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테무 한국시장 직진출하나…인력 채용·배송 계약 검토 2025-02-10 10:04:42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홀딩스(PDD) 자회사인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HR),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인사 등 일부 직군은 이미 채용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테무는 또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는 테무와 협업하는...
14일부터 정기결제 요금인상 30일 전 고객동의 반드시 받아야 2025-02-10 10:00:00
받아야 공정위, '다크패턴' 관련 개정 전자상거래법 시행령·시행규칙 반복 적발시 최대 1년 영업정지 받을 수 있어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오는 14일부터 정기결제 대금을 인상하는 전자상거래 사업자는 반드시 인상 30일 전에 소비자 동의를 받아야 한다. 동의 없이 슬쩍 대금을 인상하는 다크패턴(눈...
"국민주 명성 되찾을까?"...증권가 목표가 '줄상향' 2025-02-10 09:31:09
"올해는 광고 부문의 효율적 성장으로 커머스(전자상거래) 및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비용 집행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간"이라며 "글로벌 AI 소프트웨어(SW) 밸류체인 내 빅테크의 리레이팅에 동반한 주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고 짚었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현재 네이버 주가는 12개월 선행...
증권가, 네이버 목표주가 대거 상향…"AI 모멘텀 기대" 2025-02-10 09:03:09
"올해는 광고 부문의 효율적 성장으로 커머스(전자상거래) 및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비용 집행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간"이라며 "글로벌 AI 소프트웨어(SW) 밸류체인 내 빅테크의 리레이팅에 동반한 주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현재 네이버 주가는 12개월 선행...
테무 배송 빨라질까...한국 직진출 조짐 2025-02-10 07:12:32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홀딩스(PDD) 자회사인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HR),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인사 등 일부 직군 채용은 이미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테무는 또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도 준비하는...
테무도 한국시장 직진출하나…인력 채용·배송 계약 검토 2025-02-10 06:01:00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홀딩스(PDD) 자회사인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HR),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인사 등 일부 직군은 이미 채용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테무는 또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는 테무와...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2025-02-08 05:07:49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채용 등에 있어 성별·인종·민족의 다양성을 장려하는 DEI(Diversity·Equity·Inclusion) 프로그램을 공식 폐기했다. 7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따르면 전날 실적 발표 후 제출된 아마존의 연례보고서에는 '인적 자본'(Human Capital) 부문에 명시돼 있었던 '포용과 다양성'...
홍콩도 WTO에 美 제소 방침…"中과 별도 세관 지위 무시" 2025-02-07 20:29:19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면세로 미국에 쏟아져 들어온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중간 무역분쟁이 첨예해지고 있지만 협상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통화 소식은 아직 전해지지 않고 있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대한항공, 지난해 사상최대 매출 2025-02-07 17:39:26
비싼 프레스티지석 판매가 늘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연료비가 전년보다 17%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 4분기 화물 사업 매출(1조1980억원)은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발(發) 전자상거래 물동량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대한항공은 올 1분기 여객 부문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대한항공, 지난해 매출 16.1조원…"사상 최대" 2025-02-07 17:11:53
9% 증가한 1조1,980억원이었다. 중국발 전자 상거래, 연말 소비 특수 등 견조한 항공 화물 수요가 이어졌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여객 사업은 장거리 노선 수요가 지속되고, 중국 노선 실적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수요가 예상되는 노선에 대한 공급을 유지하고 부정기편을 확대해 수익 극대화를 추진한다는...