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올해 공공주택 2.8만가구 본청약…서울선 마곡 120가구 나온다 2025-01-13 16:00:06
공급(인허가)할 예정이다. 또한 건설형 주택은 작년보다 2만가구 이상 늘어난 7만4000가구를 착공한다. 인허가와 착공 효과를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계획 물량의 20%를 상반기 내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 전국에서 총 2만8000가구의 공공주택이 본청약을 추진한다. 남양주왕숙(3070가구), 부천대장(1960가구),...
올해 아파트 분양 물량 33%는 '미확정'…공급 불안 우려 2025-01-10 07:13:20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달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3.8포인트(p) 하락한 77.5로 나타났다. 인허가 물량 급감과 대출규제 강화, 탄핵정국 등 영향으로 분양 물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더 많아졌다. 분양시장 전망지수도 전월 대비 10.6p 하락한 71.4로 석 달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지수는...
부동산 한파 속 건설사 '흔들'…예비 청약자에 기회? [돈앤톡] 2025-01-10 06:30:01
작용할 전망입니다. 대구시가 주택 인허가 물량을 조정하면서 분양 시장이 조금씩 기지개를 켜고 있지만 여전히 얼어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구 사업장이 태영건설이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단지가 될 것"이라면서 "민간 아파트 시장에서 양호한 청약 성적을 낸다면...
지방 악성 미분양 추가 구입 땐 양도·종부세 '1가구 1주택' 간주 2025-01-08 22:40:48
14만 가구 이상 인허가하고, 7만 가구 이상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8월 발표한 ‘8·8 공급대책’에서 제시한 공공 신축매입임대약정은 지난 3일 기준 24만5000가구가 신청해 이 중 7만7000가구의 심의가 끝났다. 정부는 4500억원 규모 공공지원 민간임대리츠(부동산투자회사)를 상반기 조기 집행하고 주택...
"사기 당하느니"…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 '껑충' 2025-01-06 07:07:26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1월 비아파트 인허가는 3만3천583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6% 줄었고, 착공은 3만1천223가구로 21.6% 감소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예금 금리가 낮아지는 추세라 임대인도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며 월세가 올라가고 있다"며 "수요 차원에서도...
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 뜀박질…전세사기·공급부족 여파 2025-01-06 06:55:00
지난해 1∼11월 비아파트 인허가는 3만3천583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6% 줄었고, 착공은 3만1천223가구로 21.6% 감소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예금 금리가 낮아지는 추세라 임대인도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며 월세가 올라가고 있다"며 "수요 차원에서도 전월세가 매매로 전환되기에는...
[서미숙의 집수다] 불확실성 시대…새해 부동산 시장 좌우할 '4대 변수'는 2025-01-03 05:59:00
이슈 최근 2∼3년간 지속된 주택 인허가 물량 감소는 올해부터 향후 2∼3년간 입주 물량과 공급 부족을 예고하고 있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 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3만7천582가구로 작년(30만4천213가구)보다 22% 감소한다. 다만 서울은 3만1천334가구로 작년(2만3천507가구) 대비 33%...
'악성 미분양' 16개월째 증가세…지방 시장 침체 지속 2024-12-31 17:02:47
인허가와 준공 물량은 기저 효과 덕분에 2023년보다 다소 늘어날 전망이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11월 누적 기준 27만3121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33만1263가구)보다 17.6% 감소했다. 국토부는 최종 행정 절차가 남은 13만 가구의 공공주택을 감안했을 때 연간 전체 인허가 물량이 2023년(42만9000가구)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불 꺼진 집' 4년4개월 만에 최대…서울도 악성 미분양 골치 2024-12-31 15:53:34
15.3% 증가한 규모다. 서울 전체 미분양이 931가구인 점을 감안하면 쌓인 물량이 악성화되는 중으로 풀이된다. 반면 인천(1,544가구)과 경기도(1,695가구)는 각각 0.2%, 4.4% 감소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은 2.3% 늘어난 1만4,802가구로 파악된다. 이에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인허가도 위축되는 모습이다. 올 들어 ...
서울·수도권 집값 오르고, 지방은 하락…'디커플링 현상' 심화될 듯 2024-12-31 15:43:18
부족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0월 기준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4만4777가구로, 전년 동기(30만2744가구) 대비 19.1% 감소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작년 연간 인허가 물량을 35만가구로 추정했는데, 올해는 33만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017~2021년 연평균 실적(54만가구)과 비교해 보면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