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롯데쇼핑, 영업이익 7% '뚝'…"통상임금 악재" 2025-02-06 17:12:51
늘어난 498억원이었다. 이커머스 사업부 롯데온은 전년보다 적자 폭을 141억원 축소했다. 영업손실액은 685억원이다. 해외 사업의 경우 백화점 매출이 43.7% 늘었다. 특히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가 있는 베트남에서 매출이 전년 대비 116.3%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한편 롯데쇼핑은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아모레퍼시픽그룹, 지난해 영업익 2,493억…전년비 64%↑ 2025-02-06 17:12:23
함께 이커머스 협업 옴니 채널 마케팅, 팝업 스토어 운영, 백화점 피부 진단 서비스 등을 전개하며 매출 비중이 확대됐다. 헤라는 리뉴얼 출시된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이 국내 럭셔리 메이크업 부문 매출 1위를 달성했다. 아이오페도 레티놀 전문성 강화 및 ‘슈퍼바이탈 6세대’ 리뉴얼 출시 등을 통해 연간 매출이...
클린 비건 뷰티 브랜드 ‘야다’, 픽스코퍼레이션과 함께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 나서 2025-02-06 16:55:28
활발하다. 쇼피, 라자다, 틱톡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 입점해 현지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넓혔다. 또한 PIXX APP이라는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하고 실사용자 리뷰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구축,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픽스코퍼레이션 관계자는 "단순히 제품을 수출하는 것이...
'딥시크 금지령' 정부부처 전방위 확산…금융권·기업도 합류(종합2보) 2025-02-06 15:56:56
상태다. 신세계[004170]와 이마트[139480]는 이날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의 과다 수집 및 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며 딥시크 사용을 차단한다는 공지가 전사에 공유됐다.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은 애초 챗GPT 사용 자체가 금지된 상태다. (송정은 신선미 박초롱 이보배 기자) sje@yna.co.kr (끝) <저작권자(c)...
"은퇴 후 편의점 하기도 만만찮네"…수익성 '빨간불' 2025-02-05 18:00:37
모두 신규 출점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으나 그만큼 광고 판촉비 등이 불어나며 수익성에선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이커머스(전자상거래)의 대약진 속에서도 주력 사업인 편의점, 슈퍼 사업을 중심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 어려운 업황을 극복하기 위해 수익성 제고와 내실...
"가전 구독 얼마나 많길래"…가전매장 매출 10% 빠졌다 2025-02-05 17:06:12
추세로 전환했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도 직매입 자사몰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롯데하이마트는 앞서 반등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인력 구조를 개선했다. 지난해 7월 1300여명의 판촉사원 공개채용을 통해 직영사원 중심으로 변화를 시도했던 것. 하반기엔 데이터 기반의 사업 혁신 작업에도 박차를...
롯데하이마트, 지난해 영업익 17억…전년비 79.1%↓ 2025-02-05 16:29:39
매출이 4분기부터는 신장 추세로 전환했고, 이커머스 또한 직매입 자사몰을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시작됐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데이터 기반의 사업 혁신 작업에 박차를 가하며, 매출 반등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5년간 축적된 2,100만여 건의 소비자 데이터를 분석해 소비자 평생...
GS리테일, 지난해 영업익 2,391억…전년비 18.1%↓ 2025-02-05 16:29:30
지켜냈다는 평가다. 한편, GS리테일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7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8.6% 줄었다.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2조9,622억원과 656억원이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이커머스의 대약진 속에서도 주력 사업인 편의점, 슈퍼 사업을 중심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며 "어려운 업황을 극복하기 위해...
롯데하이마트 작년 영업이익 79% 감소…"하반기부터 개선" 2025-02-05 16:28:21
기존점 매출이 4분기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고, 이커머스 역시 직매입 자사몰을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시작됐다. 통상임금 기준 변경에 따른 비용(102억원)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영업이익은 전년(82억원)보다 증가했다. 반기별 영업이익은 상반기 13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하반기 150억원의 흑자를 거뒀다...
GS리테일 외형성장 지속…영업이익은 18% 감소(종합) 2025-02-05 15:17:54
관계자는 "이커머스(전자상거래)의 대약진 속에서도 주력 사업인 편의점, 슈퍼 사업을 중심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 어려운 업황을 극복하기 위해 수익성 제고와 내실 경영에 더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u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