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고] AI로 환경 살리는 스타트업들, 한국이 혁신 이끌어야 2024-09-09 15:55:19
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플랜틱스는 작물 질병을 진단하는 모바일 앱을 제공한다. 농업인은 간편하게 작물 사진을 촬영하면 앱이 질병을 식별하고 해로운 살충제 사용을 줄이는 치료법을 추천한다. 재난 예방 스타트업들도 있다. 프로젝트베스타는 극한 기후 현상을 예측하고, 홍수, 산불 및 기타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기후변화로 식량 공급망 위협…식량 위기에 대비해야" 2024-09-06 06:00:03
비축제도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공급망 리스크(위험)에 대비해 민간 기업의 해외 곡물 유통망 확보를 지원하고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전략 작물 직불제 확대, 가루 쌀 육성 등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원 방안을 지속 강구하겠다"고...
강원혁신센터, 영월 그래도팜과 8월 로컬게더링 성료 2024-08-30 10:29:57
않고 자연적인 방법으로 작물을 재배해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농장 경험 서비스 브랜드 ‘토마로우(Tomato+Tomorrow)’를 런칭해 농장 도슨트 투어, 토마토 피자 만들기 체험, 플래터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농업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강한 소상공인...
쌀 수급균형 정책에 올해 벼 재배면적 69만8천㏊…역대최소 2024-08-27 12:00:02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전략작물직불제,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이다. 시도별 벼 재배면적은 전남(14만7천738㏊), 충남(12만9천787㏊), 전북(10만4천348㏊), 경북(8만9천339㏊), 경기(7만2천914㏊)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비 증가로 인한 경영 어려움 등으로 고추 재배면적도 줄고 있다. 올해 고추...
[2025예산] 농식품부 예산 18.7조원…농업인 소득안전망 강화 2024-08-27 11:01:07
늘어난다. 논에 벼 대신 밀 등을 심으면 지원금을 주는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은 올해 1천865억원에서 내년 2천440억원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밀 지급 단가는 ㏊당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두 배로 높아지고, 하계 조사료는 43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증액된다. 대상 면적은 15만6천㏊에서 17만6천㏊로 증가한다. 친환경...
[2025예산] 영세업자 배달비 월 2만5천원 지원…사과도 비축 2024-08-27 11:00:59
밀 등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에게 추가로 지급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포함한 선택형 직불제도 1천865억원에서 2천440억원으로 확대한다. 농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농산물 비축과 온라인 도매 활성화에도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한다. 농산물 비축 예산은 7천249억원에서 8천125억원으로 876억원 늘어난다. 과일과 채소 등...
AI는 전세계의 환경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을까 [긱스] 2024-08-26 11:00:01
추천한다. 이는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더 건강한 작물 생산에도 효과적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데이터 기반 정보 제공DroneDeploy는 드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운영한다. 이 플랫폼은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드론으로 수집한 데이터(예: 농작물이나 건설 현장의 항공 사진)를 분석하여 기업들이...
쌀 5만t 추가 매입·한우대책 마련…농가 시름 더나 2024-08-25 18:36:09
등을 재배하면 지원금을 주는 '전략작물직불제'를 확대해 밥쌀 재배 면적을 줄여갈 방침이다. 또 다음 달 중순께 수확기 수급 안정대책을 미리 발표해 수급 과잉 예상에 따른 농가와 유통사의 불안 심리를 차단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수확기 이전에 쌀을 사료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밖에 쌀...
경남 '우주항공 농식품·바이오산업' 도전장 2024-08-19 18:04:52
조절 시스템, 작물 재배와 가축 사육 기술 등의 연구개발(R&D)을 경남에서 선제적,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주농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R&D도 시작됐다. 지난 7월 25일 경상국립대는 ‘경남 농업 미래혁신위원회’ 등 산학연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주농식품산업 육성’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밭작물 기계화·가루쌀 확산…농촌진흥청의 '종횡무진 프로젝트8' 2024-08-12 16:02:28
밭작물 기계의 성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연시회를 전국적으로 20회 개최하였다. 지역 맞춤형으로 제시된 기계화 추진 전략은 현장 연시회에 뜨거운 반향을 낳았다.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지자체 그리고 농기계 회사 등 여러 기관이 조직의 장벽을 뛰어넘은 협업 생태계를 만들었다. 2026년 밭농업 기계화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