 부작용의 원인으로 렌티 바이러스를 지목했다. 엘리셀은 변형된 렌티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정상적인 ALD...
'로렌조 오일병'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 가능성 확인 2021-08-31 09:00:01
불리는 희귀·난치 질환인 부신백질이영양증(ALD)을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조성래 교수와 한양대학교 화학과 배상수 교수 연구팀은 ALD 환자에서 유래한 세포와 동물 실험을 통해 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ALD는 지방산 운반을 담당하는...
[최지원의 사이언스 톡(talk)] "희귀질환 고치려다 백혈병 생겨" 블루버드바이오 임상 3상 중단 2021-08-12 15:07:55
사례가 발생해서다. 중단된 약물은 '부신백질이영양증(CALD)'의 유전자 치료제다. CALD는 5만 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 성염색체의 ALD 유전자 이상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엘리셀은 변형된 렌티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정상적인 ALD 유전자를 체내에 삽입하는 방식의 유전자 치료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