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내 외국인 취업자 100만 시대…'한국이 골라받는 시대' 끝나나 2024-12-17 16:19:47
유득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 연구교수는 최근 한국주민자치학회의 '월간 공공정책'에 기고한 글에서 "농촌 이주노동자는 소멸지역에서 노동과 소비 활동을 하며 지역 고립과 소멸을 막고 있다"며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jylee24@yna.co.kr (끝)...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서·연·고 최저 합격선 인문 386점, 자연 384점…의대는 수도권 408점, 지방은 402점 2024-12-16 10:00:02
주요 대학별로는 인문계열의 경우 최저선으로 서울대 393점, 연세대·고려대 386점, 성균관대·서강대 382점, 한양대 379점, 중앙대 376점, 경희대 369점, 자연계열은 서울대 391점, 연세대·고려대 384점, 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 380점, 중앙대 374점, 경희대 372점으로 전망된다. 인문계열 학과별로는 서울대 경영대학...
[책꽂이] '성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어떻게 설계하는가' 등 2024-12-13 17:59:04
300쪽, 2만원) ● 테크노베이션 디지털 기술의 혁신은 사회와 산업 전반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까. (이수호 지음, 경이로움, 288쪽, 1만8000원) 인문·교양 ● 파리의 수집가들 20세기 최고 일러스트레이터가 평생을 바친 수집 이야기. (피에르 르탕 지음, 이재형 옮김, 오프더레코드, 144쪽, 2만) ● 모든 아름다움은 이미...
밀리의서재 '올해의 책'에 '이처럼 사소한 것들' 2024-12-12 09:06:23
이 작품은 사회 공동체의 은밀한 공모를 발견한 한 남자의 내적 갈등과 고뇌를 섬세하게 그려내 호평받았고, 특히 멀티 캐스팅된 성우들의 실감 나는 연기가 몰입감을 줬다. '올해의 책'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6개 분야에서 서재 담은 수 상위 5권을 후보로 선정, 2주간의 회원 온라인 투표로 결정됐다....
"2045년 국내 고령인구 37%"…세계 최고 전망 2024-12-11 17:16:36
나왔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와 공동으로 '인구전략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체의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고령사회 대응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열렸다. 주형환...
금오공대 김현찬 교수, 교육부 학술·연구지원 우수성과 50선 선정 2024-12-09 18:28:48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재료를 연구하고 공정을 설계하는 공학자로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이어왔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자원을 탐구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 등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책꽂이] 'AI로 팔아라' 등 2024-12-06 18:31:02
218쪽, 1만6000원) 인문·교양 ●불안사회 현대 사회가 불안에 잠식당해 있다고 진단한다. (한병철 지음, 최지수 옮김, 다산초당, 172쪽, 1만6800원) ●첫 번째 피 세상을 떠난 아버지에게 바치는 애도이자 헌사로서의 소설.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열린책들, 208쪽, 1만3800원) 아동·청소년 ●낙하산 키즈...
서울대 의대 합격선 몇점?…입시업계 "작년보다 20점 내려" 2024-12-06 16:06:47
경영대는 사회탐구가 까다롭게 나와 의대에 비해선 낙폭이 작았다. 사회탐구는 9개 과목 중 6개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작년보다 상승했다. 서울대를 제외한 주요 의대 합격선은 398∼412점에서 형성될 것으로 봤다. 의대별 합격선 예상치는 연세대 412점, 가톨릭대·성균관대 각 411점, 울산대 410점, 고려대 409점,...
국어 만점자 1055명…영어·수학도 쉬웠다 2024-12-05 17:46:51
분석했다. ○“탐구영역이 핵심 변수”반면 사회탐구는 전년도에 비해 어렵게 출제됐다. 사탐은 총 9개 영역 가운데 6개 영역(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작년 대비 올랐다. 이 중에서 생활과 윤리가 77점으로 가장 높았다. 과학탐구는 사탐보다는 평이했다....
"AI 시대, 공감·협업 능력도 지능" 2024-12-05 16:09:52
연사로 나선 맹성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명예교수는 한국 사회가 언어·논리·수학 등 일부 역량만을 '지능'으로 강조해왔다고 분석했다. 맹 교수는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초대 센터장 등을 지낸 AI 자연어 처리 전문가다. 그는 우리 사회가 'T자형 인재', '파이(π)형 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